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정부의 남편에게 맞아 죽은 교황(요한 12세)
    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2018. 2. 21. 08:55


    지금부터 천여 년 전인 962년 오늘, 신성로마제국(Holy Roman Empire)이 탄생했다. 독일(동 프랑크)의 오토 1세가 이탈리아 왕국을 접수하여 신성로마제국이라는 거대 제국을 탄생시킨 것이었다. 이후 이 제국은 1806년 나폴레옹이 독일을 침공해 마지막 황제 프란츠 2세를 폐위시킬 때까지 무려 850년을 존속하며, 유럽 유일의 황제국으로서 유럽의 역사를 좌지우지하였다. 그 당시 신성로마제국의 주권이 미치지 않았던 나라는 고작 영국, 프랑스, 그리고 러시아 정도에 불과하였던 바, 과거 로마 제국의 계승을 자처한 그 나라의 역사는 곧 유럽의 역사였다.



     14세기 신성로마제국의 최대 영토


     신성로마제국의 휘장



    하지만 이 제국은 요즘의 국가 개념으로는 잘 포착되지 않는 이상한 나라였던 바, 그 영역도 전쟁, 조약, 황제의 결혼, 그리고 교황권과의 관계에 따라 들쭉날쭉하여 하나의 국가 개념으로 이해하기 힘들 때가 많다. 무엇보다 특이한 건 이 제국이 때로는 세습으로, 때로는 제후들의 선출로 황제가 세워지기도 한 사실인데, 그 세습 왕조들마저 몇 번씩 바뀌기도 해 우리의 개념으로서는 도무지 한 나라로서 여겨지지가 않는다. 앞서 카놋사의 굴욕 사건에서처럼 황제권이 강해 교황권을 억누를 때는 제법 막강한 나라같지만,(그 사건인즉 교과서에서 말하는 교황권의 신장이 아니라 오히려 황제권의 비등이라는 것은 앞서 '중세의 막장 드라마 카놋사의 굴욕 1'에서 자세히 다룬 바 있다) 신성로마제국의 금인칙서의 법적 효력이 독일 일부에만 한정되어진 카를 4세(재위1346-1378) 때에는 이 나라가 정말로 제국인지 의심스럽기도 하다. 



    신성로마제국의 변천



    아무튼 신성로마제국을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하지만 한가지 분명한 사실은 그 제국의 정통성은 교황의 대관에 의해 지켜졌다는 것이니, 1084년, 신성로마제국의 하인리히 4세가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를 산탈젤로 성에 몰아넣고 자신이 임명한 대립 교황 클레멘스 3세로부터 따로 황제의 대관을 받은 것도 바로 그때문이다.(* '중세의 막장 드라마 '카놋사의 굴욕 2' 참조) 이렇듯 교황에 의한 황제 대관은 중요한 일이었는데, 그 시작은 독일 국왕 1세가 교황 요한 12세로부터 아래 왕관의 대관식을 치른 일로부터였다.



    오스트리아 빈 호프버그 궁에 보관돼 있는 신성로마 황제의 관. 오토 1세를 위해 제작된 관으로서, 이후 이 왕관은 신성로마제국의 상징이 되었다. 

     


    그런데 그때 이 크라운을 씌워 준 교황 요황 12세(재위 955-964년)를 살펴보자면, 과연 그가 신성로마제국의 정통성을 창출할만한 인간인가 하는 의문을 아니 가질 수 없다. 그의 일생의 대강은 다음과 같다. 

     

    그의 본디 이름은 옥타비아노(Octavianus)로, 937년경 당시 로마 일대를 통치한 알베리코 2세(Alberico II, 905경~954)와 내연녀 사이에 출생하였다. 그는 뒤늦게 본 그 아들을 끔직히 위했던 바, 죽기 전 알베리코는, 로마의 귀족과 성직자들에게 교황 아가피토 2세가 사망하면 옥타비아노를 교황으로 선출하겠다는 서약을 받아냈다. 이는 교황생존 기간 중 후임자 지정을 금지한 심마코교황의 교령(499. 3. 1.)을 위반하는 것이지만, 제왕의 위세로써 서약은 이행되었고 이때 옥타비아노는 이름을 요한(요하네스)으로 바꾸었다. 성직자였던 그는 당시 겨우 열여덟 살이었다. 그는 영적인 것에는 무관심했고 쾌락에 탐닉했으며, 거리낌 없이 방탕하게 살았다고 당시 기록들은 전한다. 그가 라테라노 궁을 매음굴로 만들었다고 호사가들은 비난했다.('다음백과' 참조)


    이후 교황이 된 그는 교황의 권위를 이용해 세상의 온갖 것들을 다 참견하고 다녔는데, 그 자신의 영토욕 또한 대단하여 958년 교황령을 확장하고자 나폴리 북쪽의 카푸아 공국과 남부 캄파니아 지방의 베네벤토 공국을 공격하였으나 참담한 패배를 맛봐야 했고, 오히려  교황령의 북쪽 지역인 스폴레토는 이탈리아 왕을 자처하던 베렝가리오 2세(Berengarius II, 950~963)에 의해 침탈당했다. 본시 야심만만하고 호전적인 베렝가리오 2세는 이에 그치지 않고 남쪽의 교황령을 잠식해 들어왔다.


