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암 강세황의 예술세계와 그가 살았던 이화동미학(美學) 2023. 2. 26. 16:58
단언하거니와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1713~1791)을 떠나서는 조선의 문인화를 말할 수 없다. 아니 한국의 회화사를 통틀어도 강세황은 다섯 손가락 안에 하나로 꼽을 수 있는 인물이다. 물론 내 생각이지만 그는 신라 솔거 이래로 가장 뛰었던 화가였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는 대부분의 유명 화가가 걸었던 긴 무명의 시간을 걸어야 했는데 그 무명의 시간은 대부분 배고픔과 동행한다.
그는 문인화가였으니 선비였음에 틀림없다. 태어난 곳도 한양 양반가로, 그의 아버지 강현(姜鋧)은 1675년(숙종 1) 진사시에서 장원급제를 하고 1680년 정시문과에 입격한 수재였다. 당연히 벼슬살이도 무난했으나 숙종대의 피튀기는 당파 싸움에서 소론 편에 섬으로써 인생이 꼬이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그는 앞서 '동호(東湖)의 정자'에서 말한 소론 정치인 엄경수와 같은 신세가 되었던 바, 결국은 유배의 길을 떠나야 했는데, 곧 그의 형 세윤(世胤)도 같은 길을 가야 했다. 강세황의 나이 나이 스무 살때였다.
이후 강세황은 관료로 입신출세할 생각을 버렸다. 부형(父兄)이 유배를 가고 그 어미마저 병으로 죽었으니 그러한 생각이 들 법도 했다. 문제는 그로 인해 무위도식자가 되었다는 것인데, 이에 생계는 모두 그의 부인이 책임을 져야 했다. 그러나 그의 부인도 강세황의 나이 마흔네 살에 유명을 달리하였고 그에게 남은 것은 네 명의 어린 자식뿐이었다. 이제 그의 희망이라고는 과거 급제밖에 없었다.
천만 다행히도 그는 환갑줄에 이르러 출사할 수 있었다. 1776년 영조의 배려로 64세의 나이에 문과 입격자에 들 수 있었던 것인데, 이후 그가 빈한한 시절에 갈고 닦았던 시문과 그림 실력이 빛을 발하였으니 당시 화단에서 '예원(藝園, 예술가 모임)의 좌장'으로서의 대접을 받았다. 앞서 말했던 <임하필기>에는 강세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공은 영조 병신년(1776년) 노인과(老人科)에 올랐다. 공이 일찍이 부사(副使)로 연경에 갈 때 심양에서 폭설을 만났다. 이때 상사(上使)인 노포 이휘지와 시문을 지어 주고받았고 또 서화(書畫)를 남겼는데, 그 첩(帖)이 일찍이 나의 서가에 있었다. 공은 연경에서 명사들을 널리 사귀었는데, 어떤 이가 공에게 글을 써주기를 "글은 한퇴지(韓退之)와 같고, 글씨는 왕희지(王羲之)와 같고, 그림은 고개지(顧愷之)와 같고, 풍채는 두목지(杜牧之)와 같으니, 광지(光之)는 이 사람들을 겸하였구려(文之退之 筆之羲之 畫之愷之 人之牧之 光之兼之)"라고 했다. 세상 사람들은 이것을 '열 개의 지(之)자평(十之評)'이라고 한다.
<임하필기>의 기록을 보자면 그의 솜씨는 조선에서보다 중국에서 더 대접을 받았던 것 같다. 실제로 청나라 황제 건륭제는 그의 작품을 보고 '미하동상'(米下董上)이라는 평을 내렸다. '미불보다는 아래이나 동기창보다는 낫다'는 평이다. 동기창(1555~1636)은 명대(明代) 최고의 화가이자 서예가로 평가받는 사람이여, 미불(1051~11107)은 송대(宋代)의 화가 겸 서예가로 '미점법'과 '발묵법'을 창안한 사람이기도 하다.
발묵법은 먹물을 번져 퍼지게 만들어 그 농담(濃淡)으로 사물을 표현하는 기법으로서 이 회화법은 이후 동양산수화의 근간을 이루었다. 아울러 점을 찍는 듯한 방법으로 사물을 표현하는 미점법을 창안하기도 하였는데, 비슷한 화법인 '점묘법'을 창안한 프랑스 화가 조르주 쇠라 (1859~1891)보다 800년을 앞섰다. 강세황은 조선에서는 최초로 미접법을 사용한 화가로 알려져있다.
아울러 그는 조선에서는 최초로 서양화법을 도입한 화가이기도 했으니 아래의 <영통동구도(靈通洞口圖)>는 명암법과 원근법을 활용한 그림으로써 자주 인용된다. 과거 국사교과서에 <가는 골>이란 제목으로 수록되기도 한 이 그림은 그때나 지금이나 충격적이다. (※ 다만 그림의 제목을 왜 <가는 골>로 붙였는지는 그때나 지금이나 여전히 모르겠다. 어디로 가는 골짜기라는 뜻인지, 폭이 좁은 골짜기라는 뜻인지....? 현재도 그 제목은 여전히 통용되는데 작명자가 누구인지 새삼 궁금하다)
이 그림은 송도(개성) 영통동 입구를 묘사한 그림으로, 강세황이 개성을 여행하면서 그린 《송도기행첩》 중의 한 점이다. 그는 세상 사람들이 그 새로운 화법을 인식하든 말든 이에 대해서는 일체의 언급을 않은 채 다음과 같은 발문을 붙였다.
