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왕국 '왜'
-
신라와 왜 연합군이 맞붙은 비사벌 대전잃어버린 왕국 '왜' 2022. 12. 25. 17:08
6세기 중엽, 신라는 비사벌(比斯伐)을 침공했다. 비사벌은 우리나라 문화재청에서는 경상남도 창녕이라 설명하고 있으며, 〈삼국지〉 위지 동이전 변진조에는 불사국(不斯國), 에 따르면 비자발(比自㶱)국이 있던 곳이다. 의 설명은 보다 구체적이니, 왜(倭)는 신공황후 49년(AD 369년) 비자발국을 비롯한 임나 7국을 정벌하여 식민지로 삼았다. 망라하자면 비자발, 남가라(南加羅), 녹국(㖨國), 안라(安羅), 다라(多羅), 탁순(卓淳), 가라(加羅)의 7국이었다. 이 일대는 우리고대사에서 흔히 가야라 불리고 있으며, 그중 비화가야(非火加耶)라고 불리기도 하는(〈삼국유사〉 5가야조 /〈삼국사기〉 지리지 화왕군조) 비자발국의 흔적이 창녕 고분군으로 남아 있다. 6세기 비사벌을 침공할 때의 신라는 과거 왜의..
-
신라인 강수(强首)도 왜국 사람이었을까?잃어버린 왕국 '왜' 2022. 8. 1. 23:53
강수(强首)는 (제46권 열전 제6)에 등장하는 인물로 흔히 설총, 최치원과 함께 신라 3대 문장가로 불린다. 강수는 국사교과서에도 그렇게 실려 있는데, 이름이 본명 우두(牛頭)가 아닌 강수로 소개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하 ) 강수는 중원경(中原京, 충북 충주) 사량부 사람으로 아버지는 석체나마(昔諦奈麻)이다. 그 어머니가 꿈에 뿔이 있는 사람을 보고 임신하여 낳았는데 아이가 정말로 머리 뒤쪽에 툭 불거진 뼈가 있었다. 석체가 아이를 안고 당시의 현자라고 알려진 이에게 가서 물었다. (※황복사비편 등에 따르면 '나마'는 관직명이다) “이 아이의 두골이 이렇게 생겼는데, 어떻습니까? (좋습니까, 나쁩니까?)" 현자가 답했다. "내가 듣기로 신농씨(神農氏)는 소의 머리 모양이었고, 고요(皐陶)는 입..
-
남원 가야 무덤은 한반도 왜인(倭人)의 것잃어버린 왕국 '왜' 2022. 5. 21. 02:10
영산강 유역에서 발견되는 전방후원분을 비롯한 왜식(倭式) 무덤은 우리나라 고대사학의 가장 큰 골칫거리이다. 그 골칫거리는 1991년 3월, 5세기말의 것으로 추정되는 전남 함평 신덕고분이 발굴되며 일층 심각해졌다. 이 무덤은 일차 도굴이 되었음에도 도굴꾼들이 흘리고 간, 혹은 미처 수습하지 못한 유물들이 출토돼 세상의 이목을 집중시켰는데, 당시 문화부장관이던 이어령 선생이 직접 검찰총장에게 전화를 걸어 도굴꾼의 검거를 재촉한 희대의 사건이기도 하다. * 도굴범들은 그로부터 2년 6개월 뒤 검거되었으나 상태가 좋은 대부분의 유물은 이미 처분된 후였는데, 그 유물이 65점이 넘는다고 알려졌다. 아래는 2021년 광주국립박물관이 공개한 수습된 주요 유물들이다. (이 무덤에 대해서는 작년에 일차로 언급한 적이 ..
-
산청에서 발견된 동진한 왜(倭)의 흔적잃어버린 왕국 '왜' 2022. 4. 10. 16:51
작년(2021년) 12월 전남 나주 봉황면 고속도로 건설 현장(광주-강진 간 고속도로)에서 전방후원분이 발견되었다. 관계 당국의 설명에 따르면 고분은 이미 도굴된 상태이고 발굴조사를 하지 않아 정확한 축조 시기와 양식은 알 수 없다. 이상이 무덤에 관한 전부인데, 이후 사진을 몇 장 입수했지만 이렇다 할만한 것은 없었다. (문화재청에서 추가 조사를 한 뒤 매장문화재분과위원회를 열어 보존 방안을 확정할 예정이라 한다) 영산강 유역의 고대 무덤들, 특히 전방후원분이 왜(倭)의 무덤임을 주장하고 있는 나로서는 특이할게 없는 발견이다. 이것이 전방후원분이고 영산강 평야 주변의 구릉에 조성된 것으로 보아 하류 유역의 같은 세력이 축조한 무덤으로 여겨지는 것인데, 다만 영산강의 왜가 북쪽으로 세력을 넓힌 증거라는 ..
