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관포지교, 이게 우정이라고?
    동양사에서 배우는 세상사는 법 2018. 6. 7. 23:33


    태공망 여상이 희발(무왕)을 도와 주나라를 건국한 일에 대해서는 '강태공과 그의 아내' '태공망 여상과 육도삼략(六韜三略)'에서 자세히 설명했다. 이로 인해 여상은 당연히 주나라 건국의 일등공신이 되었던 바, 그 공으로 동쪽 제(齊)나라 땅을 하사받아 제후가 된다. 하지만 그 대단했던 태공망 여상과 달리 그 후손들에게서는 그만한 인물이 나오지 않았으니, 그 3대손인 애공은 옆의 듣보잡 기(杞)나라에게조차 씹혀 목숨을 잃는다. 


    ~ 기나라가 완전 듣보잡은 아니고 기우(杞憂)라는 고사성어에 잠깐 등장한다. 하늘이 무너질까 늘 염려하고 살았다는 바보가 바로 기나라 사람이다. 


    ~ 제나라는 태공망 여상과는 무관한 본래 동성혼이 행해지던 동이(東夷)족의 나라였으며 태공망 분봉(分封) 운운의 것들은 환공이 제패한 후 공실(公室)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갖다 붙였다는 학설도 있으나 여기서는 일단 배제하기로 하겠다. 


    이후로도 제나라는 계속 별 볼 일 없다가 14대손에 이르러 걸출한 영걸이 탄생하게 되는 바, 이 사람이 바로 유명한 제 환공(桓公)이다. 제 환공의 이름은 소백(小白)으로 희공(僖公)의 셋째 아들이었다. 따라서 아버지의 자리를 승계해 제후가 되기는 힘들었으나, 희공이 죽은 후 나라에 변란이 일어나고 그 와중에 제후의 자리가 공석이 되는 바람에 나라의 주인이 된 사람이었다.


    이를 보면 얼핏 운이 따라 쉽게 왕위에 오른 인물 같으나 사실은 그렇지 않았으니, 그 과정을 축약하면 다음과 같다. 


    희공에게는 아들이 3명 있었다. 그 첫째가 제아(諸兒), 둘째가 규(糾), 셋째가 소백이었다. 그런데 아버지 희공의 뒤를 이어 제후가 되었던 맏아들 제아가 변란 중에 죽고, 쿠데타를 일으켰던 무지(無知)라는 사촌 또한 피살돼 죽고 말았다.(BC 685) 이에 제후의 자리는 공석이 되었던 바, 변란을 피해 외국으로 망명했던 규와 소백 중, 누구든 빨리 수도인 임치(臨淄)로 가 자리에 오르면 될 일이었다. 



    춘추시대 지도와 두 공자의 향배( 규, 는 소백)



    당시 둘째 아들 규를 모시던 사람은 관중(管仲)으로, 그는 공자 규와 함께 노(魯)나라로 피신해 있었고, 셋째 아들 소백을 모시던 포숙(鮑叔)은 동쪽 국경 가까운 거(莒) 땅에 피신해 있었다. 이에 양쪽이 다 귀국을 서둘렀는데, 위 그림에서 보다시피 소백이 있는 거 땅이 수도 임치에 가까웠다. 


    다급한 마음의 관중은 빨리 말을 달려 소백이 귀국하는 길목에 미리 가 매복을 했다. 그리고 공자 소백을 포착하고는 그대로 활을 쐈고, 화살은 정확히 소백의 배에 박혔다. 소백의 죽음을 확신한 관중은 다시 노 땅으로 돌아와 공자 규와 함께 임치로 돌아왔으니, 이제 비어 있는 왕좌에 규를 앉히면 될 일이었다. 





    그런데 이게 웬 일! 이미 왕좌에는 자신이 죽인줄 알았던 소백이 앉아 있는 것이 아닌가? 소백이 화살에 맞은 것은 사실이었다. 하지만 화살은 다행히도 허리띠의 버클에 맞아 죽지 않았는데, 순간 기지를 발휘해 죽은 체함으로써 위기를 넘어갈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곧장 귀국하여 왕위에 오르니 이 자가 바로 환공이었다.




