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강화도 조약의 수수께끼(III)
    우리역사 비운의 현장을 가다 2019. 4. 20. 23:58

     

    일찍이 개화(改化)에 눈 떴던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는 불행히도 후사 없이 요절을 했다. 이에 헌종은 불과 여덟 살의 나이에 노론 세력인 안동 김문(金門)에 의해 옹립되었는데, 조금 나이가 들어 뭔가를 해보려 할 즈음 갑자기 죽고 만다.(그때가 23살로, 그에 관한 독살설이 끊이지 않는 것은 이 때문이다) 그나마 헌종은 후사가 없었던 바, 그다음 왕인 왕인 철종 역시 안동 김씨에 의해 옹립되었다. 강화도에서 농사를 짓고 있던 변(昪, 초명은 원범)이란 왕족 청년을 데려다 왕위에 앉힌 것이다.(1849년)

     

    이는 다들 일찍 가는 바람에 왕실에 근친(近親)이 없어서이기도 했지만, 안동 김문이 제 입맛에 맞는 자를 찾은 결과이기도 했다. 이에 잠시 풍양 조씨에게 넘어갔던 힘은 다시 안동 김씨에게 넘어왔고, 철종은 그저 허수아비 왕에 불과했다. 천애고아로서 겨우 연명하다 하루아침에 왕이 된 그에게 무슨 힘이 있었겠는가? 당시의 세계는 제국주의의 발호와 함께 급변하고 있었던 바, 시급한 개화가 요구되던 시기였다. 하지만 안동 김문에 개화의 의지 따위가 있을 리 없었다. 편하게 먹고살며 세도를 누리던 그들이 변화를 원할 이유는 전혀 없기에.

     

     

    효명세자의 수릉 / 효명세자는 문조(文祖)로 추존됐다.
    교동읍성 남문 / 1786년 사도세자의 서자(정조의 이복동생) 은언군은 역모죄에 연루돼 강화 교동에 안치되는 바, 이로 인해 이른바 강화 계보라는 곁다리 왕실 계보가 생겨나게 된다.
    철종이 살던 곳 / 변(철종)이란 시골 청년이 살던 초가는 훗날 용흥궁이란 이름의 저택으로 바뀌었다.
    강화행렬도 / 변을 데리러 온 관리들의 행렬과 이를 구경하는 사람들을 그렸다. 세상의 드문 광경에 구경하는 사람들은 입을 모아 말했다. "세상에 이런 변이 있나?" (149x434cm의 12곡 병풍의 일부/ 평양 조선미술박물관 소장)

     

    이하응(흥선대원군)은 철종의 후사 역시 안동 김씨에 의해 옹립되려는 것을 극적으로 막았다. 이름뿐인 왕족 이하응은 안동 김씨의 전횡에 파락호로 살았으나 한 방을 지닌 자였는데, 그 한 방이 철종의 죽음과 더불어 터졌다. 공교롭게도 철종 역시 후사가 없었던 바, 당시 왕실의 최고 실권자인 대왕대비 조 씨(효명세자의 와이프)와 공모해 그 빈 왕좌에 재빨리 제 아들 명복(고종)을 앉혔던 것이다.(1863년) 당시 고종의 나이 12살, 국가의 권력은 자연히 그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에게로 집중됐다.

     

     

    흥선대원군의 사저였던 운현궁의 후원
    척화비 / '서양 오랑캐들이 쳐들어오는 이 마당에 싸우지 않고 화친하고자 하는 것은 곧 나라를 팔아먹는 일이다.'는 글이 새겨져 있다. 운현궁 유물관 안의 것으로 충남 홍성 척화비의 모사비이다.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은 결국 조선의 멸망을 불러오는 원인이 되었다. 병인양요와 신미양요에서 그가 공들인  삼수병(三手兵: 포수, 사수, 살수의 통칭)들은 기대에 걸맞은 빛나는 활약을 보였지만 그들의 분전은 오히려 조선이 살아남을 수 있는 기의(機宜)를 놓치는 꼴이 되었다. 아무 의미 없는 소리겠으나 조선이 그때 프랑스나 미국에 문호를 개방했다면 분명 35년 간의 일제 식민지 기간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고 그것이 바람직했다고 여기는 것은 아니니, 제국주의 프랑스가 인도차이나에서 보여준 행각이나 미국의 필리핀에서의 행각을 보면, 그들이 조선에 관대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은 어림없다.

