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 따라 삼백만리
-
백운거사 이규보의 인생과 요즘의 정치 판사들전설 따라 삼백만리 2025. 3. 28. 23:22
의 저자 이규보(李奎報, 1168~1241)를 한 마디로 평하자면 호탕한 성품의 명문장가이다. 이것은 그가 지은 글로도 증명된다. 이를 테면 그가 죽기 얼마 전에 지었다는 시(詩) 속의 살지 죽을지도 모르는 몸 자잘한 세상살이 따지느니 그저 편안히 살다 가련다生死猶未知 細事安足算 하는 마음 자세나 평소 구름과 물을 사랑했나니 전생에 혹시 승려였는지 모르겠도다 素習愛雲水 前身莫是僧 하는 평소의 언급이 그러하다. 그는 자신의 아호도 백운거사(白雲居士)라고 지었다. 하지만 겉으로만 그러하고 실은 권력에 아첨해 관로(官路)를 열어간 전형적인 해바리기성 관료라는 평도 적지 않은데, 아래의 전설 같은 이야기를 듣자면 그 또한 이해가 가지 않는 바는 아니다. 이규보는 1168년에 지금의 경기도 여주인 황려현..
-
백범 김구에 관한 전설과 진실 - 의정부 회룡사와 서울 경교장전설 따라 삼백만리 2025. 3. 22. 23:11
의정부(議政府)는 조선 개국 초에 설치한 행정부의 최고 기관으로 1400년 이방원이 기존의 도평의사사를 의정부로 개편하면서 성립되었다. 목적은 왕권의 강화로서, 1405년(태종 5) 의정부 구성원을 삼정승을 비롯한 고위관료로 확정했는데, 오늘날의 국무회의로 보아도 무리가 없다. 경기 북부의 의정부시는 위 의정부와 한자까지 같은데, 이성계가 함흥에서 돌아와 호원동 전좌(殿坐) 마을에 머물 때 의정부 대신들이 찾아와 국정을 논의했던 까닭에 붙여진 이름이다. 전좌마을의 이름 역시 그래서 생겨났다. 호원동 회룡사 입구 사거리 부근에 있는 '태조·태종의 상봉지' 표석에는 그와 같은 설명이 담겨 있다. 이미 여러 차례 말한 대로 태조 이성계는 5자(子) 이방원이 이른바 왕자의 난을 일으켜 제 형·동생들..
-
서라벌 · 셔블 · 설울 · 서울전설 따라 삼백만리 2025. 1. 8. 20:37
대한민국의 수도가 서울이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신기하게도 서울은 다른 지명과 달리 순수한 우리말이라 달리 한자로 쓸 수가 없다. 그런데 또한 신기하게도 그 뜻을 아는 사람도 아무도 없고, 더불어 어원을 아는 사람도 없다. 그저 옛부터 수도(Capital)를 서울이라 불렀다는 것 정도만 정설로서 통용되니, 미국의 서울은 위싱톤 D.C이고 일본의 서울은 도쿄이며 대한민국의 서울은 서울이다. 외국 사람도 서울을 '서울', 혹은 이에 가깝게 부르니 서구권에서는 '쎄울'(Seoul)로 발음하고, 아랍어로는 '씨울'('سيول')또는 '쑤울'('سول')이며, 일본에서는 '소우루'(ソウル)이다. 알바니아어로는 '서울'(Sëul)로 정확히 발음된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쇼엃', 혹은 '셔엃'이라 부른..
-
무거운 마음으로 경청한 덕소 득수리 전설전설 따라 삼백만리 2025. 1. 7. 18:18
서울 근교에 석실마을이라 불리는 동네가 두 곳 있다. 한 곳은 경기도 남양주시 수석동 석실마을이요, 다른 한 곳은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의 석실마을이다. 둘 다 안동김씨 문중과 관계가 있는 곳으로서, 얽혀 있는 이야기도 비슷하다. 그래서 처음에는 헛갈리는 부분이 상당했는데, 그 두 곳을 두어 차례 실사한 지금은 확실한 개념 정리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그 결과보고서 같은 것을 앞서 포스팅한 바 있다. ※ 남양주시 수석동 석실마을은 '서울근교에서 가장 아름다운 동네 ㅡ 조말생 묘가 있는 석실마을'에서,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의 석실마을은 '선원 김상용은 정말로 자폭 순절했을까?'에서 다루었다. 서울근교에서 가장 아름다운 동네 ㅡ 조말생 묘가 있는 석실마을전설 따라 삼백만리를 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면서..
