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드라큘라 백작과 동로마제국 최후의 날
    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2020. 7. 4. 02:00


    1453년 5월, 조선에서는 수양대군과 그의 모사 한명회, 권람 등이 주축이 된 이른바 계유정란의 쿠데타가 심도 있게 모의되던 시절, 유럽에서는 오스만 투르크(이하 오스만 제국)의 대규모 공격에 의해 비잔틴 제국(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되었다. 서기 330년 로마제국의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수도로 삼은 이래 무려 1100년 동안이나 제국의 수도로써 군림했던 콘스탄티노플 성이 무너진 것이었다. 그 달 29일 화요일의 일이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훗날의 역사가들은 이 일을 중세와 근대를 나누는 분기점으로 삼았는데, 그 근대의 문을 연 사람은 유럽인이 아닌 오스만 제국의 황제 메흐메트(메메트) 2세였다. 이슬람교의 창시자 무함마드가 유언으로 남겼다는 동로마제국 정벌의 오랜 숙원이 드디어 메흐메트 2세에 의해 달성된 것이었다. 그리고 콘스탄티노플 성의 함락은 근대의 문을 여는 역사적 사건답게 드라마틱했다.  


       

    15세가 이탈리아의 화가 젠틸레 베리니가 그린 메흐메트 2세의 초상.



    오스만 제국의 술탄 메흐메트는 그해 4월 4일 테오도시우스 성벽을 향해 문자 그대로의 포문을 열었다. 앞의 그림에서와 같이 콘스탄티노플 성은 3면이 바다로 둘러쌓여 있었고, 게다가 성의 입구 바다(콘스탄티노플 성과 맞은 편 요새 제노바 갈라타에 이르는)에 긴 쇠사슬을 걸어 적선의 칩입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였던 바, 모든 화력을 테오도시우스 성벽을 향해 집중시킬수밖에 없었다. 


    메흐메트는 이 공격을 위해 대포를 본토로부터 240km나 끌고 왔는데, 그중 최대의 것은 90마리의 우마와 400명의 병사들이 동원돼야 했을 정도의 엄청난 크기였다. 오스만 군은 이와 같은 대포를 칼리가리아 문 앞의 3문을 포함, 총 12문을 포진시킨 후 일제히 포화를 터뜨렸다. 동서양을 통틀어 화약 무기가 본격적으로 사용된 최초의 전쟁이었다. 



    대포를 끌고 오는 메흐메트 2세

     


    최초로 화약무기가 사용된 콘스탄티노플 성 전투



    ~ 이때 동원된 대포는 발명자인 헝가리인 우르반의 이름을 빌어 우르반 대포라 불렸지만 이때 사용된 화약의 최초 발명자는 중국인이었다.(화약이 중국의 4대 발명품 가운데의 하나라는 것은 이미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이 화약은 발명과 연구의 산물이 아니라 중국 도가(道家)의 불로장생술에서 비롯되었다. 위진시대의 이른바 도인들은 불로장생의 단약(丹藥)을 만들려는 시도를 하였는데, 이들은 연금술사에 비견돼 연단술사로 불렸다.

     

    이들 연단술사들은 여러 재료를 배합하는 과정에서 초석(질산칼륨)과 유황과 숯을 배합하면 엄청난 폭발현상이 일어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이를 따로 화약(火藥)이라고 불렀다. 이것은 북송시대에 이르러 군용으로 쓰이게 되었고, 이후 아랍을 거쳐 오스만 제국에 이르러서는 대포에 실려 발사되는 강력한 군사 무기로서 등장하게 된 것이었다. 


     

    우르반 대포의 모형.



    이 엄청난 화력에 콘스탄티노플 성 안의 황제(콘스탄티누스 11세) 이하 7천 군민들이 혼비백산했을 것을 당연했을 터, 하지만 그들은 원체 튼튼하게 지어진 성에 감사하며, 아울러 무너진 성벽을 보수해가며 50일을 항전하였다. 4월 20일에 있었던 비잔틴(동로마) 함선과 오스만 함선의 교전에서 소수의 비잔틴 군이 이겼다는 소식도 그들에게 큰 힘이 되었다. 바다로부터의 적을 막은 만큼 육전에서 버텨준다면 오스만 제국의 대군을 퇴각시킬지도 모른다는 작은 희망도 가지게 되었다.(실제로 오스만 측에서는 전투를 지속할지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당시 동로마제국의 영토는 사실 콘스탄티노플 성 하나로, 성이 함락되면 제국도 끝장나는 그야말로 아슬아슬한 순간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사정이 이렇게 되자 오히려 술탄 메흐메트 2세가 급해졌다. 이에 그는 극단의 전술을 이끌어내기에 이르렀으니 자군의 함선들을 산을 넘게 하여 콘스탄티노플 성의 쇠사슬 방어선 안, 즉 아래의 골든 혼(金角灣) 안으로 침투시켰다. 그야말로 배가 산으로 간 것으로서, 역사상 그 유래를 찾기 힘든 기상천외한 전술이었다. 



