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느부갓네살 왕과의 수싸움에서 밀린 여호와성서와 UFO 2019. 4. 1. 17:43
성서에 바벨론으로 표현된 바빌로니아 제국은 때로는 신(新) 바빌로니아로 표현된다. 같은 바빌로니아인이 천 년 전에 세운 고(古) 바빌로니아와 구별하기 위함이다. 그 두 바빌로니아 제국은 성서에서 가끔은 갈데아(칼데아: 그들이 발흥했던 지역명)로 표기되기도 하는 까닭에 신구(新舊) 제국이 헛갈리는 경우가 있지만, 사실 그 두 나라를 구별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대부분의 역사서에서의 기록은 고 바빌로니아는 함무라비 왕에, 신 바빌로니아는 느부갓네살 왕에 집중돼 있는 까닭이니 그 두 사람만 알고 있으면 신구 제국의 식별은 금방 가능하다.
함무라비 왕(BC 1728-1686)의 비
루브르 박물관의 주요 소장품인 2.25m의 비석에는 총 282조의 법률이 쐐기문자로 기록돼 있다.
법문(法文)은 무려 4000년 전의 것으로 지금껏 그 형태가 완벽하다.
흔히 오른쪽 인물을 함무라비 왕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왼쪽에 공손히 서 있는 사람이 함무라비다. 오른쪽에 앉은 태양신 샤마슈에게 법문을 내려받고 있음이다.
확실히 세보지는 않았지만 성서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이방의 왕은 아마도 신 바빌로니아 제국의 느부갓네살(Nebuchadnezzar II, 재위 BC605-562) 왕일 것이다. 인명 표기는 각 자료마다 달라 성서에는 느부갓네살로, 신(新) 사서에는 네부카드네자르나 네부캇네자르로, 구 사서에는 네부카드넷자르로 표기되는데, 본 블로그에서는 성서의 표기를 좇아 느부갓네살로 통일하려 한다. 그의 이름이 성서에 가장 많이 등장함은 유대인에게 가장 많은 괴로움을 준 이방의 왕이기 때문일 터, 따라서 성서에서의 신 바빌로니아 제국에의 기록은 타 제국에 비해 월등히 많은 분량을 차지한다. 그 정점은 당연히 유다 왕국의 멸망이 될 터인데, 이 유다 왕국을 멸망시킨 사람이 바로 느부갓네살 왕이며, 이 당시의 선지자가 바로 예레미야다.
바빌로니아 연대기가 새겨진 점토판
1887년 바빌론에서 출토되어 1956년에 해독된 이 점토판에는 기원전 605년 느부갓네살이 이집트 군대를 격파한 갈그미스 전투와 예루살렘의 함락에 관한 기록이 소상히 실려 있다. 점토판의 기록에 따르자면 예루살렘이 함락된 날은 기원전 597년 3월 6일이다.(영국 박물관 소장)
라기스, 아세가의 위치와 라기스 오스트라카
라기스는 느부갓네살이 화공(火攻)으로 함락시킨 유다 왕국의 요새 도시로, 1935년 이 요새 폐허에서 편지지 대용으로 쓰이던 총 21 개의 토기조각(오스트라카)이 발견됐다. 위의 오스트라카는 야전장교인 호샤이야가 라기스 사령관 야오스에게 보낸 것으로, 다른 요새인 아세가로부터 봉화가 도달하지 않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스라엘의 마지막 요새 도시 라기스
↖이 서한의 내용은 예레미야 34장 7절에 기록된 '바벨론 왕의 군대가 예루살렘과 유다의 남은 모든 성읍을 쳤으니 유다의 견고한 성읍 중 남은 것은 라기스와 아세가 뿐'이라는 내용과 연관돼 더욱 주목을 받았는데, 위의 급보가 라기스 사령관 야오스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아세가가 함락된 후로 보인다. 추정하거니와 라기스 성은 이 편지를 도착한 뒤 얼마 안 돼 느부갓네살의 공격을 받았을 것이다. 보다시피 위 오스트라카는 열에 의해 글씨가 많이 지워져 있다.(이스라엘 박물관 소장)
예레미야가 흔히 눈물의 선지자로 불려지는 이유는 바로 그 때문일 터, 그는 유다 왕국의 멸망을 막기 위해 여호와의 명을 좇아 분투했지만 결국 예루살렘의 함락과 350년 왕업의 끝을 지켜봐야만 했다. 앞서 '선지자 예레미야와 UFO에 얽힌 잡담 II'에서도 밝혔거니와, 그는 선지자가 되기를 원치 않았지만 외계인 여호와가 UFO의 비행을 실제 목격시켜 가며 억지로 선지자의 역할을 맏김에 어쩔 수 없이 신의 대리인이 된 사람이었다. 그런데 이때 여호와는 그에게 안위를 약속했고, 또 주변 제국들에의 멸망을 예언하였던 바, 그 내용은 성서에 분명하다.너는 그들 때문에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와 함께 하여 너를 구원하리라. 나 여호와의 말이니라 하시고 여호와께서 그의 손을 내밀어 내 입에 대시며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보라. 내가 내 말을 네 입에 두었노라. 보라. 내가 오늘 너를 여러 나라와 여러 왕국 위에 세워 네가 그것들을 뽑고 파괴하며 파멸하고 넘어뜨리며 건설하고 심게 하였느니라 하시니라.(예레미야 1:8-10)
위 호언이 포함된 예레미야서 1장을 보면 외계인들은 분명 유다 왕국의 멸망을 막기 위해 날아온 듯하다. 주변에 초강대국들이 발호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자신들 후손의 마지막 국가인(또 다른 국가 이스라엘은 이미 앗시리아에게 멸망당했으므로) 유다 왕국의 위기를 좌시할 수는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이에 선지자가 된 예레미야는 그들 외계인의 명을 따라 동분서주했다. 그러나 그 30년후 유다 왕국은 결국 망하고 말았다.