    춘추시대 허리띠 장식인 청동 대구



    작전이 실패한 관중은 이번에는 노나라의 군대를 빌려 제 환공을 공격했지만 결과는 노나라의 참패였다. 싸움에 진 노나라가 제나라에 화의를 청하자 환공의 참모 포숙은 화의 조건으로 공자 규의 목과 함께 관중의 송환을 요구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제 나라 사람들은 관중이 환공을 사살하려 한 자이므로 환공이 직접 처단케 하기 송환하는 줄 알고 있었다. 


    그런데 이건 또 웬 일! 포숙은 관중을 죽이기는커녕 그를 환공에게 재상으로 천거했다. 환공께서 제나라 하나로 만족하신다면 자신 한 명으로 족하지만, 중원의 패자(覇者)가 될 포부를 가지고 계신다면 자기만으로는 부족하다며 관중을 강력하게 민 것이었다. 떫떠름하지만 환공은 포숙의 추천을 받아들여 관중을 재상으로 삼았고, 포숙 자신은 기꺼이 관중의 아랫자리로 들어갔다. 



    환공에게 관중을 천거하는 포숙



    포숙이 관중을 재상으로 삼고, 자신은 그 밑으로 들어간 것은 관중의 능력을 익히 알고 있던 까닭이었으니, 실은 두 사람은 어릴 적부터 같이 자란 사이였다. 다만 시대적 상황이 두 사람을 잠시 적으로 만들었을 뿐인데, 기실 공자 규의 선생으로 관중을 천거한 사람도 포숙이었다.(먼저 벼슬길에 올라 공자 소백의 선생이 되었던 포숙이 공석이 된 규의 선생님 자리에 관중을 앉힘으로써 관중도 공직자가 되었다)


    게다가 그 두 사람은 어릴 적부터 막연한 친구 사이였던 바, 관중이 말한 두 사람의 관계는 이러하였다. 훗날 세상사람들이 관포지교(管鮑之交)라 칭하며 우정의 대명사처럼 쓰인, 그와 같은 고사성어의 배경이 된 아름다운 일화였다. 


      "과거 내가 어려울 때 포숙과 함께 장사를 하였는데, 이익을 나눔에 있어 내가 몫을 더 많이 가지곤 하였으나 포숙은 나를 욕심장이라고 하지 않았다. 내가 가난한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吾始困時, 嘗與鮑叔賈, 分財利多自與, 鮑叔不以我爲貪, 知我貧也)"


      "일찍이 나는 포숙을 위해 일을 꾀했다가 실패하여 더 곤궁한 지경에 이르게 만들었는데도 포숙은 나를 우둔하다 하지 않았다. 경우에 따라 유리하고 불리할 때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吾嘗爲鮑叔謀事而更窮困, 鮑叔不以我爲愚, 知時有利不利也)" 


      "일찍이 나는 여러 번 벼슬길에 나갔다가 매번 주군에게 쫓겨났지만 포숙은 나를 무능하다고 하지 않았다. 내게 시운이 따라주지 않았다고 여겼기 때문이다.(吾嘗三仕三見逐於君, 鮑叔不以我爲不肖, 知我不遭時也)"


      "일찍이 나는 전쟁에서 여러 번 패해서 달아났지만 포숙은 나를 겁쟁이라 하지 않았다. 내게 늙은 어머니가 있다는 걸 알고 있기 때문이다.(吾嘗三戰三走, 鮑叔不以我爲怯, 知我有老母也)" 


    말하자면 포숙은 관중을 늘 이해하고 모든 것을 양보하는 사람이었다. 나아가 포숙은 재상의 자리까지 양보한 것인데, 관중은 이번에는 그 같은 포숙의 기대에 부응했다. 그는 재상으로 있던 30년 동안 약소국이었던 제나라를 부강한 나라로 변화시켰다. 


