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갑질에 저항한 진승과 오광의 난
    동양사에서 배우는 세상사는 법 2018. 5. 28. 23:57

    * 아쉽게도 글 쓴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 그래서 읽는 분께 좀 더 보탬이 될까 해서 ‘동양사에서 배우는 세상사는 법’이라는 카탈로그를 시간닿는 데까지 한번 꾸려보려 한다. 그동안 살아오며 경험한 세상과, 간간이 뒤적거린 한중일의 고전들을 나름대로 정리한 일종의 처세법 같은 것이다. 그 첫 번째로, 중국 최초의 농민반란이라고 알려진 ‘진승(陳勝)과 오광(吳廣)의 난’을 일으킨 진승과 오광을 갑질에 저항한 최초의 사례로 삼아 소개한다.



    난의 시발지 대택향(안휘성 동남현)에 세워진 봉기기념물 



    기원전 247년 진(秦)나라의 왕이 된 정(政)은 강력한 법가주의를 바탕으로 초(楚), 연(燕), 제(), 한(韓), 위(衛), 조(趙)의 여섯 나라를 정벌하여 기원전 221년 마침내 전국을 통일시킨 후, 기존의 왕과 차별화하기 위한 지위를 만들어 그 자리에 오른다. 과거의 삼황(三皇) 오제(五帝)에서 그 글자의 한 자씩을 따 만든 황제(帝)라는 자리였으니, 정은 중국 최초의 황제, 즉 시(始)황제가 된다.(지금 중국의 시진핑 주석을 시황제라고 부르는 이유도 여기 있다. 지금 그가 과거 정의 자리에 버금가는 위치에 올랐기 때문이다)


    시황제는 이후 기존의 봉건제 대신 강력한 중앙집권제인 군현제를 실시하고,(전국을 36개의 군현으로 나눈 후 중앙정부에서 직접 관리를 파견했다) 또한 강력한 법치주의를 바탕으로 나라를 다스리는데, 그것이 너무나 강력했던 탓에 그 아들 호해(胡亥) 황제에 이르러 망하고 만다. 겨우 2대를 넘지 못했던 것이다. 시황제는 진나라가 호(胡), 즉 오랑캐에 의해 망한다는 참언(亡秦者胡)을 염려해 열심히 만리장성을 쌓았지만(오랑캐인 흉노족을 막기 위해) 나라를 망하게 하는 자가 제 아들 호해인 줄은 몰랐던 것이다.(호해는 무능하고 방탕했으며 주위에는 조고와 같은 간신배가 들끓었다)


    그 강력한 법치주의는 진승(陳勝)과 오광(吳廣)의 난을 불러왔다. 학자들이 진나라 붕괴의 첫째 이유로 꼽는 직접적인 멸망의 단초로서, 난의 발발 이유는 의외로 단순하다. 기원전 209년 난한 농민출신이었던 진승과 오광은 함께 어양(漁陽, 지금의 북경시 부근)으로 차출되어가는 900여 명의 가난한 농민 중의 반장으로, 동북쪽 만리장성의 변방수직(수비)이 목적이었다. 그런데 그곳으로 가는 도중 폭우가 쏟아져 행군이 더뎌졌다.


    말한 바대로 당시 진나라의 법률은 매우 엄격해 도착날짜를 어기면 사형이라는 극단적인 형벌을 면할 수가 없었다. 이런 상태라면 진승과 오광은 현지에 도착해도 참수를 피할 방도가 없는 상황이었던 바, 이판사판이라 여긴 두 사람은 인솔자인 두 장수를 동시에 베어버리고 900여 명의 일행들과 함께 난을 일으킨다. 이때 진승이 일행들에게 선동한 말도 같은 말이었다. “어차피 우리들은 죽은 목숨이나 마찬가지니 이판사판 꿈틀이나 해봅시다.”



    일행을 선동하는 진승과 오광



    그리고 이때 뱉은 유명한 대사가 바로 “왕후장상영유종호(王侯將相寧有種乎)”, 즉 ‘왕후와 장상의 씨가 어찌 따로 있겠느냐’였다. 즉 나나 당신들도 왕이나 제후, 장군이나 재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었는데, 아닌 게 아니라 스스로를 장군이라 칭하고 오광을 도위(都尉)로 명하였으며, 아예 국호까지 정해 대초(大楚)라 일렀다.(그가 하남성 출신이므로 초나라의 이름을 붙였던 듯하다) 


    리고 당장은 무기가 없었으므로 대충 나무를 깎아 무기를 만들어 두 갈래로 진격했는데, 진승의 부하 주문이 수도 함양의 관문 함곡관(函谷關)에 이르렀을 때는(2대 황제 호해 2년, 기원전 208년 9월) 천여 대의 전차를 보유하였을 뿐 아니라 군사가 수십만 명에 달할 정도로 그 수가 불어 있었다. 이에 진나라에서는 대장군 장감이 20만 병력을 이끌고 맞서게 되었다. 


    진승과 오광의 난 경로

    오른쪽 빨간 밑줄로부터 각각 시발지인 대택향, 함곡관 요새, 수도 함양이다. 


