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켜야할 우리역사 고구려
-
요서 10성을 설치한 태조왕 고궁(高宮)지켜야할 우리역사 고구려 2025. 2. 3. 20:53
오늘은 5대 모본왕에 뒤 이은 6대 태조왕의 서방 경략(經略)을 이야기를 하려 한다. 태조왕에 관한 기록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3년(AD 55년) 봄 2월 요서(遼西)에 10성을 쌓아 한나라의 군대에 대비하였다(三年 春二月 築遼西十城 以備漢兵)"는 의 내용이다. 보통 요서는 랴오허(遼河) 강의 서쪽으로 비정된다. 그 동쪽은 당연히 요동이다. 이것이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이다. 그런데 우리는 배우기를 311년 고구려 미천왕이 서안평을 공격했다고 배웠고, 이것은 고구려의 확장에 일획을 긋는 큰 사건으로 간주된다. 그리고 서안평은 내내 지금의 단둥시(丹東市) 일대라고 가르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분명한 이율배반이다. 앞서 말한 대무신왕과 모본왕이 지금의 하북성·산서성 지역까지 진출한 것은 차치하더라도..
-
중국 산서성까지 진출했던 고구려지켜야할 우리역사 고구려 2025. 2. 1. 21:39
고구려의 영토가 현재의 북경과 천진시, 하북성 일대까지 미쳤다는 앞서의 포스팅에 대해 거의 인격모독적인 댓글로써 저격한 분이 있었다. 필시 중국인일 것이다. 한국인이라면 그렇게 험한 말을 할 턱이 없기에. 까닭에 답글을 생략하고 그냥 댓글을 지워버렸다. 앞으로도 중국인들로 여겨지는 글이 올라온다면 고민 없이 곧바로 삭제시킬 생각이니 애써 댓글을 달지 말길 바란다. 차제에 말이거니와 사실 고구려의 영토는 하북성뿐 아니라 산서성에도 미쳤다. 물론 사료에 기인한 주장이다. 그리고 그것은 앞서 말한 유주자사 진(鎭)의 경우처럼 고구려의 최전성기를 이끌었던 광개토대왕 시절의 이야기가 아니라 5대 모본왕(?~53) 때의 일이다. 고구려는 동명성왕의 건국 이후 2대 유리왕부터 정복사업을 시작하였던 바, 유리왕과 그..
-
고조선과 고구려의 영토였던 하북성 갈석산지켜야할 우리역사 고구려 2025. 1. 30. 19:48
앞서 '고구려와 동북공정 / 알아서 기는 학계와 셰셰를 외치는 정치인'에서 주목한 갈석산(碣石山)은 우리 고대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갈석산은 현재 하북성(河北省) 진황도(秦皇島, 친황다오)시 북쪽 창리현(昌黎县), 푸닝구(抚宁区), 루롱현(卢龙县)의 교차점에 자리하며, 남북 24㎞, 동서 20㎞, 면적 320㎢에 높이는 해발 695.1m로 그리 높지 않다. 하지만 발해만 연안에서는 가장 높은 봉우리이니 갈석산이 영산(靈山)으로 추앙받고 있는 이유도 그와 같은 지리적 조건에 부합된 바 클 것이다. 아울러 갈석산은 중국의 역대 7명의 황제가 오른 산으로서 유명한데, 나열하자면 중국 최초의 황제 진시황과 2대 황제 호해(胡亥), 한(漢) 무제(武帝), 위(魏)의 조조(曹操), 당 태종 등으로, 지..
-
고구려와 동북공정 / 알아서 기는 학계와 셰셰를 외치는 정치인지켜야할 우리역사 고구려 2025. 1. 27. 21:58
앞서 언급한, 고구려가 만리장성 이남까지 진출해 기주(冀州) 요서군(遼西郡)까지 다스렸다는 것은 (隋書 卷四 煬帝 下)에 실려 있는 내용이기도 하다. 수양제 양견은 한나라와 위나라 때부터 중국의 영토였던 그곳을 맥족(貊族)의 고구려가 점령하고 있다는 사실에 적잖이 분개하고 있는데, 원문 중에서 그 내용을 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而高麗小醜, 迷昏不恭, 崇聚勃·碣之間, 荐食遼·獩之境. 雖復漢·魏誅戮, 巢窟暫傾, 亂離多阻, 種落還集. 萃川藪於往代, 播實繁以迄今, 眷彼華壤, 翦爲夷類. 歷年永久, 惡稔旣盈, 天道禍淫, 亡徵已兆. 亂常敗德, 非可勝圖, 掩慝懷姦, 唯日不足. 移告之嚴, 未嘗面受, 朝覲之禮, 莫肯躬親. 誘納亡叛, 不知紀極, 充斥邊垂, 亟勞烽候, 關柝以之不靜, 生人爲之廢業. 在昔薄伐, 已漏天網, 旣緩前..
