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시대의 기독교, 그리고 신사참배신 신통기(新 神統記) 2019. 8. 14. 08:43
엊그제 식당에서 우연히 뉴스를 보니 애국가의 작곡가 안익태의 친일 행각이 다시 도마 위에 올라 있었다. 민감한 시절에 오른 민감한 뉴스였다. 하지만 이번에도 나는 별로 귀를 기울이지 않은 채 종업원을 불러 식사 주문을 했다. 안익태의 친일 행각은 음악가로서 세상을 살아야 하는 사람에게는 선택의 문제일 수 없다는 생각을 진작부터 해왔던 까닭이다. 다른 예술 장르와 달리 음악은 발표를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고(동요처럼 암암리에 퍼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있기는 하지만 극히 제한적이라) 들어줄 사람이 있어야 하는 특질이 있기 때문이었다.(그러함에도 그에게서는 홍난파나 현재명 같은 직접적인 부역의 증거를 찾기 힘들다)
특히 안익태의 친일 행각은 반드시 그렇다고 할 수 없는 많은 변수들이 존재한다. 그의 창씨(에키타이 안, Eki-tai, Ahn)는 당시 나라가 없던 그로서는 당연한 일이었고,(그의 활동 무대는 미국과 유럽이었다) 그가 작곡한 '만주환상곡'이 '애국가' 코러스가 실려 있는 '한국환상곡'과 비슷하다는 것도 억측이다. 알아보니 그가 친일인사로 취급받는 결정적인 이유는 그의 스승 리하르트 슈트라우스가 나찌 독일에 부역한 자이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나찌 독일과 동맹관계에 있던 일제도 슈트라우스에게 작곡을 의뢰했으며(일본축전곡) 슈트라우스의 애제자였던 안익태도 때로는 이 곡을 지휘해야만 했을 터, 이것은 그가 친일파로 낙인찍히는 계기가 됐다.
당시 그는 명지휘자로서의 이름을 얻어 유럽 여러 교향악단으로부터의 초청을 받았는데, 1942년 베를린 필하모니 연주회장에서 베를린 방송 관현악단과 합창단을 지휘해 자신이 작곡한 '만주환상곡'과 '만주축전곡'을 연주한 것은 그 자신의 의지라기보다는 스승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와의 관계가 변수로 작용했을 터이다.(이것이 문제가 되고 있는 만주국 건국 10주년 기념 음악회이다) 그는 1946년 스페인 마요르카 교향악단의 상임지휘자로 있을 때 미국 필라델피아 관현악단으로부터 초청을 받았으나 슈트라우스의 수제자라는 이유로 비자의 발급을 거절당했을 정도로 슈트라우스의 그림자는 컸다.(하지만 그 2년 뒤 결국 필라델피아아 무대에 선다) -이만 줄임-
마찬가지로 만주국 창립 음악회에서의 안익태
애국가가 들어 있는 한국 환상곡의 LP 쟈켓(우리로서는 헛갈릴 수밖에 없다)
오늘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일제 시대의 음악가가 아니라 그 당시 목회자들의 행태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내가 알고 있는 인물들 중에서 일제에 항거한 사람은 주기철 목사 외 두 세 명 뿐이다.(어쩌면 그들이 전부일는지 모른다) 음악가, 혹은 다른 직업군의 사람들과 달리 목회자들의 부역은 성서적으로 절대 존립힐 수 없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일제가 표방하는 대동아 전쟁(태평양 전쟁)은 신이 된 일왕을 위한 싸움이었고, 따라서 그들은 어떠한 경우에도 '반자이 도츠케키'(만세, 돌격)를 외쳤으며, 죽을 때도 '덴노헤이카 반자이'(천황폐하 만세)를 외쳤다. 즉 일왕은 자신들의 살아 있는 신이었다. 다만 당시의 일왕 쇼와는 아직 죽지 않았으므로 일제는 일왕가의 직계 조상신 '아마데라스 오미카미'(천조대신)와 '메이지 덴노'(명치 천황)을 모신 신사를 만들어 참배토록 했다.
그런 신을 위해 조선의 목사들은 신사참배를 결의했다. 가장 먼저 참배를 결의한 총회는 교회의 성세(盛世)로 인해 '동방의 예루살렘'으로도 불린 평양시에서 개최됐다. 1938년 9월 10일 평양 '서문밖 교회'에 모인 조선과 간도의 목회자 193명은 다음과 같은 결의문을 채택했다.
'신사(神社)는 종교가 아니므로 기독교 교리에 위반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는 애국적 국가의식이므로 목회자들은 신사참배를 솔선수범하고 국민들을 계몽시킴으로써 비상시국 하의 황국신민으로서의 책임을 다한다.'
그리고 곧바로 대표자들이 평양 금수산의 신사를 참배하고 돌아와 자질구레한 안건의 회의를 이었다. 이날 회의장인 서문밖 교회에는 평안도 치안 총책인 평남경찰부장 이하 간부들이 긴 칼을 차고 배석했고, 그 안팎을 수십 명의 경찰과 무술경관들이 둘러싼 살벌한 분위기였다고 하는데, 그것이 조금은 핑계거리가 될는지.....
다만 이날이 그저 평안했던 것은 아니니 평양 노회 소속 선교사 방위량(邦緯良, William N. Blair)은 가결의 반대 의사를 표했고, 그의 사위이자 만주 봉천 노회 소속 선교사인 한부선(韓富善, Bruce F. Hunt)은 결의가 불법임을 외쳤다. 이에 조선인 30여 명이 호응해 가결 반대와 불법 결의를 소리쳤지만, 두 외국인 선교사가 끌려나간 후로는 더 이상 아무런 소리도 들려오지 않았다.
'조선 야소교 장로회 총회 제27회 회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