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
정미칠적과 박제순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4. 9. 29. 00:33
1905년 11월 17일 밤 8시, 덕수궁 중명전에는 참정대신 한규설 · 외부대신 박제순 · 내부대신 이지용 · 법부대신 이하영 · 학부대신 이완용 · 농상공부대신 권중현 · 군부대신 이근택 · 탁지부대신 민영기가 대한제국의 대표로, 일본국 전권특사 이토 히로부미와 주한 일본공사 하야시 곤스케가 일본국의 대표로 마주 앉았다. 대한제국의 외교권 제한을 골자로 하는 이른바 을사조약에 관한 협상을 하기 위함이었다. 협상은 자정을 넘긴 18일 새벽 1시, 주한 일본군 사령관 하세가와가 지휘하는 착검한 일본군들이 중명전을 포위한 가운데,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공사 하야시 곤스케가 조약문에 서명 날인함으로써 체결됐다. 1905년 을사년에 강제로 체결된 조약이라 하여 을사늑약(乙巳勒約)으로도 불리는 이 일은 을 통..
-
박제순과 이완용, 어느 놈이 더 나쁜 놈인가? (I)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4. 9. 27. 00:40
지난 2006년, 서울시 중구 예장동 옛 안기부 부지 내에서 지금은 잊힌 인물 하야시 곤스케의 동상 판석(版石)이 발견되었다. 언뜻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일본인의 동상은 꽤 많을 듯싶지만 이토 히로부미의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 그런데 하야시 곤스케라는 인물의 동상이 남산 초입에 우뚝했던 것이니 어떤 놈인지 잘은 모르지만 조선의 멸망에 대단한 공을 세운 자임은 분명할 것이다. 하야시 곤스케는 1900년 주한 일본공사로 조선에 와 이후 7년간을 머물며 1904년 한일의정서와 제1차 한일협약, 이듬해에 제2차 한일협약을 성사시킨 자이다. 이 제2차 한일협약이 조선의 외교권을 빼앗아 사실상 식물국가로 전락시킨 그 유명한 을사늑약으로, 이에 대한 공로로 일본정부는 1906년 남작의 작위를 내렸고, 1936년..
-
전설과 억측이 혼재된 망우리와 동구릉 건원릉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4. 8. 30. 17:33
앞서 말한 '함흥차사 & 이성계가 여덟 밤을 잔 팔야리 전설'을 잇자면, 태조 이성계는 한양으로 돌아온 후 전과 달리 괄괄했던 성격이 사라지고 매우 얌전히 지냈다. 말수도 급격히 줄어 태종에게도 달리 하는 말이 없었는데, 그도 이미 나이 쉰을 바라보고 있었던 바, 딴은 기력이 부칠 만도 했다. 전설에 따르면 이성계는 이때부터 제 묏자리를 보러 다녔다고 한다. 당시의 이야기가 서울시 중랑구 망우동의 망우리 고개와 망우동 295-2에 있는 양원샘에 얽혀 전한다. 먼저 현 망우리 고개 안내판에 쓰여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1934년 도읍을 정하고 사직의 기초를 세웠으나 아직 자신이 죽은 뒤 묻힐 명당을 찾지 못해 걱정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전국에 지관(地官)을 파견하여 명당을 찾게..
-
김정희와 북한산 승가사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4. 8. 22. 21:34
과천 추사박물관에서 추사를 만나고 온 후, 내친김에 북한산 승가사(僧伽寺)까지 갔다. 잘 알려진 대로 승가사는 추사 김정희가 자주 찾던 절이다. 그가 왔을 때는 지금처럼 뽀샵으로 번잡해진 절이 아니었을 터, 만일 현재의 모습이라면 김정희도 난색을 표했을 것이라 생각하며 입구의 화려한 청운교 돌계단을 오른다. 내가 승가사를 찾은 이유는 두 가지로, 첫째는 이 절에 있다는 추사 김정희의 각서(刻書)를 찾아보려 함이고, 두 번째는 약사암에 있는 승가대사의 등신대 석상을 만나보기 위함이었다. 김정희는 기본적으로 유학자였으나 불교 사상에도 상당한 식견을 자랑하였으니, 대표적으로 1843년 승려 백파긍선(白坡亘璇, 1767~1862)이 지은 의 내용을 두고 오랜 기간 백파율사(=백파긍선)와 논쟁한 이야기는 유명하다..
