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신통기(新 神統記)
-
부활절 이전에 부활한 예수 시대의 사람들신 신통기(新 神統記) 2024. 3. 30. 06:55
작년 부활절은 4월 9일 일요일이었다. 그것을 특별히 기억하는 이유는 그날 인천에 갔다가 연안부두 8부두 부근의 '한국기독교100주년기념탑'을 사진에 담아와 블로그에 올렸기 때문이다. 일부러 부활절 날에 맞춰 그랬던 것은 아니니, 그 동기를 적은 당시의 글을 다시 올리자면 이렇다. 우리나라 프로테스탄트의 시작은 1885년 4월 5일 부활절 아침, 장로교 선교사 언더우드와 감리교 선교사 아펜젤러가 제물포항에 내리면서부터라는 것이 정설이다. 언드우드와 아펜젤러는 원래 1884년 한국에 들어올 예정이었으니 그해 발생한 갑신정변으로 인해 일본 요코하마에서 발이 묶였다. 그러다 국내 정세가 조금 안정된 이듬해 1885년 4월 5일 부활절 날 아침, 제물포항에 역사적인 첫발을 디디었다. 호러스 언더우드는 26세, ..
-
독성각과 나반존자신 신통기(新 神統記) 2024. 2. 19. 20:15
모든 사찰에 존재하지는 않지만 우리나라 절집에서 삼성각은 그리 드물지 않다. 내가 이제껏 본 삼성각 중 가장 인상적이었던 당우는 안동 봉정사의 삼성각이나, 그것에 특별한 무엇이 있지는 않다. 그것이 인상적인 이유는 그 무렵 복원된 국내 최고(最古) 목조건축물인 극락전을 어렵게 찾아와 마침내 보았다는 만족감에 동반된 인스프레이션으로, 거기에 삼성각이 위치한 절 뒤편의 호젓한 분위기가 상승작용을 일으켰으리라 여겨진다. (하지만 삼성각 자체는 오래된 건물이 아니다) 그 밖에도 서울 화계사의 부서진 삼성각, (아마도 공사 중이었던 듯) 양주 회암사에 올라 내리는 눈비 속에서 바라본 삼성각, 눈밭 속에 외로이 서 있던 하남 선법사의 삼성각도 기억에 남는다. 산신(山神) 칠성(七聖) 독성(獨聖)을 함께 봉안한 당우..
-
거짓 선지자에 휘둘리는 진실한 기독교인들신 신통기(新 神統記) 2023. 9. 30. 21:15
블로그 의 주인장으로서 가장 난감할 때가 Tistory에 의해 로그인 제한 조치를 받을 때이다. 로그인 제한 조치란 주인장이 일정기간 동안 글을 포스팅할 수 없게 제한하는 조치로서 이 조치가 취해지는 경우는 주로 읽는 이의 '신고'에 의해서이다. 나는 지금껏 두 번의 조치를 받았는데 두 번 모두 기독교와 관계된 내용이었다. 한 번은 "프레디 머큐리와 조로아스터교, 그리고 기독교"라는 글이 었고, 다른 한 번도 기독교에 관련된 글이었다. 그 글은 Tistory에 의해 삭제되어 제목을 정확히 옮길 수 없으나 내용만큼은 분명히 기억난다. 당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성폭행 성직자 가운데 개신교회 2곳과 천주교 교단 1곳의 성직자를 실명 거론해 비판했던 것인데, 그중의 한 교회로부터 고발장이 접수되어 조치가 이루..
-
태양신의 날 선(SUN)데이신 신통기(新 神統記) 2023. 9. 29. 16:35
추석 연휴를 지내며 휴식의 중요성을 절감한다. 가족들과의 트러블이 없으면 더 좋았을 테지만 어느 집에나 있을 법한 (혹은 필연적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는) 통과의례라 생각하고 넘어가는 중이다. 그러면서 문득 조선시대에는 법정공휴일이 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지금은 명절연휴가 있고 토·일을 연휴하지만 일요일은 서양의 역법과 관습에서 기인된 휴일이니 조선시대에는 당연히 휴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래서 알아보니 조선 시대에는 휴일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했다. 즉 사람의 신분과 지위에 따라 있기도 하고 없기도 했던 것이니, 통상적으로 관리들은 사가독서제와 같은 급가(給暇 ,임금의 특명으로 주어지는 휴가)를 제외하고도 매월 순휴(每旬休, 열흘에 하루를 쉼)했지만 노비와 같은 신분에게 따로 휴일이 주어줄 리 ..
