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사에서 배우는 세상사는 법
-
하이테크 기술을 지닌 오월(吳越)동양사에서 배우는 세상사는 법 2018. 6. 9. 23:58
춘추시대의 다섯 명의 패자(覇者)를 말하는 춘추5패에 관한 정의는 아직도 확실한 것이 없다. 혹자는 제 환공, 진 문공, 초 장왕, 오 합려, 월 구천을 지칭하고, 혹자는 오 합려, 월 구천 대신 진 목공이나 송 양공을 넣기도 하며, 혹자는 오 합려 대신 그의 아들 부차를 넣기도 한다. 또 혹자는 군웅할거의 춘추 시대에서 특별히 5명의 패자를 꼽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내가 살펴본 바에 의하면 그래도 아직까지는 아래 그림의 정의가 가장 무난한 듯싶다. 춘추오패(그림 출처: 다음 '산여울'님의 블로그) 그런데 위의 그림을 보면 마치 전국시대 7웅처럼 그 5명의 패자가 지역을 나눠가지며 군림한 것처럼 여겨지나 그렇지는 않고, 기원전 770~403년의 춘추시대 동안 크게 세력을 쥐었던 패자들을 ..
-
삼사(三舍)를 후퇴한 진문공(晉文公)동양사에서 배우는 세상사는 법 2018. 6. 8. 23:58
제 환공 다음으로 중원의 패자가 된 사람은 진(晉)나라의 문공(BC 697-628)이었다. 앞서 제 환공이 어렵사리 왕위에 오른 일을 설명한바 있는데, 어렵게 왕위에 오른 사실로 말하자면 진문공은 제환공보다 열 배는 더 힘들었을 터, 그 드라마틱했던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진나라는 주나라 무왕의 친족인 희씨(姬氏)가 봉토를 하사받아 다스리게 된 땅이었는데, 처음에는 제나라와 똑같이 별 볼일이 없다가 기원전 650년경 헌공(獻公) 때에 이르러 기지개를 펴기 시작했다. 헌공은 즉위 5년에 여융(驪戎)을 멸망시키고 이어 곽(霍)·경(耿)·위(衛)·우(虞)·괵(虢) 등 주변의 작은 나라들을 병합시켰다. ~ 진나라는 희씨 계통의 왕족이 아니라 동성혼을 일삼던 태원(太原) 지방의 오랑캐 북적(北狄)이 남하하..
-
관포지교, 이게 우정이라고?동양사에서 배우는 세상사는 법 2018. 6. 7. 23:33
태공망 여상이 희발(무왕)을 도와 주나라를 건국한 일에 대해서는 '강태공과 그의 아내' 및 '태공망 여상과 육도삼략(六韜三略)'에서 자세히 설명했다. 이로 인해 여상은 당연히 주나라 건국의 일등공신이 되었던 바, 그 공으로 동쪽 제(齊)나라 땅을 하사받아 제후가 된다. 하지만 그 대단했던 태공망 여상과 달리 그 후손들에게서는 그만한 인물이 나오지 않았으니, 그 3대손인 애공은 옆의 듣보잡 기(杞)나라에게조차 씹혀 목숨을 잃는다. ~ 기나라가 완전 듣보잡은 아니고 기우(杞憂)라는 고사성어에 잠깐 등장한다. 하늘이 무너질까 늘 염려하고 살았다는 바보가 바로 기나라 사람이다. ~ 제나라는 태공망 여상과는 무관한 본래 동성혼이 행해지던 동이(東夷)족의 나라였으며 태공망 분봉(分封) 운운의 것들은 환공이 제패한 ..
-
태공망 여상과 육도삼략(六韜三略)동양사에서 배우는 세상사는 법 2018. 6. 6. 08:04
태공망이라는 호칭의 유래에 관해서는 앞서 '강태공과 그의 아내'에서 설명한 바 있다. 그리고 성은 강(姜)씨요, 이름은 여상(呂尙)이라 말하고, 강태공은 그 성과 호칭이 결합되어 훗날 낚시꾼의 대명사처럼 쓰이게 됐다는 설명을 마친 바 있다. 그런데 이에 대해 지적을 해주신 분이 있었다. 태공망의 이름은 여상이 아니라 상(尙)이요, 여(呂)는 씨족의 명칭이라는 것이다. 거두절미히고 맞는 말씀이다. 옛 중국의 이름 체계는 현대와는 상이해 성씨(姓氏)에 있어서 성(姓)과 씨(氏)를 달리했다. 말하자면 여상은 이름이 아니라 여(呂)라고 하는 씨족 부락에 사는 상(尙)이라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다시 설명하자면 그는 본래 강(姜)족 부락 출신의 상이라는 사람이었는데, 이후 여씨 부족으로 옮겨 오며 여 자(字)가 덧..
