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오욕의 땅 이태원 - 임진왜란과 잉태원
    우리역사 비운의 현장을 가다 2019. 12. 5. 23:59

     

    임진왜란의 전범 가토 기요마사가 스쳐가기 전까지 이태원(梨泰院)은 그저 조용한 역원(驛院) 마을이었다. 배나무 꽃 아름다운 역참 동네 이태원은 오얏나무(자두나무) 이(李)의 이태원(李泰院)으로도 불렸던 바, 하얀 배꽃과 자두꽃이 어울려 흐드러진 풍치 있는 마을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 아름다운 풍경을 <용재총화>는 이렇게 묘사했다. 

     

    이태원은 목멱산 남쪽에 있는데, 그곳에는 맑은 물이 산으로부터 쏟아져 내려오고, 운종사 동쪽에는 아름드리 소나무가 크고 깊은 골짜기에 가득하니 성안의 아녀자들이 피륙의 빨래와 표백을 위해 모여들었다.

     

    이러한즉 본래부터 자연발생적인 마을이 있었겠으되, 본격적으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한 건 계유정난으로 집권한 세조가 영남지방의 민심을 살피기 위해 만든 역원 이태원으로부터였다. 원(院)은 공무여행자에게 숙식을 제공하기 위해 만든 일종의 국영 여관으로, 대부분 각 30리마다 설치된 역참(驛站) 부근에 있던 까닭에 역과 원이 합쳐진 역원으로 불려졌다.

     

    ~ '한 참 걸린다', '한 참 간다' 등에 쓰이는 '한 참'은 역참이 설치된 30리 거리를 말함이니 지금으로 보면 12km이다. 공무수행자가 역참에서 마패에 표시된 숫자만큼 마필을 빌릴 수 있다는 것을 '암행어사와 마패'에서 설명한 바 있다. 원은 역참과 함께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각 도에 6개 정도로 드물게 설치됐으며 관리가 아닌 일반 나그네도 유숙이 가능했다. 

     

    ~ 서울 부근에는 동대문 밖의 보제원(普濟院), 서대문 밖의 홍제원(洪濟院), 남대문 밖의 이태원, 광희문 밖의 전관원(箭串院)이 있었는데, 홍제원이 있던 홍제동과 이태원이 있던 이태원동만이 지명으로 남아 있다. 역원은 병조 관할로, 지방의 역원들은 병조에서 파견된 종6품 찰방(察訪)과 종9품 역승(驛丞)에 의해 관리되었다.

     

     

    대동여지도에 표시된 홍제원과 이태원(아래쪽 □)
    이태원 터 푯말 / 현 용산고등학교 정문 앞에 위치한다.(근방에 역원을 짐작할 수 있는 흔적은 전혀 남아 있지 않다)

     

    그와 같이 평화롭고 아름다운 고장이 더럽혀지기 시작한 건 말한 바대로 임진왜란 당시 가토 기요마사의 왜군이 이곳 원과 근방의 운종사(雲鐘寺)에 주둔하면서부터였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운종 사는 비구니 사찰이었던 바, 여승들은 모두 능욕을 당했고 저항하는 자는 죽임을 당했다. 일대의 처자들도 마찬가지 신세를 겪었으니 저항하는 아녀자나 가로막는 조선 남자들은 모두 죽임을 당했다. 이때 가토의 군대는 약 2만8천 명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 수를 볼 때 인근 부녀자들의 피해가 상당했으리라 여겨진다.

     

    가토의 부대는 머잖아 함경도 쪽으로 진출하며 절을 불태웠고 갈 곳이 없던 여승들은 마을 수호신의 제당인 부군당(府君堂)에 들어가 살았는데, 왜군 철수 후 배가 불러오기 시작한 마을 여자들도 하나 둘 이곳으로 모여들어 근방에 토막을 짓고 살게 되었다. 일대가 異胎院(이태원)으로 불려지게 된 것도 그즈음의 일로, 종자가 다른 아기를 임신했다는 뜻이었다. 혹 간은 아예 잉태원이라는 노골적인 이름으로 불려지기도 했는데, 위의 대동여지도에서는 利泰院(이태원)으로 표기된 것을 보면 애초부터 정확한 지명 표기는 없었던 듯싶다.

     

     

    이태원 부군당 / 부군당은 관에서 설치한 신당(神堂)이다. 원래는 남산 중턱 황약골에위치했으나 일제가 훈련소를 지으며 지금 자리로 옮겨왔다.
    부군당에서 바라본 남산 전경 / 황약골 은 현 용산고등학교에서 남산으로 올라가는 쪽에 있지 않았나 싶다.

     

    이태원(異胎院)에서 태어나고 자란 아이들은 모두 관노(官奴)로 수용됐고 그들은 그렇게 비루한 일생을 살다 갔다. 개인은 물론이요 국가적으로 볼 때도 참담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그 비극이 5백 년 후 일제에 의해 다시 재현되게 되는 바, 힘없는 나라의 아녀자들은 종군위안부라는 이름으로 일제가 벌여놓은 전선으로 끌려가 성 노예가 되었다. 그리고 그와 같은 비극은 광복 후에도 이어졌으니, 1980년 소설가 전상국은 '아베의 가족'이라는 분단문학의 최고봉이라 불리는 그 소설 속에서 불행한 우리 역사의 또 다른 이면을 주목했다.