    이와 같은 쇠사슬이 


    콘스탄티노플 성에서부터 갈라타 요새까지 연결돼 있었고(Boom이라 표시된 곳), 게다가 4월 20일 투르크 함대가 비잔틴 함대에 패하자(X 표시된 곳)


    메흐메트 2세는 배를 산으로 끌어올려 골든 혼 안으로 침투시킨다.(지도 위쪽의 파란색 실선) 

     

    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에 전시된 당시의 쇠사슬 및 골든 혼 안으로 진입한 오스만 함선을 묘사한 그림.


    골든 혼을 가로질렀던 쇠사슬의 모형과 당시 사용된 중간급 화포의 모형.(이스탄불 고고학 박물관)



    이렇게 골든 혼 안으로 배를 침투시킨 메흐메트 2세는 콘스탄티노플 성벽 가까이까지 부교를 설치하였다. 그리고는 배에 싣고 온 중간급의 대포를 성을 향해 쏘아대었던 바, 3중의 테오도시우스 성벽과 달리 홑겹으로 지어진 골든 혼 안의 성벽은 곧장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그러나 그러한 와중에서도 비잔틴 군민들은 다시 한 달을 항거했다.(그러면서 이웃 나라 베네치아에 원군을 요청하였으나 베네치아의 함선이 도착했을 때는 이미 성이 함락된 뒤였다)

     

    5월 27일 이슬람의 금식일에 이르자 메흐메트 2세는 전군에 공격 중지 명령을 내리고 휴식을 취하게 하였다. 그리고 운명의 29일 새벽, 16만 전군이 동원된 총공격을 개시하였던 바, 55일을 버티던 성은 드디어 함락되고 말았다. 7천 여 명의 군민들은 거의 몰살을 당했으며 로마제국의 마지막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도 성과 운명을 같이 했다.(그의 시신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군민들과 함께 싸우다 죽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http://modeoflife.org/wp-content/uploads/2014/09/Crusaders-kill-Orthodox-Christians-in-Sack-of-Constantinople.jpg

    콘스탄티노플 성의 마지막 전투와 학살을 묘사한 그림.



    성을 함락시킨 오스만 군은 자신들의 관행대로 3일 간의 약탈을 자행했다. 이후 그들은 비잔틴 제국의 잔존세력들을 소탕한 후 전열을 정비하여 발칸발도의 왈라키아 공국으로 몰려들었다. 왈라키아 공국은 지금의 루마니아 남부 지방에 위치한 나라로서 그 입지상 오스만의 대군을 고스란히 맞을 수밖에 없는 입장이었지만, 사실은 그전부터 오스만 제국의 간섭에 시달려 왔던 터였고, 그 아래 나라인 그리스와 불가리아는 오스만 제국의 손아귀에 들어간지 이미 오래였다.(아래 그림 참조)





    당시 왈라키아의 군주가 바로 블라드 3세 체페슈로, 그의 별칭인 드라큘라는 자신의 아버지 블라드 2세가 헝가리 '드래곤 기사단(Order of the Dragon)'의 일원이었던 것을 자랑스러워 해 용을 의미하는 드라쿨(Dracul)에다가 아들이란 뜻의 ea를 붙인 데서 유래한 것이었다. 따라서 원어대로라면 드라쿨레아(Draculea)가 될 터이지만 여기서는 영어 명칭 드라큘라를 차용해 쓰기로 하겠다.  


    그의 아버지 블라드 2세 드라쿨은 헝가리 왕 야노슈 훈야디와의 전투 중 살해당했는데, 하지만 아들인 블라드 3세 드라큘라는 즉위 후 헝가리에 대한 공격보다는 남쪽 오스만 제국의 방어에 치중하였다. 이는 야노슈 훈야디가 오스만 제국과 벌인 베오그라드 전투에서 사망한 데도 그 이유가 있었겠지만, 북쪽의 헝가리보다는 남쪽 오스만 제국의 공격을 막아내는 것이 급선무라 여긴 까닭이었다.(영화나 소설 등에서는 그가  왈라키아 공국의 영주가 아닌 그 북쪽 트란실바니아의 영주로 등장하는데, 나는 지금도 그 이유를 모르겠다) 


    왈라키아와 오스만 제국의 싸움은 1459년 드라큘라 백작이 술탄 메흐메트 2세의 제후국 요구를 거부하면서부터 본격화되었다. 드라큘라는 이교도의 첨병이 되어 같은 로마카톨릭 국가들을 치는 것보다는 차라리 순교자가 되기를 원한 듯싶은데, 이 같은 그가 훗날 십자가를 무서워하는 흡혈귀로 등장하게 되었다는 사실인즉 지독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 '드라큘라 백작의 억울한 누명 (III)'으로 이어짐.


      * 그림 및 사진의 출처: Google. jp.


      

    성서의 불편한 진실들
    국내도서
    저자 : 김기백
    출판 : 해드림출판사 2016.01.26
    상세보기


    댓글

아하스페르츠의 단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