-
이괄이 눈물로 건넌 송파나루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4. 8. 15. 23:08
서울 강남에 무슨 전설이 있겠냐 싶겠냐만은 의외로 전해지는 전설이 적지 않다. 그중에서도 송파의 지명이 유래되었다는 어부의 꿈은 흡사 예지몽처럼도 여겨져 흥미롭다. 내용인즉, 한강 고기잡이로 생활하던 한 어부가 낮잠을 자다 인근의 소나무 언덕이 한강물에 의해 무너지는 꿈을 꾸었는데, 얼마나 놀랐던지 주위 사람에게 이를 떠들어댔고 이후 이곳이 소나무(松) 언덕(坡)이란 뜻의 송파로 불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출전: 송파구청 홈) 이 꿈은 1925년에 을축년 대홍수가 터지며 현실이 됐다. 앞서 '강남역 물난리와 을축대홍수'에서 언급했듯 그해 여름 한강 유역에는 753mm라는 기록적인 비가 내렸다. 특히 7월 15일부터 18일까지 나흘간 무려 400~500mm의 비가 쏟아지며 수많은 사상자와 엄청난 피해를 발..
-
암사동 신석기 유적을 세계에 알린 사라 넬슨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4. 6. 30. 22:32
몇 해 전 타계한 미국의 저명한 고고학자 사라 넬슨은 1973년 미시간대 대학원에서 '한강유역 신석기시대 빗살무늬 토기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것만 보더라도 사라넬슨은 빗살무늬토기 전문가이자 지독한 암사동 사랑꾼임을 알 수 있다. 서울 강동구 암사동은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빗살무늬토기 유적지로서, 우리가 교과서 등에서 익히 보아 온 포탄 모양의 빗살무늬토기가 바로 암사동 선사유적지에서 나온 것이다. 사라 넬슨은 이곳에서 출토된 빗살무늬토기를 집중 연구했다. ▼ 암사동에서 발굴된 여러 빗살무늬토기 서울 암사동 선사유적지는 B·C 5000~4000년기의 신석기시대 유적지로서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이 오롯이 투영되는 귀한 장소이다. 이 유적지는 1925년 을축년 대홍수 때 다량의 토사가 유실돼 ..
-
둔촌 이집과 둔촌동에 얽힌 여러 이야기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4. 6. 19. 21:21
앞서 '백제 사찰 암사(岩寺)가 있던 암사동'에서도 언급했거니와 서울시 강동구 둔촌동은 고려 말의 학자이자 정치가인 이집(李集, 1327~1387)의 호 둔촌(遁村)에서부터 비롯됐다.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둔촌은 '시골로 피해 숨다'는 뜻이지만 실은 이집의 강골 성향을 반영한 아호이니, 그는 공민왕 17년(1368년) 신돈의 전횡을 탄핵하였다가 박해를 받고 멀리 남경의 촌구석까지 달아났다. 이후 남경 부근의 일자산(一字山) 토굴에 숨어 생활하다 신돈이 실각한 후 개경으로 돌아갔는데, 이집은 이때 은거 당시의 고난을 잊지 않고 새기려 호를 둔촌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실제 여부는 알 수 없지만 둔촌동 보훈병원 뒤의 일자산 둔굴은 그가 은거했던 곳이라 전하며, 조선 현종 10년(1669) 둔굴과 가까운 암사..
-
백제 사찰 암사(岩寺)가 있던 암사동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4. 6. 8. 13:22
지난 주말 강동구 풍납동 '바람드리길'을 걸었다. 바람드리길은 풍납동, 풍납토성 등에 사용되는 한자어 '풍납'(風納)을 순우리말로 풀어쓴 것이다. 바람 풍(風) 자에 드릴 납(納) 자를 쓰니 '바람드리'가 된 것인데, 좀 억지스럽기도 하지만 귀염성이 느껴지는 단어이다. '바람드리길'은 풍납토성을 빙 도는 2.1 킬로미터의 전체 산책로를 이르는 말이다. 바람드리길에 지번이 붙는 도로명 주소가 따로 정해져 있음에도 풍납토성 산책로가 '바람드리길'이라고 명명된 이유는 아마도 풍납토성의 존재를 강조하고자 함일 게다. 앞서도 언급한 바 있지만 풍납토성은 백제가 무려 500년간(정확히는 BC 17년부터 AD 476년까지의 493년간)이나 도성(都城)으로 삼았던 곳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공주(웅진)성과 부여(사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