    다급해진 요한 12세는 독일의 왕인 오토 1세에게 도움을 청했는데,(960년 말) 그는 이때 특사 두 명을 그에게 보내면서 오토 1세에게 황제의 왕관을 제안했다. 이것은 독일과 적대적이었던 아비 알베리코 2세의 정책을 전면적으로 파기하는 것과 마찬가지었으나 그로서는 이것저것 가릴 처지가 못되었다. 황제의 대관, 그것은 당시 그에게 있어서는 교황으로서의 마지막 권한이나 다름없는, 말하자면 손에 쥔 마지막 빅카드인 셈이었다. 


    그때 마침 독일 왕 오토 1세도 비슷한 처지에 처해 있었다. 독일 작센 지방의 공작이었던 그의 아비 하인리히 1세는 작센 일대의 여러 부족들을 통일하였고, 그리하여 아들 오토 1세에게 방대한 영토를 물려주었다. 하지만 당대의 오토 1세는 아비만 못하였던 바, 귀족들과 지방 제후들의 지속적인 반란을 경험해야 했는데, 이때 마침 교황으로부터 위의 달콤한 제안을 받게 되었다. 이에 오토 1세는 건곤일척의 결단을 내렸던 바, 961년 8월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이탈리아 원정에 나섰다. 



    독일 마그데부르그에 있는 오토 1세의 황금 기마상. 마그데부르그는 그에 의해 대주교가 있는 도시로 승격했다.



    앞에서도 말했고 곧 뒤에서도 말할 예정이지만, 더 이상 도망갈 곳이 없는 사람들은 종종 폭발적인 힘을 발휘할 때가 있다. 오토 1세 또한 그러했던 바, 그는 롬바르디아 평원에서 기다리고 있던 자신보다 우월한 수의 병력을 거느린 베렝가리오 2세의 군대를 격파했다. 그리고 이듬해인 962년 2월 21일, 로마에서 교황 요한 12세로부터 황제의 관을 받았다. 아울러 이때 그는 교황에게 자신에 대한 복종의 맹세를 받았는데, 요한 12세로서는 아니꼽기는 하지만 생명의 은인이나 마찬가지였으므로 수락하지 않을 수 없었다. 대신 오토 1세는 로마 교황령의 보호를 약속했다. 


    오토 1세로서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셈이었다. 교황에게서 독일 황제의 직위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음은 물론, 이를 이용해 독일을 다시 아우를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의 모험 수가 통한 것이었다. 그런데 문제는 요한 12세로부터 발생했다. 오토 1세의 행위가 못내 고까왔던 요한 12세는 과거의 적이었던 베렝가리오 및 그의 아들 아달베르토(Adalberto)와 몰래 결탁하고, 비잔틴 제국과 헝가리의 마자르 족에게도 밀서를 보내 독일 제국에의 포위망의 구축을 도모했다. 다시 자신이 황제의 위에 서고 싶었던 것이었다. 


    교황의 시커먼 속을 눈치 챈 오토 1세는 격노했다. 이에 오토 1세는 주교들의 교회회의를 주재하여 요한 12세의 폐위와 새 교황 레오 8세의 즉위를 결정하였다. 그리고 재차 이탈리아를 공격하여 베렝가리오 2세를 왕위에서 끌어내렸는데, 독일의 대군을 몰고 간 이번 싸움에서는 완승을 거두었다. 오토 1세는 이제 독일 왕국의 왕이자 이탈리아의 왕으로서, 명실 공히 제국의 황제로 불림에 부족함이 없었으니, 이후 사람들은 그를 대제(Great Empire)라고 불렀다.(당대와 작센 왕조 시절에는 '황제 아우구스투스'로 불려졌던 바, 로마의 초대 황제 아우구스투스를 흉내냄이었다) 



    오토 1세가 확장한 제국의 영토(붉은 색 실선)


    Magdrburgu landeshauptstad에 있는 오토 1세와 아델라이데 황후의 조각상. 962년, 함께 대관식을 치렀다. 



    이제 남은 것은 교회의 보물을 챙겨 휴양지 티볼리로 도망간 요한 12세에의 응징이었다. 오토 대제는 성 베드로 성당에서 교회회의를 주재해 요한을 배신과 반역죄로 고발했다. 교회회의는 요한에게 세 차례나 서한을 보내 교회회의에 출두해 소명하라 명했으나, 요한은 이를 거듭 거부하며 오히려 오토 대제를 파문시키겠다고 을러댔다. 이에 12월 4일, 요한이 궐석한 가운데 폐위가 결정되어졌는데, 후임으로 레오 8세가 선출되었다. 하지만 요한도 이대로 물러서지 않았다. 교황의 성좌는 지상의 권력에 의해 심판받을 수 없다는 오랜 교령에의 지지를 믿음이었다. 


