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
사라진 낙산아파트와 아직 남은 회현제2시민아파트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5. 7. 11. 23:29
예전의 서울시 아파트는 대부분 산 위에 있었다. 1968년 6월 18일 이 땅 최초의 시민아파트 단지였던 서대문구 천연동 금화시민아파트가 그랬고, 1968년 남산자락에 건립됐다 2003년 철거된 회현제1시민아파트가 그랬고, 1970년 마포 와우산 위에 세워졌다 붕괴된 와우시민아파트가 그랬다. (☞ '1970년 와우아파트 붕괴 사건') 이어 1971년 산자수명한 인왕산 계곡에 세워졌다 2011년 철거된 옥인시범아파트가 그랬고, 1972년 건설돼 부촌의 대명사로 쓰이다 2021년 폭파 철거된 남산외인아파트가 그랬고, 1970년초 지금의 낙산 한양성벽 자리에 있던 동숭동 시민아파트와 창신·숭인동의 판자촌을 밀어내고 건립됐다 2000년 철거된 낙산시민아파트가 그랬다. 남산외인아파트 철거 장면 이상의 아파트들..
-
창신동에 살았던 박영효·임종상·백남준·박수근·배호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5. 7. 8. 23:33
창신동 봉제골목의 연결 도로인 창신4길은 이제 베트남인의 거리가 되었다. 앞서 말한 대로 창신동 봉제산업의 맥을 동남아인이 이었기 때문인데, 이제는 베트남인 할머니, 한국인과 베트남인 부부, 그리고 그들의 혼혈 자제 3대를 보는 것도 그리 어렵지 않은 풍경이 되었다. 한국인과 결혼한 베트남 여자가 친정 엄마를 데려온 경우이다. 그러니 대림동 · 가리봉동 ·구로동의 연변거리는 오죽하겠나 싶은데, 다만 그들은 겉모습으로는 표시가 안 된다. (사실 그래서 무섭다) 아무튼 지금은 그렇게 이방인 마을이 된 창신·숭인동이지만 조선시대에는 성북동과 더불어 도성 출입 쉬운 대표적 성저십리 마을이었다. 이번에 위의 사실을 동시에 느끼는 재미난 경험을 하였던 바, 베트남인 남녀가 담배 피우는 창신4길 음식점 앞을 지나다..
-
창신동의 김광석과 전태일, 그리고 소년공 이재명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5. 7. 7. 06:23
안양암을 나와 지척에 있는 창신동 돌산마을 조망점을 향했다. 일전 방송에서 장소찾기 프로그램에 소개되며 이곳이 '서울 맞냐?'는 의문이 일었던 곳이다. 그러다 '서울 맞다'는 대답에 게스트들이 일제히 탄성을 터뜨렸던 그곳인데, 도착하기 전 가객(歌客) 김광석이 살던 집을 기웃거렸다. 일부러 찾아간 것은 아니고 돌산마을 조망점을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나야 하는 길이기 때문인데, 지금은 봉제공장이 들어섰다. 대구 봉덕동에서 태어난 김광석은 5살 때 서울로 와 장충동에서 살았고, 이후 11살 때 창신동 연립주택(아래 사진)으로 이사 와 26살 때까지 살았다. 그는 이곳에서 살며 중학교에서 대학교까지 다녔는데, 그의 주옥같은 노래의 대부분이 여기서 작곡됐다. 특히 '이등병의 편지'는 군입대 직전 작곡한 노래..
-
철거되는 박원순표 유령 마을 돈의문박물관마을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5. 6. 10. 20:00
"480억 공중분해 됐다."서울에 있는 이른바 '박원순표’ 유령 마을'의 철거가 결정됐다는 소식이 나온 후 언론이 보인 반응이다. '박원순표’ 유령 마을'은 서울 종로구 신문로2가에 위치한 '돈의문 박물관 마을'을 말하는 것으로서 본 블로그에서 이미 몇 차례 소개한 바 있다. 하지만 나쁘게 말한 적은 없고, '시민 휴게 공간도 아니고, 박물관도 아닌 그저 애매한 장소라는 게 특이하다'는 정도로서만 소개했는데, 결국 철거될 모양이다. '돈의문 박물관 마을'은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야심 차게 추진한 도시 재생 프로젝트 중의 하나로서 2017년 개관했다. 이후 나는 근방에 갈 때마다 역사적 장소(경기감영, 새문안, 서대문 터, 김구 선생이 살해된 경교장 등)에 둘러싸인 그곳에 들러 주위를 걸어보곤 했는데..