-
고구려의 서쪽 국경은?지켜야할 우리역사 고구려 2025. 1. 26. 23:57
475년 음력 9월 고구려 장수왕이 남하를 개시한 일, 그 장수왕이 이끄는 3만 고구려군의 공격에 수도 하남 위례성이 함락되고 사로잡힌 부여경(扶餘慶, 개로왕)이 아차산성 아래서 참수된 일, 부여경의 아들(혹은 동생) 부여흥(扶餘興, 문주왕)이 웅진으로 천도하여 웅진백제를 연 일, 그리고 당시의 국경이 안성 도기동 산성과 안성천을 잇는 라인이라는 것을 앞서 말한 바 있다. (☞ '백제·고구려의 국경선이기도 했던 안성 도기동') 그렇다면 고구려 전성기 때의 서쪽 경계, 즉 중국과의 국경은 어디였을까? 그것을 추정할 만한 기록을 영양왕 9년조 기사에서 찾을 수 있다. 589년 2월 고구려가 말갈군사 만 명을 이끌고 요서(遼西)를 공격했다는 내용인데, 통일제국 수나라가 고구려 침공을 준비하고 있을 때 이..
-
대동강의 고구려 다리지켜야할 우리역사 고구려 2022. 6. 20. 00:28
과거 군복무 시절, 북한이 살포한 전단 제거작업에 나갔다가 그중 한 삐라를 보고 놀란 적이 있다. 내용인즉 월북한 국군 출신의 사람들이 잘 먹고 잘 살고 있다는 도식적인 체제 선전이었다. 물론 모두 사진이 함께 실렸다. 그리고 그중에는 그들이 단체로 대동강에서 뱃놀이를 하며 함박웃음을 짓고 있는 광경도 있었는데, 내가 놀란 것은 월북자에 대해서가 아니라 그들이 뱃놀이를 즐기던 대동강의 풍경이 흡사 파리 세느강과 같은 이국적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여긴 이유는 단 한가지로 강변 가까이 고층건물이 밀집돼 있는 까닭이었다. 이것은 한강 등 남한의 강에서는 낯선 풍경이었으니, 이른바 냉대 하계고온기후(쾨펜의 세계기후구분에 따른 분류)에서 비롯된 여름철 집중호우기를 거쳐야 되는 서울의 한강에서..
-
구국의 영웅이 된 다문화 가정 출신 온달과 아차산성지켜야할 우리역사 고구려 2021. 4. 3. 11:32
온달에 관해 쓴 글들을 보면 '신데렐라 콤플렉스'라는 단어가 종종 눈에 띈다. 어떤 글은 친절하게 그에 대한 설명을 달아, 결혼을 잘해 일거에 신분상승을 하거나 부귀영화를 누리려는 욕망을 '신데렐라 콤플렉스'라고 부른다며 온달도 그 범주에 끼워 넣으려는 시도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건 잘못된 설명이다. 심리학적으로 신데렐라 콤플렉스는 자기 자신의 능력이나 인격으로 자립할 능력이 없는 여성이 남성에게 보호되어 살아가려는 의존심리를 지칭하거나, 억압된 분위기와 불안이 뒤엉킨 여성이 자신의 의욕과 창의력을 발현하지 못하고 일종의 미개발 상태로 남겨두려는 심리 상태를 말한다. * 미국의 저널리스트 콜레트 다울링(Colette Dowling)이 처음 사용한 용어로 현대 산업사회에 들어 급격히 표출되기 시작..
-
북주(北周)를 격퇴한 우즈베키스탄 혼혈아 온달지켜야할 우리역사 고구려 2021. 4. 2. 01:23
구한말 학자 창강(滄江) 김택영은 나라가 망하자 중국으로 망명했다. 그리고 독립운동을 하며 조선의 역사를 집필하였던 바, 이 같은 행적이 단재 신채호와 유사하다. 단재의 경우는 요즘 말하는 진보적 사관으로, 고려 묘청이 외친 서경(西京, 평양) 천도론을 '일천년래 제일 대사건'으로 평가한 문장은 유명하다. "만약 김부식이 패하고 묘청이 이겼더라면 조선사가 독립적, 진취적으로 발전하였을 것이니 이것이 어찌 일천년래 제일 대사건이라 하지 아니하랴." 이 말은 단재의 진보적이고도 독특한 사관을 대변한다. 반면 창강은 , 등을 통해 담담한 시각으로써 한민족의 역사를 중국에 알리는 일을 했는데, 그 역시 독특하게도 에 등장하는 '온달전(溫達傳)'을 조선 오천 년 이래 최고 명문장으로 꼽았다.(문장의 짜임새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