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산굼부리의 수수께끼
    탐라의 재발견 2021. 8. 12. 00:25

     

    산굼부리을 방문한 사람들은 적어도 두 가지에 놀라게 된다. 첫 번째는 6000원이라는 입장료에 놀라고(성산 일출봉 입장료 5000원을 능가하는 제주도 관광지 중 최고가 입장료이다) 두 번째는 목적지인 산굼부리 분화구까지의 거리가 의외로 짧다는 데 놀란다.(천천히 걸어도 10분 정도?) 오름이라고 하니 최소한의 등산을 생각하지만 관람객들이 경험하는 건 그저 약간의 오르막이다. 그리고 목적지에 이른 사람들은 대부분 실망의 얼굴이 된다.

     

    '겨우 이걸 보려고 6천원 씩이나....?' 하는 표정이다. 초입에서부터 엄청난 억새의 율동을 경험하게 되는 가을철 방문자들은 이런 실망감을 갖지 못할는지 모르나 요즘 같은 한여름의 방문자들은 어김없이 그런 마음일 텐데, 거기에 화장실도 여느 관광지 같지 않아 재차 언짢아진다.(비싼 입장료와 관계있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참고로 말하자면 산굼부리 전체는 국유림이 아닌 사유지이며, 다른 관광지와 달리 제주도민도 입장료를 내야 한다) 

     

     

    산굼부리 입구
    산굼부리 오르는 길 
    오르는 길에서 본 구름 속의 한라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굼부리는 방문할만한 가치가 있는 곳이니, 우리나라 유일의 마르(Maar) 형 분화구를 보았다는 것만으로도 흡족하다.(주변의 오름 풍경은 덤이다) 마르형 분화구는 화산 폭발 시 용암을 분출하지 않고 폭발에 의하여 구멍만 넓게, 혹은 깊숙이 패이는 형태를 말하는데 까닭에 주변에 용암분출이나 화산재 퇴적으로 인한 봉우리가 형성되지 않는다.

     

     

    마르형 분화구의 형성 과정

     

    앞서 '원당오름의 재발견'에서 말한 서귀포 하논 분지도 마르형 분화구에 속하지만 화산 폭발지역이 넓었던 반면 폭발력은 상대적으로 약해 화구가 형성되지 못한 경우이다. 그래서 하논 분지에서는 오름의 느낌을 갖지 못하게 되나 산굼부리에서는 완벽한 분화구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산굼부리에 마련된 안내문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제주도에는 360여 개의 기생화산이 분포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기생화산은 분화구를 갖지 않거나 분화구를 갖고 있더라도 대접을 엎어놓은 형태 또는 말굽형의 형태를 하고 있다. 그러나 산굼부리 분화구는 용암이나 화산재의 분출 없이 폭발이 일어나 그 구멍만이 남게 되는 마르형 분화구로서 한국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형태다. 

     

    산굼부리 분화구 안에서 자라는 식물들은 같은 제주도의 한라산에 있는 식물들과도 격리된 상태에서 오랫동안 살아왔으므로 식물 분포 연구에서 중요한 자료가 됨과 동시에 진기한 형태의 분화구는 지질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므로 천연기념물 제263호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산굼부리는 제주시 조전읍 교래리 해발 400m에 위치하며, 표고 438m, 외부 주위 둘레 2,067m, 내부 주위 둘레 756m, 깊이 132m이고 넓이가 약 30만 평방미터에 달해 한라산 정상의 백록담보다도 크고 깊다. 이곳에는 이른 봄철에 피는 복수초를 비롯하여 변산바람꽃, 고란초, 눈괴불주머니, 별깨냉이, 각시족도리 등 약 450여 종의 식물이 자란다..... 

