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가장 오래 통용된 화폐 오수전(五銖錢)
    지켜야할 우리역사 고구려 2020. 6. 24. 07:09

     

    오수전(五銖錢)은 기원전 119년인 한무제 원수(元狩) 4년에 처음 주조되어 당나라 초기인 621년까지 사용된 화폐로 장장 740년 간이나 사용됐다. 세계와 비교해보지는 못했지만 이 정도면 타의 추종이 불가하지 않을까 여겨지는데, 우연찮게도 고구려의 존속기간과 거의 일치한다. 그래서 나는 일단 그것을 고구려의 통화로 던져놓은 바이다. 유감스럽게도 지금까지의 발굴에서 고구려의 화폐라 할 만한 것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처치곤란할 정도로 많이 출토된 고조선의 돈 명도전(明刀錢)과 비교되어 더욱 의아하게 생각된다.(☞ '고조선의 돈 명도전')

     

     

    옥션에 나온 오수전 / 비교적 흔한 편이라 희소가치가 없다.(말한대로 740년 간이나 통용되었으니) 그래서 이름값에 비해 싼 편인데 옥션에서는 대략 25,000원 선이다.(일본에서는 1,000엔에 거래된다)
    1980년 발견된 금제 오수전 / 드물게 발견되는 한대(漢代)의 금제 오수전으로, 전한 시대 중에서도 이른 시기에 제작된 까닭에 희소성이 배가된다. 이런 돈은 한마디로 부르는 게 값이다.
    문양이 있는 한대(漢代) 오수전 / 오수전의 뒷면은 대개 민짜인 까닭에 이와 같은 정교한 문양이 있는 오수전은 당연히 거래가가 올라간다. 오수전은 그 역사가 오랜 만큼 형태, 크기, 무게, 자체(字體) 등에서 여러가지 변화를 보인다.
    전한시대 무덤에서 발견된 오수전 더미
    2015년 11월 강서성 남창시 옛 한(漢) 제후 무덤에서 200만 개에 달하는 오수전이 발견됐다. 현재 가치로 100만 위안에 해당한다고.

     

    그럼 지금부터, 많이 들어 귀에는 익으나 정작 뜻은 알 수 없었던 오수전에 대해 자세히 들여다보자. 먼저 명칭을 풀이하자면 오수전은 '다섯 오'(五) 자에 '무게 단위 수'(銖) 자를 쓰는데, 여기서 '수'는 기장(黍)이나 조(粟) 100알(粒)의 무게로 약 0.65g으로 추정된다. 즉 오수전은 1수의 다섯 배에 해당되므로 약 3.25g에 해당되는 무게겠지만,(얼추 비슷하다고 함) 무게보다는 그 가치에 이름의 뜻을 둔 듯하다. 한 끼 양식인 기장이나 조 한 줌의 가치와 동일한 가치가 있는 돈이라는 것이다. 크기는 거의가 2.3cm 내외이다.

     

    말한 대로 오수전은 흔한 편으로 한무제 때 처음 발행된 이 돈은 평제(平帝, 재위 BC 9-5) 치세인 원시 연간(元始年間)까지 법정통화로서 모두 280억 개를 주조하였다. 그 뒤 왕망 때에는 화폐개혁으로 주조가 금지되어 신(新)나라 화폐인 화천(貨泉) 등이 만들어져 사용되다가 후한 광무제 건무 16년(AD 40) 화천 등의 왕망전(王莽錢)을 폐지하고 오수전을 정식으로 회복시켰다. 이후 오수전은 다시 주조가 재개되어 화폐로써 사용되었던 바,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시대를 거쳐 수대(隋代)까지 통용되었다.

     

     

    신나라 의 화폐 왕망폐(옥션 홈페이지)
    신나라의 화폐 화천(한국은행 홈페이지) / 신(新 )은 서기 8년~ 23년까지 단 15년을 존속한 나라이고 이때 만들어진 화천은 서기 14년~40년까지 매우 짧게 통용된 화폐임에도 우리나라에서 다수가 발견된다.
    2005년 광주 복룡동고분 출토 화천 꾸러미
    해남 군곡리 패총 출토 화천
    김해 봉황동 패총 출토 화천 / 이렇듯 한반도 남부에서 화천이 다수 발견됨은 신·후한 교체기에 많은 보트 피플이 발생했다는 뜻으로, 신나라 왕망에 협조한 흉노의 후손 성한왕 김알지, 수로왕 김탕 등은 모두 이때 한반도로 이주한 보트피플들이다. (☞ '기마민족국가 신라의 유물 3점')
    제주 금성리 출토 화천(7번)과 제주 산지항 출토 화포(8번) / 화천과 화포는 모두 신나라의 화폐로 제주도에도 신·후한 교체기의 보트 피플이 상륙했다는 증거이다. (☞ '제주 삼성혈의 비밀') / 9번은 인천 운복동 출토 오수전