     

    아베의 가족 영문판 / 아베는 미군에게 강간을 당해 낳은 어머니의 정신박약한 아들이자 주인공 '나'의 형이다. 그가 할 수 있는 말은 '아베' 한마디뿐이다. 작가는 '내'가 짊어질 수도 짊어지지 않을 수도 없는 아베의 고통을 담담히 그렸으나 독자들에게는 영혼을 흔드는 울림으로 어필한다.

     

    일본 아베의 가족 / 전상국의 아베는 표면적으로 이 아베하고는 아무런 상관이 없지만 어쩌면 연장선상 위에 있는지도 모른다. 그는 친한파였던 할아버지, 아버지보다도 2차세계대전 A급 전범 용의자였던 외조부 기시 노부스케를 존경했던 바, 늘 기시 노부스케의 외손주임을 강조했다.

     

     

    종군위안부 할머니들과 징용피해자들의 문제는 여전히 한일 간의 뜨거운 감자다. 그것이 워낙에 예민한 문제라 해법을 가지고 있었도 들이대기가 쉽지 않은데, 간단히 말하자면 지금도 나의 생각은 우리 정부가 1차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유는 자명하다. 나라가 국민을 지켜주지 못한 죄이다. 전에도 말했거니와, 나는 가난하지만 일본 정부의 금전적 보상이나 배상을 원치 않는다. 줘도 안 받는다. 단지 다음과 같은 말을 해주고 싶다.

      "배상 따위는 필요 없다. 하지만 잊지는 않겠다."

     

    일본은 자신들이 우리보다 강하다고 여기고 있으므로 시위나 지소미아 해지 같은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일본인이 진정으로 무서워하는 것은 시위나 고함이 아니라 우리 국민의 위와 같은 마음 자세다. 아베가 전쟁 가능한 국가를 외치는 건 싸워서 이길 수 있다는 자신이 있기 때문이다. 열만 내지 말고, 속만 끓이지 말고, 아베가 왜 한국을 만만히 여기는지, 그리고 시진핑과 트럼프, 나아가 김정은까지도 왜 우리 대한민국을 가볍게 여기는지 한번 생각해볼 일이다.

     

    유성룡은 <징비록>의 서문에 '여기징이비후환'(予其懲而毖後患)'이라는 말을 썼고 그것은 곧 책의 제목이 됐다. '내 지나간 잘못을 경계해 앞으로 다가올 환난을 막겠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위와 같은 이태원의 비극이 다시는 되풀이되지 않게 하겠다 다짐하며 통절한 반성으로써 오욕의 역사를 써내려갔다. 그런데 어찌된 영문인지 이 책은 우리가 읽지 않고, 혹은 읽어도 반성 없이 왜란 직전처럼 똑같이 여·야가 엉겨 싸웠다.
     
    그런데 일본은 또 어찌된 영문인지 이 책을 몰래 수입해 <조선징비록>이라는 활판 인쇄물로 간행했다. 1695년 교토에서 출간된 <조선징비록>에 발행자인 가이바라 엣켄(貝原益軒)은 다음과 같은 서문을 붙였다.(놀랍게도 이 책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이 책의 내용은 간결하고 질박하니, 과장과 화려함을 다투는 세상의 다른 책들과는 격이 다르다. 향후 조선정벌을 말하는 자는 마땅히 이 책을 근간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이 책과 <조선정벌기>*, 오로지 이 2권만이 역사라 할 만하다.
     
    * 조선 침략의 선봉장 고시니 유키나가 휘하 장수 오제키(大關)의 종군기
     
    이것이 책장수의 낚시 문구라고 생각될 수도 있겠지만 가이바라 엣켄은 책장수가 아니라 17세기 일본을 대표하는 학자이다. 정한론(征韓論)의 장본인 사이고 다카모리는 필시 <조선징비록>을 읽었을 것이다. 우리에게는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가 19세기 일본을 개화시켜 선진 사회로 이끈 점잖은 사상가로 기억되겠지만 그 밑에서 나온 놈들은 죄다 침략주의자가 되었음을 상기하자.
     
     
    <조선징비록> / 1695년 일본에서 간행된 책으로, 원문에 없던 지도까지 첨부했다.(역시 무써운 놈들 --;;)

     

    왜란 후에도 조선의 관료와 선비들은 전과 다름 없이 반으로 나뉘어 치고 받았다. 정략이란 오직 네가 좋아 하는 것을 내가 싫어하면 족했다. 그리고 그러던 어느 날, 을씨년스러운 바람에 주위를 돌아보니 나라가 없었고, 다시 이태원의 비극은 되풀이됐다. 위안부 문제는 그 비극의 연장선 위에 있는 일이다. 그럼에도 지금도 여야는 예나 다름없이 똑 같이 싸우고 있는데, 그들을 꾸짖어야 할 국민들까지도 이제는 반으로 나뉘어 합세했다.
     
    20세기 초, 일본 역시 분열이 심했던 바, 보신 전쟁(戊辰戰爭)과 세이난 전쟁(西南戰爭)이라는 두 차례 내전이 일어났다. 이렇듯 내전까지 벌인 그들이 화합된 건 정치가의 힘이 아니라 위와 같은 학자들의 힘이다. 그런데 이 분열의 시기에 대한민국의 그 많은 학자들 중 누구 하나 화합의 명문을 쓴 자가 없으니 그들의 명석함은 오직 명철보신에만 쓰이는 듯하다. 그저 나라의 미래가 근심스러울 뿐이다.

    댓글

아하스페르츠의 단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