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시라소니 린치사건의 진실(II) - 이성순과 김두한
    전설 따라 삼백만리 2022. 7. 27. 05:05

     

    시라소니가 맨발대장 이영순과 김동회를 꺾었다는 소식에 가장 긴장한 사람은 물론 김두한이었다. 그는 일제강점기 시절 조선의 모든 주먹패 및 일본 야쿠자 세력들까지 제압하고 주먹황제로 등극한 이래 한 번도 그 자리를 위협받은 적이 없었다. 6.25전쟁 후 월남해 명동에 둥지를 틀은 이화룡이나 변두리 동대문 상권을 잠식하며 주먹계의 신흥강자로 떠오른 동대문 상인연합회의 이정재도 아직은 김두한의 발아래 있었다.

     

    그런데 대륙을 평정하였다는 전설의 주먹 시라소니가 출현한 것이었다. 자고이래로 하늘의 태양이 두 개인 적은 없었다. 주먹황제 김두한이 긴장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명동에서 김동회를 꺾은 시라소니는 며칠 후  종로 우미관의 김두한을 찾아 나섰다. 이를 멋모르는 김두한의 부하들이 막아섰다 이내 나자빠졌다. 당대의 주먹들조차 그 이름자 앞에서 추위를 탔다는 문영철과 김무옥이었지만 시라소니의 상대가 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문영철 / 188cm 키를 자랑했던 권투선수 출신의 주먹이다. 한국전쟁 당시 포항전투에서 사망했다.
    김무옥과 김두한 / 왼쪽이 김무옥으로 181cm에 거구였던 유도선수 출신의 주먹이다.
    소년 김두한
    31살 때의 김두한
    우미관의 옛 사진
    영화 <장군의 아들> 세트로 재현된 우미관
    <장군의 아들>의 명대사 / 마루오카: 네가 원한 장소가 여기냐? / 김두한: 그렇다! 우미관은 종로의 심장부이기 때문이다.
    "나 김두한은 조선의 의로운 사무라이로서 그대 마루오카 경부에게 정정당당한 한판 승부를 청하노니 누가 이기든 지든 고소고발은 일체 않기로 합시다!"
    마루오카 경부 실제 사진
    재현된 우미관 / 부천 판타스틱스튜디오
    우미관이 있던 곳
    우미관 터 안내 표석

     

    "님자가 닛뽕이가? 나 시라소니야. 내래 닛뽕이 조선 최고 주먹이라고 기래서 한판 붙으러 왔어. 날래 나가 한판 붙자우."

     

    우미관 극장 사무실에서 김두한을 마주한 시라소니의 첫마디는 이랬다. 시라소니는 김두한을 잇뽕이라 불렀다. 상대를 한 방에 보낸다는 뜻에서 회자되는 별명이었다. 그런데 이때 김두한은 어떻게 반응했을까? 시라소니 소원대로 나가서 한판 붙었을까? 하지만 이 빅매치는 성사되지 않았다. 그 말을 들은 김두한은 껄껄껄 웃더니 이내 의자에서 내려와 무릎을 꿇었다. 그리고 이렇게 말했다.

     

    "제가 졌습니다. 한판 붙으나마나 제가 어찌 시라소니 형님의 상대가 되겠습니까? 앞으로 형님으로 모시겠습니다."

     

    이 놀라운 광경에 시라소니도 잠시 당황하는 듯하더니, 그 역시 껄껄껄 웃으며 말을 받았다.

     

    "아니야. 내가 졌어. 기러면 내래 진 거지. 이거 닛뽕이 내 가오(체면) 세워주누만 기래. 오늘은 이만 가갔어. 술은 다음에 한잔 하자우." 

     

    시라소니는 그때도 장통교를 넘어 명동으로 가 명동파의 주먹 이화용, 정팔 등과 술 한잔을 했다고 한다. 그러나 김두한과의 만남에 관해서는 단 한마디도 입에 담지 않았던 바, 이화용과 정팔도 시라소니가 김두한을 찾아간 사실을 나중에 소문을 들어 알았다고 한다. 시라소니의 알듯 모를듯한 복잡한 속내가 조금은 읽히는 대목이다. 

     

     

    종로 쪽에서 본 장통교
    청계천과 장통교

     

    시라소니는 일단 승자이니 그의 판단에 대해서는 그쯤하고 넘어가자. 다만 궁금한 것은 김두한의 행동이니, 조선의 주먹황제 김두한은 왜 도꼬다이 시라소니에게 무릎을 꿇었을까?