-
진경대사탑비가 말해주는 임나일본부잃어버린 왕국 '왜' 2021. 10. 5. 23:58
국립중앙박물관 수장고에는 신라시대에 임나(任那)를 명기한 완형의 석비 하나가 존재한다. 바로 진경대사탑비로 통일신라 후기의 승려 심희(審希, 856-923)를 기려 세운 비석이다. 이 탑비는 원래 경남 창원의 봉림사터에 진경대사탑과 일습으로 있었으나 일제가 1919년 전국 폐사지의 탑과 탑비 등을 경복궁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이전돼 와 함께 전시되다 보전처리 중이고,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진경대사탑만 전시돼 있다. 봉림사는 앞서 '태안사 적인선사탑과 신라 구산선문'에서 언급한 대로 신라 하대 선종의 도량인 구산선문 중의 하나이다. 심희는 이 절에서 주석하며 선풍(禪風)을 떨쳤다. 진경대사 심희는 68세 되는 923년 입적했으며 탑비는 이듬해인 934년(경명왕 8)에 왕이 직접 글을 써 세웠다...
-
'왜인' 호공(匏公)에 대한 놀라운 해석잃어버린 왕국 '왜' 2021. 10. 2. 05:37
앞서도 언급한 이란 책을 두 번째 숙독하고 있는 중이다. 내가 그 책에 천착함은 생각하는 바가 같기 때문이다. 생각하는 바가 같다 함은 기본적으로 고대의 왜인(倭人)은 한반도에 살던 사람이라는 믿음이다. 즉 와 광개토대왕비에 등장하는 왜는 일본열도의 야마토왜가 아니라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던 세력이라는 사실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는 얘기다. 그런데 이렇게 믿는 사람이 많지 않다. 따라서 나는 이 책이 반가울 수밖에 없다. 물론 각론까지야 같은 수 없겠으나 그래도 무릎을 칠 정도의 명쾌한 해석이 이어진다. 그러면서 나는 왜 이런 생각을 못했을까 자탄(?)을 하기도 하는데, 다른 사람들도 이와 같은 사실들을 깨달았으면 하는 마음에 그 내용들을 구구절절히 소개하고 싶지만, 책이 신간인 데다 스포일러의 문제도 있어..
-
'임나'와 '왜'ㅡ 왜 '왜'를 두려워하는가?잃어버린 왕국 '왜' 2021. 9. 26. 23:54
임나일본부설(고대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지배했다는 설)에 이용될 우려로 인해 30년간 공개되지 않았던 삼국시대 ‘신덕 1호분’ 발굴조사 결과가 이달 말 발표된다. 1991년 3월 도굴 흔적이 발견되면서 첫 조사가 시작된 전남 함평 ‘신덕 1호분’. 이 무덤은 일본의 고대 무덤에서 흔히 발견되는 열쇠구멍 모양의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앞은 네모지고 뒤는 둥근 봉분을 가진 무덤)'이다. 이 모양 때문에 임나일본부설 근거로 이용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지만, 조사 결과 영산강 일대 지배세력이 만든 무덤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동아일보가 미리 입수한 발굴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고분 출토 유물에서는 백제와 왜(倭)의 문화가 혼재된 양상이 확인됐다. 조사 결과를 분석한 한일 고고학자들은 20, 30대 남..
-
또 다시 발견된 한반도 왜왕의 무덤잃어버린 왕국 '왜' 2021. 4. 22. 22:02
올해 벽두에 전남 해남에서 고대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 1기가 발굴됐다. 전방후원분은 문자 그대로 앞쪽은 네모지고 뒤쪽은 원형인 무덤 형태를 말하는데, 까닭에 장고형 고분이라 하기도 하고 열쇠구멍형 고분이라 불리기도 한다.(아래 광주 월계동 고분 참조) 이번에 발견된 전방후원분은 그간 발견된 전남지역 13여 기의 전방후원분 중 가장 큰 규모(봉분 길이 82m 높이 9m)로 발굴의 성과 역시 가장 기대되는 무덤이었다. 오랫 동안의 수수께끼였던 그 무덤은 오래전 이미 도굴되어 부장품을 기대할 수는 없었지만 이제껏 단 한 차례도 제대로 된 학술 조사가 없어 많은 그간 사람들이 무덤이 열리기를 고대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그 무덤이 관계 기관에 의해 발굴되었다.(2020년 10월~2021년 2월) 하지만 발굴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