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한 폐렴 찜쪄먹을 역대급 전염병(III) - 콜레라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2020. 2. 4. 00:31
콜레라를 얘기하면 '옛날 옛적', 'long long ago'로 시작되는 옛날 얘기를 떠올리거나 혹은 추억의 예방접종이 생각날 수도 있을 것이다. 콜레라는 그만큼 우리에게 먼 일이 되었으니 몇 해 전 콜레라가 유행한다는 보도가 있었을 때 주위의 반응은 놀랍다기보다는 신기하다는 것이었다. 한마디로, "뭐, 콜레라? 그거 옛날에 멸종되지 않았어?" 이런 식이었다. 그런데 그 콜레라가 유행했던 때는 2016년 8, 9월로 그리 멀지 않은 옛날이다. 그리고 15년 만의 유행이었다.(어쩌면 콜레라라는 놈은 징그럽게도 잊혀지지 않는 첫사랑과도 같은 놈인지 모른다)
콜레라에 관한 자료가 발생한 1831년 이후의 기록을 봐도 콜레라는 우리와 멀지 않은 곳에 있었다. 1831년부터 1912년까지 콜레라는 적어도 40회가 발생했으니 평균적으로 2년에 1번꼴로 유행했던 셈이다. '다음백과'에는 콜레라를 '독소형 콜레라균(V. cholerae O 1 또는 V. cholerae O 139) 감염에 의한 급성 설사 질환'이라 정의하고, '감염되면 대개 24시간 이내 발현되어 심한 설사와 구토가 동반되나 복통과 발열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 간단히 치료된다'는 설명을 달았다. 아울러 적절히 치료하면 사망률은 1% 미만이라고 첨언했던 바, 언뜻 감기보다도 가벼운 질병처럼 여겨진다.
웬지 눈에 익숙한 콜레라균
그러고보니 예전 생물 교과서에서 본 거 같음. 아무튼 이쁜 사진을 골랐음.
그런데 정말 그럴까? 나는 병리학자나 세균학자가 아니니 콜레라균의 성격이나 발병 후의 증상 등에 대해서는 타인의 지식에 의존해야 되는데, 지금 내가 보고 있는 책(《전염병의 세계사》 윌리엄 맥닐, 히스토리아문디 04, 이산, 2005)에서의 콜레라는 세상 어떤 악마보다도 무섭다. 그 책과 《조선왕조실록》 〈순조실록〉에 나타난 콜레라의 위력과 전파 과정을 눈에 띄는대로 옮겨 쓰자면 다음과 같다.
혹시....?
콜레라균 감염 환자는 쌀 뜬 물과 같은 설사를 수도꼭지를 틀어놓은 듯 해댄다 함. 그러니 피골이 상접할 수밖에.....
이 질병은 원래 인도 벵골 지방의 오래된 풍토병이었는데, 가끔 인도 내 다른 지역이나 이웃 나라에 번져 전염병으로 맹위를 떨치기도 했다. 콜레라는 물 속에서 오랫동안 독립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병원균 때문에 발병한다. 일단 입을 통해 들어온 콜레라균이 위산에 의해 죽지 않으면 소화기 내에서 급속하게 증식해 설사, 구토, 고열 등 심한 증상을 일으키며 발병한 지 몇 시간만에 목숨을 빼앗을 수도 있다. 콜레라가 순식간에 생명을 앗아간다는 점은 특히 위협적이었다. 이 전염병이 돌면 아무리 건강한 사람도 돌연한 죽음을 피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콜레라의 증상은 아주 끔찍했다. 탈수가 심하게 진행되면 환자는 몇 시간만에 원래의 모습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수척해졌고, 모세혈관이 파열되어 피부색도 검푸르게 변했다. 이런 모습은 죽음을 독특하게 연출하는 효과가 있었다. 마치 저속으로 촬영한 영화처럼 육체가 파괴되는 과정을 생생히 드러내는 그 광경을 목격한 사람들은 피할 수 없는 죽음의 공포를 떠올리며 몸서리쳤다.
통계적으로 보아도 콜레라는 때때로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1831년에 콜레라가 처음 발생했던 카이로에서는 총인구의 13%가량이 목숨을 잃었다. 물론 그것은 예외적인 경우였고, 유럽의 여러 도시에서는 인명피해가 그 정도로 크지 않았다. 그러나 콜레라 같은 치명적인 전염병이 다가오고 있다는 사실이 주는 심리적인 충격은 컸다. 콜레라는 검역조치를 비롯한 모든 인위적인 장벽을 통과할 수 있는 것처럼 보였다.
콜레라는 모든 계층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했지만, 주로 유럽 도시의 하층민을 희생시켰다. 요컨대 콜레라는 그 자체만으로도 두려움의 대상이었을 뿐 아니라 근래에 유럽인이 경험해보지 못한 특이한 질병이었다. 사람들은 광란에 가까운 반응을 보였고 그 사회적 파장은 엄청났다.
이 질병이 처음 유럽인의 관심을 끌게 된 것은 1817년 캘커타의 배후지에서 상당히 심각한 콜레라가 발생했을 때였다. 거기서 콜레라는 인도의 여러 지방으로 퍼져나갔고, 얼마되지 않아 인도 대륙과 인근에 한정되었던 이전의 경계에서 벗어났다. 다시 말해 잘 확립된 경로를 따라 인도 대륙 곳곳에 퍼지던 콜레라의 기존 패턴이 영국의 주도하에 조성된 각종 교역로나 군대의 이동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새로운 패턴과 만나게 된 것이었다. 이런 지역에는 콜레라에 대한 저항력인 관습적인 대응책이 전혀 없었다.
"이렇게 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