     

    한마디로 정리하자 하면, 김두한은 손해 보는 장사를 하기 싫었던 것 같다. 혹자는 김두한이 이때 시라소니의 명성에 추위를 탔다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승패는 싸워봐야 아는 법이고, 아무리 천하의 시라소니라 해도 주먹황제 김두한이 그랬을 것 같지도 않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시추에이션은 김두한의 빠른 계산 속이라 봐야 옳다.

     

    어찌 보면 이것은 김두한의 현명한 선택이었는지도 모르니, 그로서는 시라소니를 꺾는다 해도 얻을 것이 없었다. 이미 황제에 올랐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만일 진다고 하면, 그는 황제의 자리에서 내려와야 했다. 이것이 당대 주먹세계의 룰이었으니, 그간 황제의 자리를 거쳐간 박두성, 김기환, 고시형(구마적), 엄동옥(신마적) 등도 모두 그렇게 갔다. 게다가 시라소니는 천하제일 주먹의 타이틀만 즐길 뿐 헤게모니에는 관심이 없는 인물로 알려져 있었다.

     

    만일 시라소니가 땅을 뺏으러 온 자라면 당연히 싸워야 했겠지만 그도 아닌 마당에 김두한이 이득 없는 싸움을 피한 것은 당연지사라 할 만한 일이었다.

     

     

    한 체격하던 구마적 고시형의 한창 때 사진
    인터넷에서 구마적이라고 소개돼 있는 이 사진은 구마적 고시형이 아니라 시인 이육사의 조카로 조선일보 기자를 지냈던 이원조(李源朝)이다. 그는 1946년 박헌영과 함께 월북했다.
    몰락한 주먹황제 김기환 / 소매치기 두목질을 하다 체포된 동아일보의 기사이다.
    영화 <장군의 아들>에서 오야붕의 포스를 오지게 뿜뿜했던 종로 김기환
    엄동욱으로 잘못 알려졌던 신마적 엄동옥
    드라마와 현실을 구별 못해 신세 망친 두 사람 / 위는 신마적 역을 한 탤런트 최철호이고 아래는 김무옥 역을 한 이혁재로, 둘 다 룸싸롱 폭행 사건 이후 브라운관에서 퇴출당했다.

     

    이후 시라소니와 김두한은 대면 대면하지만 불편하지 않은 관계를 유지하며 지냈다. 하지만 동대문파의 이정재와는 관계가 썩 좋지 못했다. 두 사람은 피난 시절 부산에서 만난 바 있는 사이였다. 당시 부산에 피난 와 서면시장에서 좌판 장사를 하던 이정재는 부산 토종 깡패들이 걷어가던 자릿세를 거부했다. 너무 과도하다 여겼기 때문이었다. 그러니 대결은 수순일 수밖에 없었는데, 아무리 이천 씨름꾼으로 명성을 날리던 이정재였지만 다대일(多對一)의 싸움이니 밀릴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결국 다구리(집단폭행)를 타려는 순간, 정말로 스파이더맨과 같은 의협(義俠)이 나타나 신기(神技)에 가까운 솜씨로 깡패들을 죄다 KO시켰다. 당시 부산 피난판은 그야말로 무법천지나 다를 바 없었으니 이정재에게는 이 초면 협객이 생명의 은인이 아닐 수 없었다. (당시는 정말로 시신에 돌을 달아 바닷물에 던지면 깨끗이 뒷마무리가 되던 시절이었다) 그리고 이정재는 서울에 올라와서도 이 협객의 도움을 얻었으니, 협객의 지인으로부터 돈을 빌려 동대문에서 장사를 시작할 수 있었다. 이 협객이 누구인지, 그리고 이정재가 이 협객의 은혜에 얼마나 고마워했는지는 따로 설명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이정재는 협객의 존재가 부담스러워지기 시작했다. 아니, 솔직히 말하자면 귀찮은 존재가 되었다. 이정재는 장사가 번창하자 동대문 상인연합회라는 자경단(自警團)을 조직하고 추대의 형식을 빌어 스스로 회장에 올랐다. 이후 이정재는 지역 관리권을 미끼로 자신이 직접 주먹들을 섭외해 데려오기도 하고, 또  제 발로 찾아오는 주먹들을 식객(食客)처럼 두어 세(勢)를 불렸다. 그리하여 마침내 동대문시장 전체를 나와바리로 두게 되었다. 협객인 줄 알았던 은인이 삥을 뜯어가기 시작한 것도 바로 그 무렵부터이니, 말하자면 '내 도움으로 이만큼 올라왔으니 이제 신세를 갚아라'는 식이었다.

