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백제를 찾아서
-
한성백제 시기의 유일한 불상인 서울 뚝섬 출토 금동불좌상초기 백제를 찾아서 2025. 3. 8. 23:47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불상이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金銅延嘉七年銘如來立像)이라는 사실을 앞서 말한 바 있다. 이 불상은 고구려가 평양으로 천도한 약 100년 뒤인 539년 만들어진 것으로서 배면에 각자(刻字)된 4행 47자의 명문(銘文)이 제작연도 등을 확인시켜준다. 이 불상은 전신 높이 16.2 cm, 불상 높이 9.1 cm, 광배 높이 12.1 cm, 좌대 높이 4.1 cm이며 1963년에 경상남도 의령군 대의면 하촌리에서 도로공사 중 발견된 후 곧바로 국보로 지정되었다. 이 불상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고구려실에 전시 중이다. 그런데 이보다 더 오래된 불상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불교 조각실에 있는 금동불좌상이다. 서울 뚝섬에서 출토된 4.9 cm 높이의 이 자그마한 금동불은 명문 같은 것이 ..
-
건국신화가 없는 백제, 그러나 동명왕 신전은 있었다.초기 백제를 찾아서 2024. 10. 18. 17:41
가야를 포함한 고대 국가 가운데 백제는 건국신화가 없는 유일한 나라이다. 고조선·부여·고구려·신라·가야의 천강(天降)신화, 난생(卵生)설화는 모두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그 신화나 설화들은 '재미'라는 자체 특성으로 인해 언제 들어도 흥미로우며 한편으로는 분석할 필요까지 따른다. 이를 테면 부여의 건국신화는 고구려의 것과 상당 부분 겹치는데, '동명'과 '주몽'을 정확히 구별하기 힘든 서사다. 참고로 부여의 건국신화는 아래와 같으며, 이 내용은 우리나라 사서가 아닌 AD 60년 후한 왕충(王充)이 쓴 에 기록되어 있다. 북이(北夷, 북쪽 오랑캐) 탁리국(橐離國) 왕의 시비(노비 시녀)가 임신을 하였다. 왕이 죽이려 하니, 시비가 대답하여 말하기를 "달걀만한 크기의 기운이 하늘에서 저에게로 와..
-
백제·고구려의 국경선이기도 했던 안성 도기동초기 백제를 찾아서 2024. 10. 16. 00:23
경기도 안성시 미양로 866에 위치한 도기동 목책지(木柵址) 유적이 한때 백제와 마한의 국경선이었다는 사실을 앞서 밝힌 바 있다. 백제본기 온조왕조>의 기록에 따르면 온조왕은 BC 5년(온조왕 14) 정월 하남 위례성에 정도한 이래 야금야금 영토를 넓혀갔던 바, AD 19년 가을에는 웅천(熊川)을 넘어 목책을 설치했다가 마한 왕의 따끔한 질책을 받는다. 앞서 소개한 바 있는 의 기록을 다시 인용하자면 다음과 같다. 온조왕 24년 가을 7월 왕이 웅천책을 만들자 마한왕이 사신을 보내 꾸짖어 말하기를 "왕이 처음 강을 건넌 후 발을 디딜 곳이 없었을 때, 우리가 동북 1백리의 땅을 갈라 주어 편안하게 하였으니 왕을 대함에 후하지 않았다 하지 못할 것이오. 그렇다면 마땅히 갚음이 있어야 옳겠거늘, 지금 나라..
-
백제·마한의 국경선을 가다.초기 백제를 찾아서 2024. 10. 13. 23:07
백제의 첫 수도였던 하남 위례성이 어디인가는 우리 역사의 오랜 수수께끼로, 학자들에 의해 오랫동안 위치가 갑론을박되다 지금은 서울 풍납토성으로 거의 굳어졌다. 기원전 18년 고구려로부터 남하한 백제 유민의 영도자 온조는 처음에는 하북(河北)에 정도하였다가 기원전 5년(온조왕 14) 정월에 하남(河南)으로 천도를 하였던 바, 이것이 하남 위례성이다. 하남 위례성은 이후 480년 동안(BC5~AD475) 수도로서의 역할을 굳건히 하였으나 475년 음력 9월 장수왕이 이끄는 3만 고구려군의 대대적인 공격에 함락돼 버리니 는 그 마지막 날을 백제의 기록을 빌어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백제의 기록에 전하길 개로왕 21년 겨울 고구려의 대군이 와서 대성을 7일 밤낮으로 공격하였고 왕성이 함락되니, 백제는 결국..