    그리하여 주변의 작은 나라들을 껴안으며 서쪽의 강국인 진(晉)과 남쪽의 강국인 초(楚), 북쪽 오랑캐인 적(狄)과 융(戎)을 격파하였고, 마침내 기원전 651년 환공은 각국의 제후들을 불러모은 자리에서 당대의 패자로서 인정받게 되니 저 유명한 춘추오패(春秋五覇)의 첫머리를 장식하게 되었다. 

     

     


    제 환공의 동상



    일을 너무 많이 한 때문일까, 제나라를 춘추시대의 초강국으로 만든 관중은 병을 얻어 자리에 누웠는데, 그때도 그는 과거를 돌이키며 포숙에 대한 고마움을 표시했다. 


      "과거 공자 규가 패하였을 때 동료였던 소홀은 죽고 나는 붙잡혀 욕된 몸이 되었지만 포숙은 나를 낯 두껍다 하지 않았다. 내가 작은 일에 부끄러워하지 않고 천하에 이름을 드러내지 못함을 부끄러워하는 줄 알기 때문이다. 나를 낳아 준 이는 부모님지만 나를 알아준 이는 포숙이다.(公子糾敗, 召忽死之, 吾幽囚受辱, 鮑叔不以我爲無恥, 知我不羞小節而恥功名不顯於天下也. 生我者父母)" 


    그것까지는 아주 좋았다. 하지만 그렇듯 막중한 신세를 졌음에도 불구하고 관중은 자신의 후계자로 포숙을 지명하지 않었다. 관중이 병으로 재상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자 환공이 재상의 자리에 포숙을 앉혀도 되느냐 물었을 때도 관중은 이에 반대했다. 그 이유가 자못 황당한데, '포숙은 흑백이 명확해 재상으로서는 맞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이에 결국 포숙은 재상이 되지 못했는데, 사실 그 전에도 포숙은 요직을 맡지 못했었다. 


    아마도 포숙은 항상 그래왔듯 이번에도 관중을 원망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들의 관계는 포숙만이 베푸는 일방적인 우정의 관계였기에...... 말하자면 관중은 늘 얻어먹었음에도 제 것만을 챙기며 하나도 갚지 않는 얄미운 친구였던 것이다.(적어도 친구 관계에 있어서는 말만 번지르한 사람이었다)


    혹자의 견해처럼 그것이 정말로 포숙의 능력이 부족해서였을는지 모른다. 그래서 나라를 위하는 마음에 어쩔 수 없이 포숙을 제껴놓은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것은 옳은 견해로 보이지는 않으니, 관중의 사후 나타난 결과가 전혀 바람직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관중이 죽은 2년 후, 환공의 후계자 자리를 둘러싼 2세들 간의 암투가 벌어지게 되는데, 환공은 당시 병석에 있었고 궐내에서는 이를 컨트롤할 만한 인물이 없었다. 포숙 같은 중신이 있었으면 좋았으련만 그는 궐내의 힘을 쓸 만한 요직에서 이미 배제돼 있었다. 


    환공의 병세는 당대의 명의(名醫) 편작이 치료를 마다하고 되돌아 갈 정도로 위중한 것이었다. 이를 본 환관장(내시의 우두머리) 수초는 재상 역아와 공모해 궁궐 앞에 다음과 같은 팻말을 세웠다. 


    '과인의 병이 위중하므로 당분간 나라 일을 처리하지 못하노라. 이에 모든 신하의 궁궐 출입을 금하노니, 수초는 궁문을 굳게 지키고 역아는 이를 위반하는 자가 없는 지 감시하라. 정사(政事)는 과인의 몸이 쾌차한 후 재개하겠노라.'