-
인왕산의 근거 박약한 국사당전설 따라 삼백만리 2025. 1. 5. 21:26
국사당(國師堂)은 조선시대 국가의 제의(祭儀)를 행하고, 나라의 안정과 번영을 기원하는 신당이었다. 하지만 국사당과 설립과 관련돼 전래되는 이야기들은 국가적 차원의 것은 아니니, 민간 무속신앙으로 일환으로 조선초 국사(國師)였던 무학대사를 모셨던 까닭에 국사당이라 불렀다는 설과 함께, 태조 이성계에 얽힌 노파 부녀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지어졌다는 설이 존재한다. 후자에 대한 상세는 이러하다. 함경도 영흥(永興) 어느 마을에서 비를 만난 이성계가 노모와 딸이 사는 허름한 집에 신세를 지게 되었다. 피곤에 지친 이성계가 잠시 눈을 붙였는데, 집이 무너지며 대들보 세 개가 몸에 덮치는 꿈을 꾸었다. 깜짝 놀라 깬 이성계가 집주인 할머니에게 꿈 얘기를 하자 왕이 될 것이라는 해몽이 나왔다. 몸 위에 대들보..
-
함흥차사 & 이성계가 여덟 밤을 잔 팔야리 전설전설 따라 삼백만리 2024. 8. 28. 22:49
지난 8월 10일 개통된 지하철 별내선을 이용해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면 팔야리에 다녀왔다. 별내면과 진접면은 인접해 있으나 지하철은 별내가 종점인지라 그곳에서 경춘선으로 갈아타고 사릉역에서 내린 후 다시 버스를 타야 했다. 내가 이렇듯 어렵사리 팔야리를 찾아간 것은 소싯적 보았던 400년 된 느티나무를 별내선 개통을 기회 삼아 다시 보고자 함이었다. 아. 나무는 그대로 있었다. 밑동 둘레 4.5m, 높이 25m의, 거칠 것 없이 푸르름을 뿜는 노거수.... 하지만 주변은 많이 변했으니, 멀리 보이는 철마산과 주금산, 그리고 황량한 밭 외에 아무것도 없던 고즈넉하던 벌판에는 총 21만㎡ 규모의 산업시설인 광릉테크노밸리가 들어서 있었다. 까닭에 나무를 힘들게 찾았는데, 뜻밖에도 이곳 산업시설에서 일하는 ..
-
중랑천 송계교(월릉교)에 얽힌 슬픈 사연전설 따라 삼백만리 2024. 7. 18. 22:00
'어쩌면 비가 저리 쉬지도 않고 내릴까? 이러면 수해가 나는 건 필연이다' 생각하면서 흙탕물 넘실대는 중랑천을 건넌다. 그러면서 해마다 반복되는 중랑천 수해는 어쩌면 조선시대 한 여인의 원통한 죽음과 관련이 있을는지 모른다는 엉뚱한 생각도 떠올린다. 조선초 중랑천 송계다리 공사에 동원됐던 어떤 민초에 관한 이야기다. 앞서 말한 대로 중랑천의 발원지는 임꺽정의 근거지였다는 양주 불곡산이다. 연봉(連峰)으로 이루어진 불곡산의 최고봉은 투구봉(468.7m)이며 그 외 암봉, 상투봉, 임꺽정봉 등이 늘어서 있는데, 상투봉과 임꺽정봉 사이의 ‘불곡샘'이 중랑천의 최고 발원지로 알려져 있다. 이 물은 이후 18개 지류를 만나며 45.3㎞를 흐르다 서울 왕십리·금호동 부근에서 한강과 합류한다. 는 중랑천의 이름..
-
양주 동이마을과 광주 펭귄마을전설 따라 삼백만리 2024. 3. 4. 23:23
최근 경기도 양주시가 정체성과 역사·문화적 가치를 담은 지역 상징물들을 설치해 시민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해서 그중 한 곳인 백석읍 동이마을을 구경삼아 다녀왔다. 유독 동이마을을 찍어 다녀온 이유는 첫째는 마을이름이 예뻤고, 둘째는 양주시에서 홍보용으로 공개한 사진 중 동이마을의 상징으로 설치한 우물 정(井)자, 혹은 해시태그로 쓰이는 # 모양이 인상적이었기 때문이다. 사실 양주는 숨은 이야기와 볼거리가 많은 곳이다. 대도(大盜) 임꺽정의 은거지였던 불곡산이나 고려말 조선초의 최대 사찰이었던 회암사지에 얽힌 이야기에 대해서는 앞서 몇 차례 썰을 풀 바 있는데, 그 양주 회암사지를 다녀오며 발견한 아래의 표석은 그간 몰랐던 또 하나의 숨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김삿갓으로 잘 알려진 19세기의 유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