     

    문제는 이렇게 뜯어가는 횟수와 액수가 점점 많아졌다는 데 있었다. 그러자 처음에는 흔쾌히 돈봉투를 챙겨주던 이정재도 차츰 짜증이 나기 시작했다. 시라소니가 그 많은 돈을 가져다 어디에 쓰는지는 알 수 없었지만,

     

    ㅡ 소문으로는 이북 출신(특히 평안도)들로 구성된 우익청년연합인 서북청년회 대부(代父)로서 그들의 활동비를 보조해주었다고 했고 (이것이 가장 일반적인 설)

     

    ㅡ 전쟁 부상자 모임인 대한 상이군인 연합회가 운영하던 서울 금호동 정양원(正養院, 상이군인 재활센터) 관계자 말에 의하면, 시라소니가 상이군인들과 그 자녀들에게 정기적으로 후원금과 장학금을 지급했다고 하며,   

     

    ㅡ 아들 이의현 목사에 증언에 따르면, 6.25전쟁 당시 켈로부대(북파 공작대)를 창설한 미군이 찾아와 교관을 맡아달라고 해 시라소니는 조국을 위하는 마음에서 요구를 받아들였다고 한다. 그런데 켈로부대는 휴전선언으로 쓸모가 없어졌고, 이에 대부분 대원들의 생계는 막막해져 버렸던 바, 이화룡과 이정재에게 돈을 받아 그들을 후원했다고 한다.

     

     

    아들 이의현 목사가 내놓은 사진으로, 오른쪽 키 큰 두 사람은 미군 장교이고 왼쪽 앞줄의 키 큰 사람이 시라소니 이성순이라고 하는데, 사진이 너무 작아 식별이 어렵다

     

    그 내역이야 둘째 치고, 맡긴 돈 찾아가는 식의 처사에는 분개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게다가 1953년 여름에 들어서 시라소니가 요구한 동대문 시장 내의 점포와 돈의 액수는 너무 과하다 싶은 것이었다.

     

    "이번에 우리 애들이 자립하려 하는데, 덩대(이정재) 자네가 좀 도와줘야갔어."

    "예. 형님 하시는 일인데 도울 수 있다면 도와야죠."

    "기래? 기러면 말야. 일단 동대문시장에 목 좋은 점포 두 개 하고....."

     

    이쯤에서 주위에 앉거나 서 있던 중간보스들의 눈에 쌍심지가 켜지며 일제히 시라소니를 향했다. 하지만  시라소니는 아무렇지 않게 말을 이었다. 

     

    "한 50만 환쯤 준비해둬. 할 수 있갔디?" 

     

    50만 환은 지금의 5억이었다. 그 엄청난 액수에 배포 큰 이정재도 놀라 입을 쩍 벌린 채 다물지를 못했다. 나머지 중간보스들도 마찬가지로 놀라고 화난 얼굴이었지만, 시라소니는 낯빛 하나 안 바꾼 채 조만간 다시 들리겠다는 말을 남기고 사무실 문을 나갔다. 다만 그전에 문 쪽에 서 있던 이석재에게 한 마디를 던졌다.

     

    "아새끼래 뭔 불만 있니? 쌍판 좀 펴라우."

     

    이석재는 이정재의 종질로서 동대문사단의 재정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이었으므로 가장 화가 났을 법도 했다. 더불어 동대문사단 내에서 조열승, 김동진과 함께 넘버 2를 다투던 실력파 주먹에, 독종으로도 소문난 자였던 바, 당장이라도 대판 싸움이 벌어질 듯했다. 하지만 이석재는 아무 말도 못 하고 그저 몸을 비켜줘야 했다. 과거 시라소니가 동대문 상인연합회를 처음 찾아왔을 때, 시라소니의 건방진 태도를 문제 삼아 한판 붙은 적이 있기 때문이었다. 물론 이석재의 완패로, 그는 당시 시라소니의 박치기 한 방에 쌍코피까지 터져 패배+흉한 몰골로 체면을 크게 구긴 바 있었다.

     

    "형님! 이거 정말 안 되겠습니다. 시라소니고 뭐고 깨버립시다!"

     

    시라소니가  문을 나서기 무섭게 이석재가 이정재 앞으로 다가오며 분을 토했다. 

     

    이석재(李錫載, 1918~1993)
    드라마 <야인시대>에서 이석재의 역할을 십이분 소화해냈던 손호균

     

    * 3편으로 이어짐

    댓글

아하스페르츠의 단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