     

     

    분화구 앞 산굼부리 표석. 산굼부리는 '산이 구멍난 부리'라는 뜻이라고. 
    산굼부리 안내문
    산굼부리 분화구 
    산굼부리의 파노라마 사진 
    한국지질자원연구소의 산굼부리 사진 
    멕시코 피니케트 사막의 마르형 분화구  
    아이슬랜드 아스카자 화산의 마르형 분화구
    러시아 캄차가 반도의 마르형 분화구 화산
    독일의 유명한 마르형 분화구 풀베르마르 호수
    미국 네바다 사막의 마르형 분화구

     

    그런데 몇 년 전부터 산굼부리가 마르형 분화구가 아니라는 소문이 힘을 얻기 시작했다. 그 발단은 2015년 제주시가 외부 용역을 주어 조사시킨 결과를 발표한 '제주 산굼부리 분화구 종합 학술조사 및 보존.활용방안 연구 용역' 1차 중간보고회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총 1억원이 투입된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책임연구원 윤성효 교수)의 1년간의 조사 결과는 산굼부리가 그간 알려진 마르형 분화구가 아닐뿐더러 화성쇄설물 등의 폭발 흔적도 찾을 수 없었다는 것이었다.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산굼부리가 피트(Pit)형 분화구, 즉 폭발이 없이 단지 지하 마그마 공급 부족에 따라 형성된 함몰분화구일 가능성이 크며, 그간 마르형 분화구로 알려졌던 것은 잘못 조사된 성인(成因)이 오랫동안 고쳐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이후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문들이 뒤를 이었던 바, 이제 산굼부리가 마르형이라는 소리는 그저 산굼부리 안내문에만 남아 있는 형국이 되었다. 

     

    하지만 이 같은 주장도 쉽게 와닿지는 않는다. 피트형 분화구의 형성 과정은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설명대로 대규모 용암분출을 일으킨 마그마의 공급이 갑자기 줄거나, 혹은 다른 곳으로 이동해 생긴 빈 공간에 지반이 수직으로 내려앉음으로써 이루어진다. 그 대표적인 예가 지금도 활발한 화산활동을 보이고 있는 하와이 킬라우에 화산과 에디오피아의 에르타 알레 화산으로 그 화산들의 마그마 분출은 아래와 같은 분화구를 형성한다. 이름하여 피트형 분화구다.

     

     

    최근 분화한 하와이 킬라우에 화산의 피트형 분화구 형성 과정
    2002년 분화한 에디오피아 에르타 알레 화산의 피트형 분화구 형성 과정

     

    그렇지만 산굼부리에서는 어쩐지 위와 같은 용암 활동이 있었을 것 같지 않다. 만일 그렇다면 산굼부리에서도 거문오름이 만들어낸 이른바 거문오름계라 불리는 용암길과 대규모 동굴군이 존재해야 될 터인데, 산굼부리는 그와 같은 지형이 없이 그저 힘 좋은 형제들에게 둘러싸여진 얌전한 동생의 모습으로만 존재하는 까닭이다. 

     

     

    산굼부리 주변의 형제 오름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엉뚱한 상상을 해본다. 혹시 그것이 아주 오래전에 낙하한 커다란 운석에 의해 만들어진 운석공은 아닐까 하는..... 물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겠지만, 산굼부리 분화구 모양이 미국 애리조나의 배린저 운석공과도 흡사하며, 최근에는 멕시코 칙술루브 크레이터(☞ '딥 임팩트. 지구 최후의 날')와 같은 거대한 운석 충돌구가 발견되기도 한 마당이기에.

     

     

    2020년 12월 14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센터 연구팀은 경남 합천에 있는 직경 7㎞의 '적중-초계분지'를  5만년 전 생성된 '한반도 최초의 운석충돌구'였다고 밝혔다. 위 사진에서 보듯  합천의 '적중-초계분지'는 그릇처럼 패어있다./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사진
    위성으로 본 '적중-초계분지'. 이곳에 떨어진 운석은 직경 200m 정도로 4㎞에 달하는 구덩이를 만들었을 것이며 충격은 히로시마 원폭의 8만7500배로 서울~부산까지 초토화됐을 것이라고 한다./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곤드와나 리서치’(Gondwana Research)에 발표됐다.
    미국 애리조나 주에 위치한 직경 1,186m, 깊이 210m의 유명한 배린저 크레이터
     오른쪽 끝 전망대의 사람들과 비교해보면 배린저 크레이터의 엄청난 크기가 짐작된다.

     

    댓글

아하스페르츠의 단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