    물론 거짓말이었으니, 후계자를 자신들이 작당해 세우겠다는 수작이었다. 그들의 전횡은 그것으로 끝나지 않았던 바, 환공의 침실에 3장(丈)의 높은 담장을 쌓고 생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멍 하나만을 뜷어놓았다. 환공은 음식마저 공급받지 못한 채 그대로 굶어죽었고 시체마저 67일 동안 방치되어 구더기가 들끓었다.


    이후 피비린내 나는 싸움 끝에 기원전 685년 여름, 공자 무휴(無虧)가 왕위에 올랐으나 그 역시 채 석 달을 버티지 못한 채 반란으로 목숨을 잃고 말았다. 그는 시호도 받지 못했다. 환관장 수초도 이때 죽었고 역아는 노나라로 달아났다.(그 기록은 "춘추좌씨전"에 보다 확실하며 "사기"에는 무휴가 '무궤'로 되어 있다)


    그리고 다시 이웃 나라들을 끌어들인 전쟁이 거듭된 후 송나라에 망명했던 세자 소(昭)가 제 효공(孝公)이 되었다. 제 환공이 죽은지 7개월 만의 일이었다. 효공은 그때 비로소 아버지 환공의 시신을 거둬 우수산(牛首山)에 장사지냈다. 



    산동성 제 환공의 능묘

    제나라 5 왕의 능묘에 묻혔는데, 정확히 어느 무덤인지도 모른다.



    관중의 사후 일어난 이 일련의 혼란들은 당시 제나라에 얼마나 인물이 없었는가를 단적으로 말해준다. 그럼에도 관중은 자신의 사후 포숙을 재상으로 세우기를 거부했고, 대신 재상에 오른 역아는 나라를 개판으로 만들어 놓았다. 


    이것을 볼 때 그들의 우정 관포지교는 그저 허울 뿐인 가짜 우정이었다고 말하지 않을 수없다. 포숙은 그저 베풂으로써 기쁜 호인이었고, 관중은 늘 받아처먹음에도 고마움을 모르는 뻔뻔스런 사내였을 뿐이다. 호의가 반복되면 권리인줄 안다는 말이 있는데, 관중의 경우는 딱 그 짝이었다. 


    주위에서 보면 열 번을 얻어먹고도 단 한 번을 사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그 비싼 커피를 왜 사먹느냐. 커피는 남이 사 줄 때만 먹는 것', '술은 회식 자리에서만 마신다'고 자랑스럽게 말하기도 한다. 한 마디로 남에게 커피 한 잔 산 적이 없다는 말이며, 제 돈은 아깝고 남의 돈은 아깝지 않다는 말이다. 


    단언하거니와, '소탐대실(小貪大失)'의 전형이다. 자신이 관중과 같은 출중한 능력이 있다면 별 문제거니와 이런 사람들이 잘 될 리 절대 만무하다. 아끼는 것도 정도가 있는 것이지, 살면서 커피 한 잔 안 사는 후안무치함을 좋아하는 사람은 세상에 없다. 그저 밉상일 뿐이다.(이상한 건, 그럼에도 그들에게서 미안함 따위를 찾아 볼 수 없다는 점이다)


    나의 대범치 못한 단견(短見)일는지 모르겠으나, 관포지교를 과연 아름다운 우정이라 정의할 수 있을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다만 한 가지 명확한 것은, 친구가 어렵다며 돈을 꿔달라고 할 때 거절하는 쪽이 경제적으로나 정신건강 면에서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결국 친구도 잃고 돈도 잃는다는 것이 그간의 뼈저인 경험인데, 이래저래 잃을 거라면 돈이라도 지키는 편이 낫지 않나 싶다. 




    산동성에 있는 관중의 동상과 묘

    관중은 사후로도 이렇듯 기념할 만한 인물이 되었지만, 그 자리를 양보한 포숙은 '관포지교'의 허울 뿐인 미명만 남았을 뿐 동상도 무덤도 없다. 


    * 사진 및 그림의 출처: Google. jp

    댓글

아하스페르츠의 단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