-
서울 시흥 탑동의 탑과 보문동 탑골승방의 탑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5. 4. 24. 23:51
돌아다니다 보면 탑동, 탑말, 혹은 탑리(塔里)라는 지명을 만날 때가 있는데, 의외로 그곳에 탑이 없을 적이 많다. 대표적인 예가 경주시 탑동으로, 경주가 탑이 흔한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근방에는 탑이 없다. 궁금한 마음에 좀 더 알아보니 이곳에 신라 때의 담암사(曇巖寺)라는 절이 있었고 폐사 후에도 탑이 남아 탑리라 불렸다고 한다. 그것을 보면 담암사 탑은 근자에까지 존재했던 듯하나 지금은 찾을 길이 없다. 반면 탑이 흔하지 않은 서울 속 탑동에는 탑이 존재한다. 그래서 첫 번째로 서울탑동초등학교 부근 금천구 시흥동 탑골로에 있다는 려말선초(고려시대 말~ 조선시대 초) 삼층석탑을 찾아 나섰는데, 조금 어려웠다. 사실 시흥동 탑골로(路) 탑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데다 GPS에도 표시되지 않는다. 그래서..
-
조선의 대표 배신자 친중파 김자점의 최후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5. 4. 11. 21:39
앞서 말한 노량진 유원강변아파트와 래미안 트윈파크아파트 단지 앞으로는 바로 한강이다. 그리고 뒤로는 사육신묘 공원이 있는 바, 뷰(VIEW)로서만 따져본 주거환경으로는 가히 서울의 으뜸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이곳에는 사육신묘 외에 절의(節義)의 또 다른 표상 박태보의 위패를 모신 노강서원이 있었던 바, (유원강변아파트 103동 자리) 곱으로 의미가 깊은 장소라 하겠다. (본래 사육신묘 부근에는 동작동 시민아파트가 있었으나 철거되고 2000년 4400여평 규모의 사육신묘지공원가 조성됐다) 이렇게 놓고 보니 갑자기 부동산 영업소의 블로그처럼 되어버렸다. 하지만 부동산 쪽은 평소에도 그리 관심이 없고, 앞서의 소개도 사육신묘를 강조하고 싶음이다. 물론 사육신묘 자체보다는 그 충절을 강조하고자 함인데, 더..
-
노강서원이 있던 노량진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5. 4. 9. 21:02
용산에만 머물다 이윽고 눈앞에 보이는 한강대교를 건넜다. 그리고 취지에 맞게 옛 흔적들을 더듬어보았다. 가장 먼저 찾아간 곳은 용양봉저정(龍驤鳳翥亭)이라는 정자로 조선 22대 왕 정조 임금의 화성 행차 흔적이 남아 있는 곳이다. 잘 알려진 대로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는 영조에 의해 뒤주에 갇혔고 여드레째 되는 날 죽었다. (8일간 버틴 것은 아니고 여드레째 되는 날 확인해 보니 죽어 있었다) 정조는 그렇게 원통히 죽은 아비를 연모해 재위기간 동안(1776~1800) 총 12회에 걸쳐 노량진 쪽의 한강을 건너 사도세자의 묘(현륭원)가 있는 수원 화산(華山)에 능행했다. 아래 사진은 서울역사아카이브 '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에서 발췌한 근세 노량진의 모습으로 '1910년 전후 노량진 일대'라는 제목이..
-
타임머신 열차를 타고 가는 둔지미 과거로의 여행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5. 3. 31. 22:56
어릴 적 보았던 '은하철도 999'라는 만화영화를 자주 인용한다. 일본 만화가 마츠모토 레이지의 SF 만화영화 속 운송수단이었던 은하철도 999는 안드로메다 성운의 어느 별로 가기 위해 우주 공간을 달린다. 그 열차의 탑승객인 호시노 테츠로(철이)와 신비의 여인 메텔이 중도에 정거장과 같은 여러 별에 기착하며 별의별 상황에 처하고 또 극복해가는 과정이 그려진 스토리는 어린이들이 보기에는 꽤 무거운 주제였음에도 폭발적 인기를 누렸다. 그래서였는지 시청자층의 연령도 어린이에 국한되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된다. 신비의 여인 메텔이 안드로메다로 가는 이유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철이의 경우는 분명하니 안드로메다의 어느 별에서 무료로 시술되는 기계인간의 몸이 되어 영생을 찾는 것이 목적이다. 그런데 저 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