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고향
-
위항문학 시대를 연 시인 유희경과 도봉계곡작가의 고향 2024. 3. 19. 18:26
두 번째 다시 만난 그 열흘을 마지막으로 두 사람이 생전에 다시 만났다는 기록은 없다. 속되게 이해하자면 그간 변해버린 외모에 상호 실망하였는지도 모르겠다. 유희경의 문집인 을 보면 두 사람의 재회는 처음 만나고 나서 적어도 15년이 흐른 뒤에 이루어진 것이었으니, 매창에게 20살 때의 아름다움이 남았을 리 만무하다. 매창보다 28살이 많았던 유희경은 더 말할 것도 없다. 이것은 나의 경험에서 빌려온 가정이지만 두 사람이 이렇듯 저급했을 리 없을 터, 그보다는 사회적 신분이 끝내 제약이 되었을 것이다. 나이로 볼 때 매창은 그때 현역에서 물러난 퇴기(退妓)였을 것이나 여전히 관비나 관기 신분이었을 터, 특별히 면천(免賤)되지 않는 한 유희경의 사람이 될 수는 없었다. 모르긴 해도 유희경 또한 소실을 둘 ..
-
기녀시인 매창이 떠오르는 청계천 매화작가의 고향 2024. 3. 18. 21:22
앞서 말한 허난설헌의 예를 보면 조선시대에 문재(文才)를 누리려면 차라리 기녀로 태어나는 게 나았을 법 싶다. 물론 규방문학이라는 게 있기는 했지만 문자 그대로 방 안에 머물렀다. 그래서 안타깝다. 우리가 학교 다닐 때 배운 '조침문'(弔針文)이라는 고전 수필을 보더라도 이 여인의 필력이 얼마나 대단한가를 알 수 있지만 작자의 이름은 물론 인적사항도 전혀 알 수 없다. 단지 확인되는 것은 이 여인이 바늘 하나에 의지해 27년 동안 삯바느질을 해온 과부라는 것뿐이다. '조침문'의 이야기를 잠시 하자면, 이 여인은 자신이 아끼던 바늘이 부러지자 "모년 모월 모일 미망인 모씨가 두어 자(字) 글로써 침자(針子)에게 고하노라"로 시작되는 조문(弔文) 형식의 글을 지어 부러진 침자(바늘)를 애도하는데, 비장하고 ..
-
월탄 박종화와 춘원 이광수가 살던 세검정작가의 고향 2024. 3. 17. 00:36
작가 박종화의 호 월탄(月灘)은 내가 아는 한 최고의 아호이다. 그 여울(灘)이 저 월(月)세계의 것을 말하는지, 아니면 달빛 비추는 여울을 말하는지 알 수 없으면서도 그저 멋지게 여겨진다. 작가라고 모두 다 작명에 능한 것은 아닐 것임에도 그는 작명에 있어서도 일가견이 있어 자신의 집 사랑채에는 조수루(釣水樓)라는 당호를 붙였다. 물의 고기를 낚는 것이 아니라 물을 낚자는 것인데, 월탄과도 상통하는 당호(堂號)이다. 세검정(서울 종로구 평창11길 80)에 있는 월탄의 집은 그가 죽기 6년 전 구입해 살던 곳이다. 사실 오고 싶어 온 것은 아니고 충신동 55-5번지의 옛집이 1975년 동대문~이화동 간 도로확장 공사 구간에 포함되며 어쩔 수 없이 이사하게 된 것인데, 오면서 충신동 집을 그대로 뜯어와..
-
최치원의 사산비명과 좌절된 개혁작가의 고향 2024. 3. 15. 18:12
고운(孤雲) 최치원은 통일신라 헌안왕 1년(857년) 금성(경주시) 사량부에서 6두품 최견일의 아들로 태어났다. 12세의 나이로 당나라에 유학한 그는 6년 만에 당의 빈공과(賓貢科,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과거)에 급제하였다. 하지만 관리의 적체가 심해 임용되지 못하다가 2년 후 남경 부근 율수현의 하급 관리로 발령난다. 만족하지 못한 최치원은 사직하고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박학굉사과(博學宏辭科)의 응시 준비를 한다. 하지만 그 또한 운이 없었으니 875년 대규모 농민 반란인 황소(黃巢)의 난이 일어난 시험이 취소된다. 막연해진 그는 난의 진압에 나선 회남절도사 고병(高駢)의 막하로 들어가 진압 격문인 '토 황소격문'(討黃巢檄文)을 짓는다. 황소가 읽다가 너무 놀라 침상에서 굴러 떨어졌다는 바로그 격문..