-
한성백제의 마지막 묘지 방이동 고분군초기 백제를 찾아서 2022. 7. 11. 23:10
방이동 고분군은 서울 송파구 방이동에 존재하는 8개의 고분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인터넷 등을 보면 '이곳은 1975년 잠실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을 하다가 발견된 고분 유적'이라고 돼 있으나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일제시대 때 만들어진 아래 지도를 보면 석촌·가락·방이동의 백제 고분군은 1917년에 이미 확인, 조사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때 확인된 무덤이 무려 290기나 된다.(강남개발에 즈음한 1971~75년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이중 여덟 기 무덤에 대한 발굴조사가 있었다) 아울러 가락동 고분군을 방이동 고분군의 일부로 설명함도 옳지 않으니,(대부분 이렇게 서술돼 있어 헛갈리기 일쑤다) 가락동 일대에 산재하던 백제 고분은 1980년대 가락동 농수산물 종합도매시장, 다세대주택, ..
-
백제의 무기 쇠뇌[弩]초기 백제를 찾아서 2021. 12. 7. 05:10
노(弩)는 활의 일종이기는 하나 기계적 장치로써 화살을 멀리 보내고 또 빠른 연사(連射)가 가능하게끔 만든 무기다. 그리고 정확성 또한 활보다 뛰어났으리라 여겨지는데, 우리 말로는 쇠뇌라고 부른다. 이 노에 대해서는 아마도 의 다음 문장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 아닐까 한다. 齊軍萬弩俱發(제나라 군대의 수많은 노가 일제히 발사되었다) ㅡ 《사기》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 《사기》 〈손자오기열전〉에는 손무(孫武), 손빈(孫臏), 오기(吳起)에 관해 실려 있는데, 위의 내용은 손빈의 것이다. 손빈은 의 저자 손무의 5대손쯤 되는 사람으로 의 저자이기도 하다.(통상 손무와 손빈을 합쳐 손자라 부른다) 은 구전만 될 뿐 실물이 전해지지 않다가 1972년 중국 산둥성의 한나라 시대 무덤에서 발견된 죽간..
-
백제 첫 사찰은 하남 천왕사?초기 백제를 찾아서 2021. 2. 8. 23:57
초기 백제의 유적을 찾아 헤메는 중이다. 이번에는 백제 최초의 사찰을 찾아 보았다. 흔히들 백제 최초의 절을 영광 불갑사(佛甲寺)라고 생각한다. 백제에 불교를 전한 이국 스님 마라난타가 배를 타고 상륙한 곳이 전남 영광이라고 전해지는 만큼 그곳의 고찰(古刹) 불갑사가 백제 최초의 절이 아닐까 생각되어지는 것이다.(그래서 법성포에는 뻑쩍지근한 한국+인도풍의 국적불명의 절도 하나 들어섰다) 실제로 불갑사 사적기인 불갑사창설유서(佛甲寺創設由緖)>에는 절이 백제에 불교가 전래된 해인 침류왕 원년(384)에 마라난타에 의해 창건됐고 신라 애장왕 5년인 805년에 중창했다고 전한다. 하지만 이 기록은 사실이 아닐 것이다. 그 사적기가 20세기 들어 쓰여진 것인 바,(1909년) 위와 같은 고정 관념이 반영되었을 ..
-
몽촌토성이 함락되던 한성백제 최후의 날초기 백제를 찾아서 2021. 2. 6. 02:10
백제 도성의 위치에 대해 언급한 가장 비중 있는 문헌사료는 단연 다. 그 책, 백제본기 온조왕 즉위년 조 기사에는 "하남(河南) 땅은 북으로 한수를 두르고, 동으로 높은 산(高岳)을 의지하고, 남으로 옥택(沃澤)을 바라보며 서로는 대해(大海)가 막았으니 이 천험지리는 얻기 어려운 지형이다..... 이에 온조가 하남위례성에 도읍했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至漢山 登負兒嶽 望可居之池..... 惟 此河南之地 北帶漢水 東據高岳 南望沃澤 西阻大海 其天險地利 難得之勢..... 溫祚 都 河南慰禮城..... 이를 보면 온조는 국초(國初)에 이미 위례성에 정도(定都)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기원전 6년(온조왕 13) 음력 5월, 왕은 신하에게 다시 한수(漢水) 이남의 땅을 거론한다. "우리나라의 동쪽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