-
강태공과 그의 아내동양사에서 배우는 세상사는 법 2018. 6. 5. 08:02
젊은 시절, 주변에서 장가를 잘 갔다는 친구들이 더러 있었다. 다른 친구들이 그 부인의 품성 같은 것을 알 리 없을 터, 장가를 잘 갔다 함은 처가에 돈 푼이나 있다는 뜻일 게다. 오랫동안 안 나가던 동창회에 한번 참석했을 때 그 친구들을 볼 수 있었다. 신수 좋은 얼굴로 '넌 요즘 몇 개나 때리냐?'며 보자마자 골프 얘기다. 하긴 십수년 만에 만난 친구들끼리 달리 할 말이 뭐 있겠는가만은..... 그 친구들 중의 한 명을 사심 없이 다시 만날 기회가 있었는데, 술이 좀 거나해서 '어디 가서 한잔 더 하자'는 말이 나올 때쯤 그 친구의 핸드폰이 울렸다. 상대방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았지만 대충 앞뒤를 짚어보니 그만 놀고 들어오라는 마누라의 귀가 명령 같았다. 아니나 다를까, 친구는 집에 일이 있어 가봐야 ..
-
지극한 인간관계의 표상 토포악발(吐哺握髮)동양사에서 배우는 세상사는 법 2018. 6. 4. 06:50
흔히 납량(納凉)특집이라 하면 그동안의 학습효과가 발휘되어 대부분 공포영화 같은 것을 떠올리지만, 문자 대로하면 서늘함을 드린다는 뜻이니 비단 ‘공포’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과거 여름방학 때면 늘 하는 일이 하루 종일 대청마루를 뒹굴며 ‘삼국지 연의’와 같은 소설이나,(그중에서는 요시가와 에이지 것이 최고였다) ‘사기열전’, ‘동주 열국지’ 같은 고전을 뒤적이는 일이었는데, 그런 책들을 읽으며 서늘함을 느낀 대목은 의외로 장렬함에 있지 않았다. "동주열국지" '송양지인'에 관한 삽화'드라큘라 백작의 억울한 누명' 참조 앞서 말한 진승과 오광의 발악적 봉기, 예향의 의리, 초장왕 부하의 보은의 죽음, 한신의 비참한 최후 등에서 보이는 장렬함은 읽는 이에 따라서는 요즘 같은 한낮 무더위를 잠시 잊을 만한 청..
-
물러날 때를 놓친 천하제일 지략가 한신(韓信)동양사에서 배우는 세상사는 법 2018. 6. 1. 15:01
정말로 아무 것도 가진 게 없는 사람이 뜻을 품었다면 당장의 어려움은 참고 견뎌내야 한다. 그 어려움이란 우선은 배고픔이 가장 클 것이고, 다음은 가난에 따르는 모욕감일 것이다. 그 모욕감은 때로는 배고픔보다 더 괴로울 수 있을 터인데, 이상의 어려움을 모두 이겨내고 입신양명한 대표적인 인물을 꼽는다면 아마도 한신(韓信, ?-BC 196)이 첫 손가락에 꼽힐 것이다. 한신은 진(秦)나라 말기에 활약한 인물로, 그의 고단한 청년기를 비롯한 파란만장의 일생은 "사기" '회음후열전'에 잘 그려져 있다. 회음후(淮陰侯)라는 명칭은 그가 말년에 회음 지방 일대의 제후에 봉해졌기 때문인데, 그가 태어나서 자란 곳도 그곳이었다.(회음 지방은 지금의 강소성이다) 한신의 출신은 한(韓)나라 왕족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한..
-
초장왕(楚莊王)의 리더십동양사에서 배우는 세상사는 법 2018. 5. 31. 05:50
춘추오패(春秋五覇) 중의 한 사람인 초나라 장왕(재위 BC 613-591)에 관해서는 많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중에는 좋은 이야기도 있고 나쁜 이야기도 있는데, 어찌됐건 그가 많은 일을 했다는 것은 분명하다. 허나 처음 즉위해서는 전혀 그렇지가 않았던 듯 3년 동안이나 술독에 빠져 있었는데,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해 간(幹)하는 자는 참(斬)하겠다는 엄명까지 내렸다. 참다못한 그의 신하 오거(伍擧)가 대놓고 말하지는 못하고 돌려 간했다. “전하. 언덕 위에 3년 동안 날지도 울지도 않는 새가 있습니다.(三年不蜚又不鳴) 그 새가 무슨 새인지 아십니까?” 그런데 이에 대한 장왕의 대답이 뜻밖이었다. “알고 있소. 그 새가 3년 동안 날개를 접고 날지도 울지도 않고 있지만, 한번 날았다 하면 반드시 하늘을 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