     

    문제는 개화의 실기(失期)였다. 좀 더 빨리 문호를 개방했다면 틀림없이 조선의 운명은 달라졌을 것이기 때문이다. 더불어 개화를 서두른 고종의 선택 또한 만시지탄이 아닐 수 없다.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영향력에서 하루라도 빨리 벗어나고 싶었던 고종은 친청(親政)이 시작되자 아버지의 무조건적인 쇄국정책에 무조건적인 반대를 보였던 바, 강화도 회담의 전권대사 신헌이 조약에 별다른 고민을 보이지 않은 것은 이와 같은 고종의 의중에의 반영일 터이다.(당시 고종의 정책은 딴 게 없었고 오로지 흥선대원군의 정책에 반대로 나가는 것이었다)

     

    아무튼 고종의 개화 조급증이 결국 강화도 조약이라는 불평등 조약을 이끌어냈다는 것이 그 수수께끼 역사에의 나의 최종 결론이다. 고종이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에 반대해 앞뒤 생각 없이 개항을 선택한 탓에 신헌 역시 앞뒤 생각 없이 조약문에 서명날인을 하게 된 것이 바로 강화도 조약의 본질이었다.(따라서 이왕 늦은 거 좀 더 국가의 힘을 키워 개방을 했다면 좀 더 나은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겠나 하는 아쉬움을 지우기 힘들다. 그렇게 보자면 꼰대 최익현의 주장이 훨씬 시류에 적합한 것이었다)

     

    혹자는 신헌이 원래부터 개화론자라 말하기도 한다. 그러면서 그 증거로써 개화론자였던 강위,* 박규수** 등과의 친분을 내세우기도 한다. 하지만 서울 화계사와 운현궁에 내걸린 신헌의 글씨를 보자면 그가 개화론자였다는 말은 맞지 않을 듯한 바, 그 사진들을 몇 장 올려본다.

     

    * 강화도 회담의 배석자로 조약 체결 쪽으로 분위기를 이끈 인물이다. 시인이자 개화사상가로 훗날 한성순보를 창간했다. 

    ** 유명한 연암 박지원의 손자로, 평안감사 당시 제너널 셔먼호를 불태운 장본인이지만 강화도 조약에 임해서는 개항 반대론자인 최익현과 시종일관 대립한 대표적 개화론자였다.
     

     

    화계사 대웅전 / 주련의 예서가 신헌이 쓴 것이다.(그는 예서의 명필로 이름이 높았다) 조선 중종 때 세워진 이 절은 흥선대원군이 세도를 부리던 시절 그의 시주로써 중건됐는데, 아마도 대왕대비 조씨가 불공을 드리던 절이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자신의 아들 명복을 왕위에 앉혀준 보답으로)
    화계사 보화루 / 지금은 종무소로 사용되는 이 당우에는 화계사라고 쓴 흥선대원군과 신헌의 글씨가 나란히 걸려 있다. 왼쪽이 신헌의 글씨이고 오른쪽이 대원군 것이다. (두 사람은 모두 추사 김정희에 사사했는데, 그 인연에서인지 흥선대원군은 집권을 하자 통영의 수군통제사였던 신헌을 불러 올려 형조판서에 앉혔고 이후 그는 출세가도를 달린다. 신헌이 화계사의 편액을 써준 것은 아마도 이에 대한 보답쯤이 될 것 같다)
    보화루의 현판 / 현판의 글씨 역시 신헌의 것으로 득의의 예서체이지만 추사체와도 흡사하다.
    명부전의 현판 / 명부전 현판은 흥선대원군이 썼다. 언뜻 추사 김정희가 쓰지 않았나 여겨질 정도로 추사체의 문자향이 가득하다.
    운현궁의 봄 / 김동인은 파락호 이하응이 질곡에서 벗어나 마침내 대원군(왕의 아버지)이 되는 과정을 소설 '운현궁의 봄'에 실감 나게 그렸다. 시종 긴박감을 선사하는 내용으로부터 김동인의 천재성이 절로 인정되는 그 소설의 대미는 운현궁에 봄이 찾아왔다는 문장으로 끝난다. 그리고 다음의 한 줄을 덧붙였다. "그 봄은 오랫동안 쓸쓸하던 만큼, 또한 유달리 화려한 봄이었다."
    운현궁 노락당
    노락당 편액 / 이 글씨가 신헌의 것이다. 신헌과 대원군 두 사람의 관계를 알게 해 주는 결정적인 물증이랄까? 운현궁의 안채인 이곳에서 고종과 민왕후의 가례가 올려졌는데, 산전수전을 다 겪은 이하응임에도 이 어린 며느리가 머잖아 자신의 상투를 쥐게 될 것을 짐작조차 하지 못한다.
    운현궁 노안당 / 사랑채인 이곳에 진짜 추사의 글씨가 걸려 있다. 하지만 추사가 직접 쓴 것은 아니고 그의 글씨를 집자(集字)해 만든 편액이다. 한때 나는 새도 떨어뜨렸던 대원군은 이곳 노안당에서 쓸쓸히 파란만장의 일생을 마감한다. 현판의 염원과 달리 그의 말년은 편안하지 못했다.

     

    운현궁 이로당
    이로당과 편액 / 안채인 이로당의 편액도 집자된 글씨다. 김정희의 낙관 때문인지 추사가 썼다고 소개한 글도 있으나 추사는 이 건물이 지어지기 13년 전(1856년) 타계했다.

    댓글

아하스페르츠의 단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