     

    위에서 잠깐 언급했지만 고구려의 화폐는 전해지는 실물이 없고 화폐를 제작했다는 기록이나 구전도 없다. 물론 화폐가 발견될 가능성이 높은 고분이 죄다 털린 터라(고구려의 고분은 그야말로 벽화만 남은 셈이다) 실물 화폐를 기대하기도 어렵지만 사서를 기초하면 애초부터 오수전이 주력 통화로 사용됐고 쌀이나 귀금속 같은 현물 화폐가 부수적으로 쓰였을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자면 평원왕의 딸 평강공주는 궁중에서 가지고 나온 패물을 팔아 집과 밭을 마련하고 온달의 말을 샀을 뿐 돈을 사용했다는 기록은 없다.(☜ <삼국사기>)

     

    ~ 실제적으로 고구려와 통교한 나라들은 모두 오수전을 사용했으니 한나라는 물론이요 위나라와 오나라도 오수전을 썼고, 선비족의 나라 북위, 후연 등도 모두 오수전을 썼다. 사정이 이러한데 고구려만 특별히 자신 나라 고유의 돈을 제작해 사용했을 이유가 없어 보인다.

     

    우리나라에서의 출토 현황을 보면 북한의 경우 평양 정백동과과 황해도 은율·황주 등지에서 오수전이 출토되었으나 분포 범위와 양은 제한적이다. 오수전은 오히려 남한에서 다양하게 출토되었던 바, 백제 풍납토성(1점)을 비롯한 전국 10개 지역에서 1,100점 가량이 출토됐는데, 그 중 980점은 여수 거문도에서 발견되었다. 이 역시 ·후한 교체기에 보트피플이 짊어지고 온 돈으로 여겨진다.

     

     

    풍납토성 출토 오수전 / 2006년 풍납동 경당지구에서 발견된 한대(漢代) 오수전
    북한 출토 오수전(국립중앙박물관) / 황해북도 황주군 흑교면에서 발견된 전한 후기 오수전(천상횡문 오수전)이다.
    여수 거문도 출토 오수전 / 1977년 삼산면 거문리 주민이 난파된 오래된 목선 부재와 함께 발견됐다. 이후 광주시립박물관에 보관되다가 1980년 국립광주박물관 개관과 함께 옮겨졌는데 처음 신고된 980점 중 336점만 남아 있다. 나머지는 유출되었거나 분실된 것으로 여겨진다. 부식이 심한 편이며 크게 3종으로 구분된다.(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자료)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된 거문도 출토 오수전

     

    공주 무녕왕릉에서도 매지석(買地錫) 위에서 90여 점이 발견됐는데, 아래 사진처럼 정연하게 발견되어졌음에도 90여 점이라고 설명되는 게 수상쩍다. 문화재 발굴위원 및 기자, 공무원, 구경꾼 주민이 복작대는 졸속 발굴의 와중에 어떤 넘이 한두 개 슬쩍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그해 여름 , 기적적으로 발견된 무녕왕릉 / 무덤 입구 매지석 위에 놓인 엽전 꾸러미가 보인다. 통념적인 저승 길 노잣돈 개념보다는 지신(地神)에게 무덤 빌린 값을 치른 것으로 이해함이 옳을 듯하다.
    오수전 출 토 당시 모 습(국립공주박물관 사진)
    무녕왕릉 출토 오수전 / 양나라 무제 4년(523) 때 주조된 철전(鐵錢)으로 밝혀졌다. 중국 양나라와의 교류를 증명하는 결정적인 유물이다.
    무녕왕릉 그때 사진 / 부숴진 관짝 등이 입구까지 밀려나와 있다. 장마 때의 빗물이 고이고 빠지기를 반복한 탓이다. 당시의 기억이 지금도 삼삼하다.

    댓글

아하스페르츠의 단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