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화문 광장에서 맞아죽은 조선 마지막 영의정 김홍집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2025. 4. 5. 23:56
김홍집은 조선의 마지막 영의정이자 구한말 4차에 걸쳐 내각을 이끌었던 총리 대신으로 역사 교과서에 등장한다. 김홍집의 자(字)는 경능(敬能), 호(號)는 도원(道園), 초명(初名)은 굉집(宏集)으로 1882년 미국과 수교할 때 부사(副使)로써 인천에 파견됐던 김굉집이 바로 그다. 본관은 경주, 계림군의 16세손으로 나의 직계 선조이기도 하다. 아울러 내가 역사를 공부하며 만난 조선의 역대 관료 중에서 가장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한 인물이다. 그 경위는 아래와 같다. . 김홍집은 1842년 서울 안국방 경운동에서 개성 유수를 지냈던 김영작의 아들로 태어났다. 김영작은 인원왕후(숙종의 계비)의 아버지 경은부원군 김주신의 5대손으로, 당대 개화파의 선구자였던 박규수와 친분이 주목된다. 여러 번 말했지만 박..
-
조(祖)와 종(宗), 세조의 경우 & 오늘의 헌법재판소 앞 풍경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2025. 4. 2. 22:06
조선왕조 역대 임금 27명의 묘호(廟號)는 조(祖)와 종(宗)으로 분류된다. 즉 태조,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의 일곱 명은 조(祖)이고 나머지 스무 명은 종(宗)이다. 이와 같은 구분에 대한 정의를 일찍이 국가유산청 산하 국립문화유산연구원에서 내린 바 있는데, 내용은 아래와 같다. 나라를 세웠거나 변란에서 백성을 구한 굵직한 업적이 있는 왕에 조(祖)를 붙입니다. 앞선 왕의 치적을 이어 덕으로 나라를 다스리며 문물을 왕성하게 한 왕은 대개 종(宗)으로 부릅니다. 「예기」의 「공이 있는 자는 조가 되고, 덕이 있는 자는 종이 된다」는 데 따른 것입니다. 조선의 27 왕 가운데 태조,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등 7명만 조자를 썼습니다. 죽어서 왕으로 대접받지 못한..
-
타임머신 열차를 타고 가는 둔지미 과거로의 여행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5. 3. 31. 22:56
어릴 적 보았던 '은하철도 999'라는 만화영화를 자주 인용한다. 일본 만화가 마츠모토 레이지의 SF 만화영화 속 운송수단이었던 은하철도 999는 안드로메다 성운의 어느 별로 가기 위해 우주 공간을 달린다. 그 열차의 탑승객인 호시노 테츠로(철이)와 신비의 여인 메텔이 중도에 정거장과 같은 여러 별에 기착하며 별의별 상황에 처하고 또 극복해가는 과정이 그려진 스토리는 어린이들이 보기에는 꽤 무거운 주제였음에도 폭발적 인기를 누렸다. 그래서였는지 시청자층의 연령도 어린이에 국한되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된다. 신비의 여인 메텔이 안드로메다로 가는 이유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철이의 경우는 분명하니 안드로메다의 어느 별에서 무료로 시술되는 기계인간의 몸이 되어 영생을 찾는 것이 목적이다. 그런데 저 안드..
-
백운거사 이규보의 인생과 요즘의 정치 판사들전설 따라 삼백만리 2025. 3. 28. 23:22
의 저자 이규보(李奎報, 1168~1241)를 한 마디로 평하자면 호탕한 성품의 명문장가이다. 이것은 그가 지은 글로도 증명된다. 이를 테면 그가 죽기 얼마 전에 지었다는 시(詩) 속의 살지 죽을지도 모르는 몸 자잘한 세상살이 따지느니 그저 편안히 살다 가련다生死猶未知 細事安足算 하는 마음 자세나 평소 구름과 물을 사랑했나니 전생에 혹시 승려였는지 모르겠도다 素習愛雲水 前身莫是僧 하는 평소의 언급이 그러하다. 그는 자신의 아호도 백운거사(白雲居士)라고 지었다. 하지만 겉으로만 그러하고 실은 권력에 아첨해 관로(官路)를 열어간 전형적인 해바리기성 관료라는 평도 적지 않은데, 아래의 전설 같은 이야기를 듣자면 그 또한 이해가 가지 않는 바는 아니다. 이규보는 1168년에 지금의 경기도 여주인 황려현..
