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만 터키
-
드라큘라 백작과 콘스탄티노플 함락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2020. 7. 3. 01:49
백작이라고 하는 유럽 중세기의 작위는 우리에게 친숙한 낱말이 아니다. 역사상 봉건제를 경험해보지 못한 까닭이다. 반면 중국인이나 일본인은 쉬 이해할 듯하니, 아마도 제후나 다이묘(大名)를 떠올릴 법하다. 특히 일본은 역사상의 통치제도가 거의 봉건제로 일관되었을 뿐아니라 사무라이들로부터 왕권을 되찾아 온 메이지 유신 이후도 서구의 작위를 차용하였던 바, 안중근 의사에게 사살당한 이토 히로부미의 작위도 백작이었다.(당시 그의 관직은 일본 총리대신이었고 작위는 백작이었는데, 사후 최고 작위인 공작으로 추증되었다) 봉건제가 오래 지속된 유럽 제국의 경우는 더 말할 것도 없을 터, 백작 위로도 공작과 후작이 있어 웬만한 가문에서는 감투로써 행세하기도 힘들 정도다. 그같은 작위의 배경이 되는 봉건제를 국어사전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