나는 앞서도 그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었다. 성서적으로는 전지전능한 하나님이 왜 그 조그만 땅덩이 하나 구하지 못했는가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여호와에 대한 충분한 변론도 겻들였다. 유다 왕 요시야가 므깃도에서 이집트 왕 느고와 맞짱을 뜬 것은 예레미야를 통해 전달된 작전 코드를 잘못 해석한 때문이요, 여호와가 예레미야를 통해 전달한 작전 지시서를 받아들이지 않고, 오히려 자르고 불태운 여호야김 왕의 꼴통짓으로 결국은 바빌로니아 왕 느부갓네살의 공격을 불러왔노라고. 그리고 유다의 마지막 왕 시드기야 역시 마찬가지였노라고.
므깃도 요새의 위치와 전경
구약성서가 헬라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유명한 아마겟돈이 된 므깃도 요새다. 가나안 시절부터 존재했던 이 천혜의 요새는 여호수아도 포기했을 만큼의 난공불락의 성채로서(아마도 다윗 왕 때 점령된 것으로 보인다) 유다 왕 요시야는 이집트 군을 이끌고 북상하는 느고 왕을 맞아 이곳에서 일전을 벌이지만 패해 목숨을 잃는다.(BC 609년/역대하 35:21-24)↘
므깃도 요새의 미니어처
↖이집트 왕 느고는 앗시리아가 바빌로니아에 붕괴되면 이집트 역시 위험해질 것이라는 순망치한의 생각으로 앗시리아 왕 앗수르발리트 2세와 공동전선을 펴기 위해 북상한 것인데, 이 계획에 요시아가 쓸데없이 끼어든 셈이었다. 이로 인해 유다는 이집트로부터 내정간섭을 받게 되었고, 앗시리아·이집트 동맹군으로써 바빌로니아의 막강화력을 막아보려는 여호와의 계획도 차질을 빚게 되었다.므깃도 유적 보호 펜스
그에 앞서, 유다왕 아하지야가 예언자 예후가 이끄는 북왕국의 혁명에 연루됐다 화살을 맞고 숨진 곳도 이곳이다.(열왕기하 9:27) 나아가 므깃도는 요한계시록(16:16)에 예수와 사탄의 최후의 전쟁이 예견돼 있는 곳이지만 전체면적 10만㎡(3만 평)에도 미치지 못하는 협소한 장소이다.
갈그미스(카르케미시)의 위치와 전황도.
이곳 갈그미스까지 친출한 이집트 왕 느고는 앗시리아를 도와 일시적으로 바빌로니아의 진격을 저지한다. 느고는 근접한 립나 성에 군대를 주둔시키며 역전까지 노려보지만 곧 느부갓네살의 대규모 반격에 직면하게 된다.↘
갈그미스 요새의 전경
↖느부갓네살은 이 싸움에서 대승을 거두는데,(BC 605년/예레미아 46:2-12) 이후 바빌론으로 돌아가 아버지 나보폴라사르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다. 앞에 보이는 강이 유프라테스로 성서에는 이 강물에 많은 이집트 군이 빠져죽었다고 기록돼 있다.
공격당하는 예루살렘
이미 대세가 기울었음에도 유다 왕 여호야김은 이집트가 도와줄 것을 믿고 바빌로니아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킨다. 이에 열이 받은 느부갓네살은 예루살렘을 공격, 성전의 보물들을 노략질하고 수많은 귀족들을 바빌론으로 끌고 간다. 이것이 바빌론 1차 포수로, 다니엘이 끌려간 것도 바로 이때다.(BC 605년/열왕기하 24:2, 다니엘 1:1-4) ↘
20세기 복원된 예루살렘 성
↖ 여호야김은 전란 중 부하에게 피살당하고, 이어 여호야긴이 왕에 오르지만, 그 역시 느부갓네살의 2차 공격을 받아 어머니와 아내, 그리고 천 여 명의 귀족들과 함께 바빌론으로 끌려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