-
고려말 중국 원정에서 연전연승한 최영 장군과 한 번도 싸우지 않고 돌아온 이성계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2025. 3. 26. 22:05
나는 요동을 수복하지 못한 것은 나라를 위해 다행한 일이라 생각한다. 요동은 중국과 오랑캐가 왕래하는 요충지이다. 여진은 요동을 거치지 않고는 중국에 갈 수 없고, 선비와 거란도 요동을 차지하지 못하면 적을 제어할 수 없고, 몽고 또한 요동을 거치지 않고는 여진과 통할 수가 없다. 진실로 성실하고 온순하여 무력을 숭상하지 않은 나라로써 요동을 차지하고 있게 되면 그 해로움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관해 논한 위의 글은 내가 쓴 것이 아니라 다산 정약용이 쓴 글을 옮긴 것이다. 지금도 가끔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하지 않았다면....'이나, '이성계의 요동 정벌로 우리가 남만주의 주인이 되었더라면....'이라는 가정이 회자되는데, 정약용이 살았던 시대에도 그런 아쉬움이 있던지..
-
용산에 남은 개성 현화사와 연복사의 흔적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5. 3. 24. 21:37
고려 수도 개경의 현화사(玄化寺)와 연복사(演福寺)는 개성을 대표하는 사찰로 불려도 손색이 없을 큰 절이었다. 이중 현화사는 고려 현종(재위 1009∼1031)이 돌아가신 부모 명복을 빌기 위해 경기도 개성군 영북면 영추산 남쪽에 지은 사찰이다. 앞서 '합스부르크 왕가와 고려왕조의 근친혼'에도 말했지만, 현종은 부모의 근친상간 + 불륜으로 태어난 자식인 데다 어미 아비가 모두 일찍 죽는 바람에 보호막이 없이 성장했다. 그럼에도 그 부모를 그리워해 즉위 후 대찰 현화사를 완공했다. 현종은 성장과정도 기구했으니, 당시의 실권자인 천추태후(981~997)는 불륜상대 김치양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을 제위에 올리고자 왕손인 현종을 북한산 신혈사(지금의 진관사)로 보낸 후 여러 번 암살을 시도했다. 현종은 다행히..
-
백범 김구에 관한 전설과 진실 - 의정부 회룡사와 서울 경교장전설 따라 삼백만리 2025. 3. 22. 23:11
의정부(議政府)는 조선 개국 초에 설치한 행정부의 최고 기관으로 1400년 이방원이 기존의 도평의사사를 의정부로 개편하면서 성립되었다. 목적은 왕권의 강화로서, 1405년(태종 5) 의정부 구성원을 삼정승을 비롯한 고위관료로 확정했는데, 오늘날의 국무회의로 보아도 무리가 없다. 경기 북부의 의정부시는 위 의정부와 한자까지 같은데, 이성계가 함흥에서 돌아와 호원동 전좌(殿坐) 마을에 머물 때 의정부 대신들이 찾아와 국정을 논의했던 까닭에 붙여진 이름이다. 전좌마을의 이름 역시 그래서 생겨났다. 호원동 회룡사 입구 사거리 부근에 있는 '태조·태종의 상봉지' 표석에는 그와 같은 설명이 담겨 있다. 이미 여러 차례 말한 대로 태조 이성계는 5자(子) 이방원이 이른바 왕자의 난을 일으켜 제 형·동생들..
-
소금장수 · 새우젓장수가 살았던 마포 염리동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5. 3. 20. 22:01
서울 마포구 염리동에 있는 고등학교를 다녔다. 그때 염리동이 소금동네(鹽里)라는 의미임을 알았지만 소금과 관계된 무엇은 전혀 없었다. 그래서 어떤 이는 이 동네에 과거 염창(鹽倉, 소금창고)이 있어 유래된 말이라 했고, 또 어떤 이는 염전(鹽廛, 소금시장)이 있어 그렇게 불려졌다고 했는데, 지금 생각해 보니 후자가 좀 더 정확한 말인 듯하다. 소금창고에서 유래된 보다 확실한 지명은 강서구 염창동일 것이다. 조선시대 서해에서 올라온 소금이 한강을 통해 도성으로 이동되는 루트에 만들어진 임시 관영소금창고가 그곳에 있었고, 그래서 유래된 곳이 염창동이다. 사상(私商)들은 따로 지금의 동막역 부근에 창고를 지어 서해에서 올라온 소금을 저장했는데, 그 소금들이 염리동 염전에서 거래됐다. 근자에 설치된 염전머릿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