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미다스 왕의 공수래공수거
    전설 따라 삼백만리 2019. 9. 4. 23:57


    신의 축복으로 만지는 모든 것이 금이 됐다는 미다스 왕의 일화는 정말로 슬프다. 소원을 이루었지만 그 기쁨을 누린 시간은 너무도 짧았기에..... 미다스의 기쁨은 반나절도 못 가 슬픔으로 변했으니 우선은 아무 것도 먹을 수 없었고,(다른 사람의 손을 빌려 먹을 수는 있었다) 그가 안은 사랑스러운 딸마저 황금으로 변했기 때문이었다. 지금도 돈 잘 버는 사람을 미다스의 손(Midas touch)에 비유하지만 과연 옳은 비유인지는 모르겠다.(과거 마이더스라는 영어식 발음으로 불린 그의 이름은 지금은 희랍어인 미다스를 되찾았다)


     

     

























          

             미다스 손 마크 퀸(Marc Quinn)이 제작한

             수퍼모델 케이트 모스의 황금 조각상




    지금의 터키에 있던 미디스 왕의 프리기아 왕국은 앞서 '알렉산더 대왕과 티레 전투'에서 설명한 바 있어 편한 대로 그것을 빌려오기로 하겠다.


    페르시아와의 첫 전투인 그라니코스에서 승리를 거둔 알렉산드로스는 순조롭게 내륙으로 진출한 후 카리아(CARIA) 일대의 저항군을 섬멸한 후 다시 프리기아를 점령한다. 이 프리기아의 수도가 고대의 왕 미다스의 전설이 어린 고르디움이었다.(미다스 왕은 디오나소스 신의 도움으로 손에 닿는 모든 것을 황금으로 변하게 만드는 재주를 얻었지만 결국은 사랑하는 제 딸마저 황금으로 변해버렸다) 


    곳 고르디움 성에서 알렉산드로스는 산수유 나무의 껍질로 꼰 밧줄로 단단히 매듭져 묶어놓은 전차를 보게 된다. '누구든 이 밧줄의 매듭을 푸는 자는 세상을 정복하리라'는 전설이 전해지는 그 유명한 전차 밧줄로 '고르디우스의 매듭(The Gordian Knot)'이라 불리는 그것이었다. 이에 관해 대다수가 '이때 알렉산드로스가 매듭을 단칼에 끊어버렸다'고 알고 있고, 그에 관한 그림도 모두 아래와 같은 식이다. 그러면서 '어려운 일일수록 발상의 전환과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는 교훈으로써 쓰인다. 조금 다르게는 알렉산드로스의 급한 성격을 말해주는 일화로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알렉산드로스의 친구이자 부하 장수인 아리스토불루스의 말은 다르니, '알렉산드로스는 전차의 멍에를 붙들어맨 이음쇠에서 못 하나를 뽑아 버린 뒤에 그 멍에를 밑에서 잡아당겨 쉽사리 풀 수 있었다'고 말한다. 플루타르쿠스는 자신의 책에 이 두 가지 사례를 모두 적어놓았는데, 어느 것이 옳은 지는 알 수 없다.





    아나톨리아 고원 프리기아 밸리에 있는 '미다스 왕의 무덤'이라 전해지는 파사드 형의 암굴

     

    프리기아 밸리 '미다스 왕의 기념비'

    19세기 말 영국의 고고학자 윌리엄 렘지(William M. Ramsay)는 이 기괴한 인공 구조물을 미다스 왕과 연관지었으나 실제적인 관계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다스 왕은 자신의 소원을 후회해 팍톨로스 강물에 몸을 씻은 뒤 마법에서 빠져나올 수 있었지만, 음악의 신 아폴론의 저주를 받아 이번에는 귀가 당나귀 귀처럼 길게 늘어지게 된다. 아폴론의 팬플룻 연주보다 목신(牧神) 판(Pan)의 연주를 더 칭찬한 때문이었다. 화가 난 아폴론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너는 귀가 좀 커질 필요가 있겠다."

     

    20세기 들어 미국 펜실베니아 대학 고인류학 팀(꽤 유명한 팀이다)이 이 귀 큰 왕의 무덤을 찾아나섰다. 그들은  아나톨리아 야시휘유크(Yassihoyuk)를 청동기 시대의 프리기아 고르디움 성으로 추정했는데, 그들은 그곳에 산재한 수십 기의 무덤 중에서 지름 300m, 높이 47m의 거대 무덤을 BC 718년 아나톨리아고원 일대를 평정한 미다스 왕의 무덤으로 보았다.



    팬플룻을 든 목신(목축의 신) 판


    프리기아 왕국의 최대 영토


    미다스 왕의 진짜 무덤



    무덤 방까지의 통로


    무덤 방 입구

    더 이상 들어가지 못한다. 통나무는 2,300년 무덤 제작 당시의 것이다.



    1957년 펜실베니아 대학 고인류학 팀이 무덤을 파헤치고 무담 가운데 있는 방으로 들어서는 순간, 풀썩이는 먼지가 오래된 냄새와 함께 그들을 덮쳤다. 2300년 간 밀폐돼 있던 무덤 방이 바깥 공기와 접촉되며 순식간에 무너져내린 것이었다. 천만다행히도 미다스의 유골은 부식을 면했지만 그 순간 그가 입고 있던 옷은 먼지가 되어 사라져버렸다. 모든 것이 황금이 되기를 원했던 미다스는 결국 옷 한 벌도 건지지 못했던 것이다. 유골의 분석 결과 나이는 60세 정도였고, 160cm의 키에 보통 체격이었는데, 귀는 다른 사람과 비슷하거나 조금 큰 정도였다고 한다.



    발굴된 껴묻거리


    아나톨리아 박물관의 재현품


    아나톨리아 박물관 미다스 왕 특별 전시실


    미다스 왕의 해골



    전설에 따르면 미다스 왕은 팍톨로스 강에서 목욕재계한 이후로는 정신 차리고 잘 살았다고 한다.(실제로 그의 무덤에서는 금으로 된 껴묻거리가 단 한 점도 출토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미다스 왕의 탐욕은 오랫동안 세인들의 손가락질을 받았다. 왕까지 된 사람이 그런 과한 욕심을 부릴 필요가 있었겠느냐는 것이다. 그 말은 정말 옳다. 어차피 부자나 가난한 사람이나 네 끼 이상은 무용(無用)한 터, 세끼를 먹을 수 있는 정도면 만족하고 살 필요가 있다. 정말로 돈이 없어서 못 먹거나, 있어도 먹지 못하는 사람을 생각하면 부와 명예는 그야말로 미다스의 손이다.



    케이트 모스가 석가모니처럼 고행을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단지 마른 몸이 필요할 뿐.


    혹간 부와 명예를 초개(草芥)처럼 여기는 사람도 있다.


    궁예의 아버지 경문왕의 당나귀 귀와 미다스 왕의 상관관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댓글

아하스페르츠의 단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