-
대동강에서 죽은 토마스 선교사 & 금석지감신 신통기(新 神統記) 2023. 9. 8. 23:33
앞서도 말했지만 우리나라 프로테스탄트의 시작은 1885년 4월 5일 부활절 아침, 장로교 선교사 언더우드와 감리교 선교사 아펜젤러가 제물포항에 내리면서부터라는 것이 정설이다. 하지만 그보다 먼저 조선 땅에 상륙한 선교사도 꽤 많았으니 대표적으로는 1884년 6월 24일 미국 감리교회 맥클레이 선교사가 제물포항에 첫발을 디뎠으며, 같은 해 10월 27일에는 호러스 알렌이 도착했다. 또 그보다도 20년 앞선 1866년 7월 25일 영국인 토마스 선교사가 미국 상선 제너럴셔면호를 타고 조선에 왔다 유명한 '제너럴셔면호 사건' 때 순교했다. 또 그보다도 30년 앞선 1832년 7월 17일 독일 루터교회의 칼 귀츨라프(1803∼1851)가 선교 목적으로 충청도 보령 고대도에 상륙해 전도를 한 전례가 있다. 역사상..
-
순암(順庵) 안정복이 본 기독교신 신통기(新 神統記) 2023. 7. 18. 21:11
앞서 성호 이익과 오주 이규경이 본 기독교에 대해 말한 바 있다. 그들 관점의 요지를 말하자면 이익은 "이러이러한 것이 있으나 나는 상관하지 않겠다"는 오불관언(吾不關焉)의 입장이고, 이규경은 "비판은 하되 흥미있다"는 불가근 불가원(不可近不可遠)의 입장이다. 반면 순암의 경우는 매우 비판적이니, 그가 천주교는 "불가(佛家) 내지는 그 '찌꺼기'에 다름 아닌데, 지금껏 불가를 비난해 온 사람들이 서양 천주학에는 왜 빠져드는지 모르겠다"며 어이없어한다. 순암이 천주학에 대해 가장 비판적으로 생각한 점은 신자들이 천주를 섬기는 동기에 관한 것이었다. 그는 기독교에서 말하는 천당과 지옥을 거론하며, 그 종교를 신봉하는 사람들은 '현세 이후 만세(萬世)' 즉 ‘영혼 불멸’을 노래하지만, 생각해 보면 그것은 오..
-
오주 이규경, 성호 이익이 본 기독교 I신 신통기(新 神統記) 2023. 5. 26. 23:16
실학자 이규경(李圭景, 1788~1856)의 백과사전류의 글 모음인 는 '오주(五洲, 이규경의 호)가 쓴 연문(衍文, 거친 문장)을 장전(長箋, 긴 쪽지)에 이어 붙인 잡다한 원고'라는 뜻으로, 당연히 '오주 / 연문 / 장전 / 산고'로 읽힌다. 제목에 부전지(附箋紙)에 길게 이어 붙였다는 사전 설명을 담았지만 막상 보면 60권 60책의 볼륨에 기가 질리지 않을 수 없는데, 원래는 더 많았다고 하니 그저 놀라울 뿐이다. 지금 규장각에 보관돼 있는 60책은 육당 최남선에 의해 보존된 분량이라고 한다. 책의 내용은 역사·경학·천문·지리·불교·도교·서학(西學)·예제(禮制)·재이(災異)·문학·음악·음운·병법·광물·초목·어충·의학·농업·광업·화폐 등 총 1,417 항목에 달하니 잡다한 산고(散稿)임에는 분명하다..
-
평택 성공회 성당에서 만난 사람의 아들 예수신 신통기(新 神統記) 2023. 1. 8. 17:35
앞에서도 말했지만 성공회(聖公會)라는 단어는 사도신경에 나오는 '거룩한 공회'(거룩한 보편적 교회, The Holy Catholic Church)를 한자로 옮긴 것이다. 하지만 영어로는 대개 Anglican Church 혹은 Church of England로 불린다. 그 출발이 '영국 국교회(English Church)'로부터 비롯된 까닭이다. 잘 알려진 대로 성공회는 영국 국왕 헨리 8세(1491-1547)의 바람기가 불러온 산물이다. 헨리 8세는 부인으로 맞은 아라곤 왕국의 공주 캐서린을 버리고 새 애인인 앤 볼레인과 결혼하려 했지만 로마교황청이 이혼을 허락하지 않았다. 이에 화가 난 헨리 8세가 로마교황청과의 결별을 선언하고 영국 국왕을 수장으로 하는 새로운 종교를 만든 것인데(영국 국교회),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