-
빙허 현진건과 그의 가난한 아내가 살았던 서울의 마지막 집작가의 고향 2024. 2. 13. 20:39
빙허(憑虛) 현진건(玄鎭健, 1900~1943)은 우리에게 라는 소설로 잘 알려진 작가이다. 과거 국어교과서에 그 소설의 전문(全文)이 실렸기 때문인데, 지금도 있나 모르겠다. 아마도 없을 것이다. 지금은 그와 같은 가난을 경험한 사람도 드물겠거니와 간접적으로라도 와닿지 않을 터, 이해와 공감을 불러일으키기 힘들법하다. 아울러 현실적 가난과 자존심을 둘러싼 심리 묘사도 현대 고등학생에게는 와닿지 않은 면이 있는 소설이다. 소설의 주인공일 법한 현진건 부부는 내내 가난했다. 반면 현진건의 처가는 경주에서 알아주는 부자집이었던 바, 혹간 처가에서 보내주는 돈으로 생계를 이을 때가 있었다. 그래서 처갓집에 가오('얼굴'에 해당하는 일본 말이지만 적당한 표현이다)가 서지 못했는데, 는 친정집에 간 아내가 하대(..
-
임꺽정을 의로운 도적으로 둔갑시킨 벽초 홍명희작가의 고향 2024. 2. 11. 00:45
설 연휴 때 벽초(碧初) 홍명희(洪命熹)의 대하소설 을 독파하려 했으나 아무래도 무리인 것 같다. 워낙에 글발 좋은 벽초인지라 한번 잡으면 끝까지 읽게 만드는 소설이긴 하지만 볼륨 자체가 장난 아닌 까닭이다. 국내의 유일한 완간본인 사계절출판사의 은 지난 2005년 북한과 저작권 회담을 열고, 벽초의 손자인 북한작가 홍석중씨와 의 저작권에 대한 정식 계약을 체결한후 출간된 10권 1질의 책이다. 출판사가 북한측과 출판 계약을 체결한 이유는 홍명희가 월북해 그곳에서 죽을 때까지 살았기 때문으로, 손자 홍석중은 당연히 북한에서 출생했다. 그 아비 홍기문은 홍명희보다도 앞선 1947년 월북하여 1948년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지냈고, 김일성종합대학 교수, 사회과학원 부원장 등 주로 학계 쪽에 머무르다 1984..
-
김동인의 '젊은 그들'과 그가 죽은 하왕십리 집작가의 고향 2024. 2. 9. 18:27
설 연휴 첫날, 빌려온 을 읽었다. 춘사(春史) 김동인의 첫 장편소설이기도 한 이 소설은 1930년 9월부터 1931년 11월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됐다. 김동인은 신문의 연재소설이 문학을 통속화시킨다고 혐오했는데, 그러함에도 신문사에 원고를 꼬박꼬박 건넨 것은 그만큼 돈이 필요했다는 증거이리라. 그도 그럴 것이 그 무렵은 선친이 물려준 수십 억 원의 현금을 주색잡기로 탕진하고 전답을 담보로 얻은 돈으로 투자한 평양 보통강 수리사업에도 실패했기 때문이었다. 1900년 10월 2일 평양시 서문동에서 만석꾼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남부러울 것이 없이 자랐다. 게다가 얼굴도 잘 생기고 일본 유학물을 먹어 유식하기도 하였으며, 또한 놀기도 잘 놀았다. 글도 잘 썼으며 그림에도 소질이 있어 일본 가와바타 미술학교를 다..
-
김현승의 시 '쓸쓸한 겨울 저녁이 올 때 당신들은'작가의 고향 2023. 12. 5. 21:06
계절적으로 만추인지 입동이지 분간하기 어려운 시기이다. 어찌 됐든 찬바람은 불고 그로 인해 모두가 목을 웅크린 채 거리를 바삐 걸어간다. 그래서인지 별로 바쁠 것 없는 나도 덩달아 목을 터틀넥 셔츠에 최대한 밀착시키고 분주히 걷는데, 문득 길가 '솔바람소공원'의 푯말이 눈에 들어온다. 끌리듯 들어간 그 소공원의 낙엽송은 의외로 아직 푸르다. 그래서 아직 가을임을 느끼게 만들었지만 나오는 길목에서 본 작은 연못은 이미 꽁꽁 얼어 겨울임을 실감케 해 준다. 앞서 보았던 낙엽송 아래의 벤치는 박인환의 시 을 생각나게 하고, 또 옛 교과서에 실렸던 김현승의 라는 시를 추억하게 했지만, 언 연못은 다시 이란 시를 떠올리게 만든다. 이 시는 김현승이 1934년 평양 숭실전문학교 재학 시절 쓴 시로, 그는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