    당대의 진나라 영토(출전: 위키백과)


    수도 함양의 관문 함곡관 요새

    난공불락 요새의 대명사 같은 곳으로, 옛 사서에 자주 등장하는 성채이지만 옛 자취는 남아 있지 않은 듯하다. 


    진시황 병마용갱의 도용

    지난 1974년 발굴된 이후 이 도용들을 볼 때마다 무기가 없는 맨 손이라 이상했는데 반란군이 이곳까지 쳐들어와 무기를 모두 빼갔다는 설명이다. 이때 병마용갱 역시 손상을 입었다 한다.


    실물대(사실은 그보다 조금 더 크다)로 제작된 도용들

    앞에 무릎을 꿇고 있는 도용은 연발발사 활인 쇠뇌를 쏘던 궁수들이다. 쇠뇌 역시 마찬가지로 훔쳐갔다. 


    진시황 병마용갱의 위용



    여기서 잠깐 현실로 돌아와보자. 이번 대한항공 사태가 증명하듯, 경험상으로 보자면 본시 갑질을 하던 것들은 구성원들이 아무리 비위를 맞추고 갖은 노력을 해도 그 갑질은 변하지 않는다. 그래서 노조가 있는 것이지만 이미 어용노조가 되었거나, 혹은 노조가 없는 중소기업에서는 사용자의 갑질에 그대로 당할 수밖에 없다.(한노총은 물론 민노총 역시 귀족노조가 된 지 오래라 중소기업이나 비정규직 문제에는 고개도 까딱하지 않는다. 도움을 받으려면 자기들 노총에 가입해야 된다는데.....)


    특히 월급이 고용주의 호주머니에서 나오는 작은 회사에서는 그 횡포가 더욱 지랄인 경우가 있는데, 이 같은 1인 황제 기업에서는 처음부터 성깔을 보여주어 함부로 대해지 못하도록 만드는 자구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해고하면 노동청에 진정하면 된다. 물론 복직은 어렵겠지만 굳이 복직할 필요도 없다) 흔히들, 시간 가면 나아지겠지 하며 굴욕을 참고 견디지만 그래서 나아지는 경우는 못봤다. 게오르규 루카치의 말처럼 굴종할 준비가 돼 있는 자에게는 폭군이 군림할 뿐이다. 반면 꿈틀거리는 벌레는 밟기 힘들다. 


    한 번 만만한 놈, 순진한 놈으로 치부되면 그 회사를 그만 둘 때까지는 영원한 '호구'다.(심지어는 부하 직원들까지 만만히 본다) 그런데 그것도 이미지인지라 중도에 바꾸기란 여간 힘든 게 아니다. 혹자는 그걸 자신의 무기로(말하자면 '착함'을 무기로) 삼는 자도 경우도 있으나 그건 절대 무기가 될 수 없다. 자고로 무기란 상대에게 최소한의 상처라도 입힐 수 있어야만 그 가치가 있는 법이다.


    진승은 비록 가난해 남의 집 머슴살이까지 했으나 나름 뜻이 있고 생각있던 자인 듯하였으니, 그 일화로서 또한 유명한 '연작안지홍곡지지(燕雀安知鴻鵠之志)가 있다. 


    어느 날 진승이 밭일을 하다가 함께 일하던 사람들에게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훗날 이 중에서 누구든 잘되어 부귀를 누리게 되면 함께 고생한 서로를 잊지 말기로 합시다." 


    하지만 사람들의 반응은 무척이나 냉소적이었으니, 남의 밭일이나 하는 주제에 부귀영화의 헛꿈을 꾸고 있다는 식의 반응 일색이었다. 이에 진승이 혼자 중얼거렸다는 말이 '연작안지홍곡지지(제비나 참새 따위가 어찌 기러기나 고니 같은 큰 새의 뜻을 알리오)'였다. 


    나 역시 마찬가지지만 지금 고생하고 있는 사람들은 적어도 이만한 포부는 있어야 한다. 진승의 말대로 금수저는 타고 난 것이지만 그 금수저의 종자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니, 흙수저도 제 마음 먹기 따라 시류만 도와준다면 얼마든지 금수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말한 진승과 오광의 난은 물론 성공하지 못했다. 그 난이 워낙에 중과부적이었고 또한 내분까지 겹쳐 불과 반 년만에 막을 내리고 말았던 것이었다.(진승, 오광 모두 내부의 적에 의해 목숨을 잃는다) 


    하지만 훗날 사마천은 "사기"를 편찬함에 있어 진승의 짧은 일대기를 역대 군주와 제후들의 열전인 '세가(世家)'에 실었다. 비록 난은 실패했지만 군주의 대접을 해준 것이었으니, 비록 생은 짧았으나  남자로서는 더없는 홍복이요 영광을 누린 셈이었다. 



    "사기" '세가'의 진승열전. 진섭의 섭(涉)은 그의 자(字)이다. 


      * 사진 및 그림의 출처: Google. jp

    댓글

아하스페르츠의 단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