    964년 1월, 오토 대제의 군대가 물러가자 요한은 자신의 지지 세력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켰다. 그리하여 다시 로마를 장악한 요한은 도망간 레오 8세를 대신해 교황에 복위하였고, 이후 자신의 반대자들에 대한 가혹한 숙청을 자행했다. 2월 26일 교회회의를 연 그는 황제가 주재한 교회회의의 결의 내용들을 파기하고, 레오를 찬탈자로 규정해 퇴위시키는 한편, 그가 집전한 서품식도 모두 무효로 선언했다. 그러나 그의 승리는 오래갈 수 없었다. 오토 대제가 재차 로마로 진군했기 때문이었다. 


    요한은 그는 4월에 남부 캄파니아로 도망갔으나 오토는 추적하지 않았다. 그를 추적해 붙잡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었지만 그의 처리가 망설여졌다. 생각 같아서는 불문곡직 교황을 잡아 죽이고 싶었으나 이후의 교회의 역풍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노릇이었다. 아무리 교황이 잘못을 저질렀대 해도 당대는 종교가 모든 것에 우월하는 세상이었다. 그런데 이 같은 오토 1세의 걱정을 캄파니아의 한 촌부가 제거해 주었다. 


    요한 1세는 캄파냐로 도망가서도 제멋대로였다. 그는 그곳에서도 자신이 좋아하는 프랑스 남부 브르고뉴 지방의 와인을 마시면서(그래서 이 지방의 와인은 교황의 와인 Vin du Pape로 유명해졌는데, 이후 샤토네프 뒤 빠쁘 Cha Châteauneuf-du-Pape가 되었다) 여자들과 즐기던 평소의 버릇 또한 버리지 못했는데, 그러던 5월 7일의 어느 날 유부녀와 동침하다 남편에게 들켜 죽어라 맞았고, 그 일주일 후 정말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바티칸 베드로 대성당에 들어가지 못하고 로마 라테라노 성당에 안치됐는데, 그에 대한 평가에서 긍정을 기대하는 것은 오히려 이상한 일이 될 터였다. 


    "도덕적이지 못한 삶을 살고 있었고, 호전적인데다 심심찮게 위증을 했으며, 수렵과 매 사냥, 노름과 술에 전념했던 사람이 사도좌에 선출되었다고 한다면, 거기서 어떤 긍정적인 면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인가?" 베로나의 라테리우스


    "요한 12세는 로마의 가장 잔혹했던 황제 엘라가발루스에 필적할 만한 인물로서, 강도, 살인, 근친상간을 저지른 인물이다. 그는 베드로좌에 앉아서 그리스도를 대리할 만한 자격이 없는 사람이었다. 이 흉칙한 성직자는 9년이란 재임기간 동안 교황좌를 더럽혔으며, 가히 가장 사악한 교황이라고 불릴 만 하다." ―루이 마리 드코맹― ('위키백과' 참조)


                

                  

                    교황의 와인으로 유명한  샤토네프 뒤 빠쁘


                         인터넷에서 검색한 요한 12세의 이미지 

     


    캄파니아에 있는 로마시대 유적.


    캄파니아에 있는 헤라 신전 페르스툼.(BC 450년) 


    캄파니아 전경. 130대 교황 요한 12세는 이 풍광 좋은 도시에서 맞아 죽었다. 


    캄파니아의 위치.



    ~얼마 전 sbs TV의 '그것이 알고 싶다'라는 프로그램에서 목사와 바람이 난 아내로 인해 온 가족이 파탄난 한 남자의 이야기를 보았다. 그 프로그램은 회 차를 두고 그 전과 지금 상황까지를 소상히 소개했는데, 가해자인 목사는 여전히 따따부따 설교 중이었고 교회 또한 여전히 잘 돌아가고 있었다. 하지만 피해자인 남자는 완전 피폐해져 단칸방에서 혼자 밥을 해먹으며 고독한 삶을 영위하고 있었다. 가족들도 다 흩어졌다. 


    목소리만 나왔으나 정작 본인은 크게 개의치 않아 하는 목사의 부인도 소개되었는데, 말은 그렇게 하지만 속으로는 얼마나 비참할까, 절로 동정심이 일었다. 물론 가장 괴롭고 비참하고, 한편으로 창피한 사람은 누구보다 피해자인 남편일 터, 하지만 그는 용감하게 얼굴을 드러냈다. 그것만이 진실을 밝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 여겼기 때문이리라. 그 분의 용기와 상심에 깊은 격려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 


    개신교의 목사는 성직자가 아닌 개인 회사의 대표와 같은 자연임이므로, 그를 교단에서 처분할 길은 사실상 없다.(하려고 들면 할 수도 있겠지만 그럴 의지는 없을 것이다)  법치주의 사회이니 만큼 린치도 허용되지 않는다. 결국 모든 것은 법에 맡길 수밖에 없을 터, 그 자에 대한 준엄한 법의 심판을 기대한다.  



    * 그림 및 사진의 출처: google jp. 

    댓글

아하스페르츠의 단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