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남산신사(조선신궁) 자리를 돌아보다
    우리역사 비운의 현장을 가다 2020. 11. 15. 00:56

     

    일제는 1919년 7월 18일, 일본 내각고시 제12호로 조선신사(朝鮮神社) 건립을 확정·공표하였다. 3.1만세운동이라는 민족적 거사에 놀란 일제는 조선인의 사상을 바닥부터 개조할 필요를 느꼈던 바, 일본의 신도(神道) 사상과 천황 숭배 이데올로기를 조선에 입식(入植)시키기로 마음먹었다. 그리하여 수도 한양에 일본 귀신들의 대빵이자 일왕가(王家)의 직계 조상신으로 모시는 '아마데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와 1912년에 죽은 '메이지 텐노'(明治天皇)을 합사한 신사를 만들어 참배토록 하자는 관폐대사 조선신사안(官幣大社 朝鮮神社案)이 마련된 것이었다.

    그 장소로는 서울 남산 중턱이 낙점되었다. 처음에는 일본인 거주지역인 왜성대 경성신사(京城神社) 인근(지금의 리라초등학교 자리)과 경복궁 신무문 뒤쪽 백악산 중턱(지금의 청와대 위)이 고려되었으나 최종적으로
    서울 목멱산(木覓山), 즉 남산이 선정되었다. 예로부터 목멱산은 풍수지리상의 안산(案山)으로 서울의 중심에 해당하는 곳이었고, 민간에서는 조선의 국신(國神)을 모시는 국사당(國祀堂)을 두고 제례 지내던 곳이었던 바, 일본 귀신을 모시는 장소로써 적격이었던 것이다.

     

    불편함이 있었다면 그곳에 한양도성의 일부인 남산성벽이 자리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하지만 이미 한양도성과 성문들을 훼철한 바 있는 일제에게 그 정도는 아무 것도 아니었을 터, 1920년 5월 기공식을 가진 후 일사천리로 성벽을 허물고 남산 중턱에 127,900여 평의 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그곳에 일본 신사 건축양식에 따른 정전(正殿)・배전(拜殿)・신고(神庫) 등의 15개 건물을 짓고 돌계단과 참배길을 조성하였다. 이어 일제는 곧 목적을 드러냈던 바, 1925년 6월 27일 신사를 신궁(神宮)으로 승격시킨 후 조선인들에게도 참배를 강요하였다.

     

     

     

     

    일제에 의해 훼철된 남산성벽

     

     

    일본의 귀신과 죽은 일왕을 경배하는 이 같은 신사참배가 조선인의 혼을 얼마나 피폐하게 만들었는가는 새삼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게다가 다른 절대 신을 모시던 조선 기독교 단체인 장로교, 감리교, 성결교, 천주교는 오히려 아래와 같은 신사참배안을 결의하고 이방 귀신의 참배에 앞장 섰던 바, 할 말이 없는 지경이었는데, 다만 주기철 목사와 같은 단 몇 명의 성직자만이 이를 거부해 순교했다.

     

    '신사(神社)는 종교가 아니므로 기독교 교리에 위반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는 애국적 국가의식이므로 목회자들은 신사참배를 솔선수범하고 국민들을 계몽시킴으로써 비상시국 하의 황국신민으로서의 책임을 다한다.'(1938년 9월 10일, '조선 예수교 장로회 총회 제27회 회의록')

     

     

     

    조선신궁 참배로의 어제와 오

    서울시 교육정보연구원 옆 계단이 조선신궁 당대의 것은 아니나 그 위치에 만들어진 것은 맞다.  

     

    남산에서 내려다 본 조선신궁 

     

    조선신궁이 있던 자리

     

    남산을 배경으로 한 조선신궁 전경

     

    조선신궁 배전

     

    조선신궁의 배전 및 본전

     

     

    발굴된 배전 터

     

     

    배전 터 안내문

     

    배전에서 참배하는 모습

     

    신사 원경

     

     조선신궁 평면도

     

    조선신궁의 부감

    입구의 도리이와 참배계단, 안쪽 끝으로 배전과 본전이 보인다.

     


    본전 부근에서 수습된 석재들

    본전 기단석과 한양도성의 석재로 추정된다.

     

     

    지난 12일, 서울시가 5년 여의 공사 끝에 일반에게 시범 공개한 남산 한양도성 유적과 이와 더불어 발견된 조선신궁의 유적을 살펴보고 왔다. 한양도성 유적은 100년 만에, 조선신궁 유적은 70년 만에 처음 공개되는 가슴 아픈 또 하나의 역사적 공간이다. 일제가 허문 한양도성의 남산 구간 성벽은 그 기초가 거의 발굴되었고, 조선신궁의 유적으로 유일하게 존재했던 분수대 앞 계단은 이번 공사를 하며 없어졌으나(분수대 유구는 남겨 두었다) 대신 조선신궁 배전 터가 발굴됐다.   

     

     

    일제의 방공호

     

    본전 뒤에 있었을 방공호도 발굴되었다. 역쉬 무써운 놈들.


    신사 자리에 세워진 이승만 동상

    1956년 이승만 대통령의 80살 된 해를 기념해 8월 15일 광복절 날 남산신사 자리에 그의 동상이 건립됐다. 높이 25m로, 동양 최고니 세계 최고니 하는 말이 나돌 정도로 거대한 동상이었는데, 기단에는 그의 일생을 부조로 새겼다. 건립위원장을 맡은 국회의장 이기붕이 이날 성대한 건립식을 거행했다.  

     

    끌어 내려진 이승만 동상

    1960년 4,19 의거가 일어나자 동상은 끌어내려져 파괴되었고, 부통령 이기붕과 가족은 의문의 죽음을 당했다. 남산에서 되풀이된 대한민국의 또 다른 비극의 역사다. 


    댓글

아하스페르츠의 단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