영통동 입구에 난립한 암석들은 크기가 집채만 하며, 푸른 이끼들이 뒤덮고 있어 잠시 보기만 해도 어질어질하다. 세속에 전하기를 못 밑바닥에서 용(龍)이 나왔다고 하는데 믿을 만한 것은 못되나 이렇듯 돌들이 둘러싼 멋진 장관은 역시 보기 드믄 것이다.(靈通洞口亂石, 壯偉大如屋子, 蒼蘇覆之, 乍見駭眼. 俗傳龍起於湫底, 未必信. 然然環偉之觀, 亦所稀有)
그래서 나는 혹 개성에 가게 되면 선죽교나 만월대보다도, 박연폭포보다도 이곳 영통동에 가보고 싶다.
<송도전경>이란 그림에서는 원근법을 보다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길 앞쪽에서 뒤로 가면서 좁아지는 것에 원근법을 적용했다. 하지만 소실점(평행한 두 직선이 멀리 가서 한 점에서 만난 것처럼 보이는 점)의 처리가 막연하고 관찰자의 촛점 또한 불명확해 보인다. 이는 원근법을 강조하기 위한 고육책으로도 보이며 원근투시법의 초심자에게 드러나는 실수로도 여겨진다. 이와 같은 실수는 지오토 디 본도네의 경우에도 나타난다.
아울러 그는 서양화법인 음영법도 능숙하게 구사하였으니 아래 《송도기행첩》 중의 <태종대>는 먹의 농담(濃淡)을 이용해 바위의 입체감을 표현했다. 농암(農巖) 김창협(1651-1708)이 송도기행문에 "시냇물이 빙 둘러 흐르고 대(臺)의 옆에 입석(立石)이 있으며, 그 꼭대기에 노송이 구불구불 기이하게 걸려 있다"고 한 태종대의 풍경을 음영법을 이용해 역동적으로 그려낸 것이었다.
그러면서도 디테일한 묘사를 놓치지 않아서 아래 <박연폭포>를 보면 그 사실성에 놀랄 수밖에 없다. 강세황의 묘사력에 보다 감탄하게 되는 작품은 단연 <자화상>으로서, 그는 한국화가로는 보기 드물게 많은 자화상을 남겼다. (혹 렘브란트의 영향을 받은 것일까?) 세인들은 그의 자화상에서 강한 자의식을 엿볼 수 있다고 하는데, 그가 70세 때 그렸다고 하는 아래 <자화상>에 붙인 글에서는 자신만의 세계를 득의로써 드러냈다. 그 내용이 무척 멋지다.
"머리엔 오사모를 쓰고, 몸에는 야복을 걸쳤으니, 마음은 산림에 있되 이름은 조정에 있음을 보이도다. 마음속에 책 수천 권을 숨기고, 붓으로 오악을 흔들지만, 사람들이 어찌 알겠는가? 스스로 즐길 뿐이다."
하지만 결코 혼자 즐기지 않고 재능의 일부를 사회에 기부하였으니 당대의 화단을 물심양면 지원하였다. 그리하여 단원 김홍도를 비롯한 많은 화원들을 키워냈는데, 특히 김홍도는 강세황이 빈한했던 안산 시절에 발굴해 키워낸 화가로서 지금 안산시 단원구의 명칭이나 상록구의 김홍도 박물관은 안산 출신의 김홍도를 기리기 위함이다.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의 아래 <송하맹호도(松下猛虎圖)>는 강세황이 김홍도와 함께 그린 그림으로 알려져 있다.
18세기 조선, 이른바 영·정조의 문예부흥기에 미술에서는 강세황 있었다. 그는 위에서 말한 개인적 어려움 속에서도 <십죽재화보(十竹齋畵譜)>, <고씨화보(顧氏畵譜)>,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 및 <당시화보(唐詩畵譜)>와 같은 중국 화보류를 통해 홀로 그림 공부를 이어갔으며, 또한 중국을 통해 들어오기 시작한 서양의 화법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개성 넘치는 그만의 독특한 예술 세계를 창출하였다. 제목은 잘 모르겠으나 <표암화첩> 중의 아래 무 그림 앞에는 그저 입만 쩍 벌어질 뿐 따로 사족을 붙일 재간이 없다.
서울 남소문동(지금의 장충동)에서 태어난 그는 빈한해지며 염천교 근방으로 이사왔다. 그리고 더 어려워지자 처가가 있는 경기도 안산으로 옮겨 가 30년을 살았는데, 이후 출사해서는 다시 서울로 올라와 낙산 아래 건덕방 양지 바른 곳에 터를 잡고 집을 지어 살았다. 그는 한성판윤 시절, 이웃하였던 인평대군의 집 석양루(夕陽樓) 부근 개울가 바위에 '紅泉翠壁'(홍천취벽)'이라는 각자를 새겼다고 하는데, 강세황의 집도, 당대 최고의 저택이었다는 (<동국여지비고> 제택조) 석양루도, 홍천취벽의 글씨도 남아 있지 않다.
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의 후손들이 살던 저택은 이후 장생전(長生殿, 궁중 장례 용품을 제작하던 관아) 등의 관아 건물로 전용됐고, 총독부 정무총감의 별장을 거쳐 이화장이 건립되었다. 해방 후에는 이승만의 거처로 쓰였고 역사적 건물이 되었다.(사적 제497호) <한국문화대백과사전>에 따르면 강세황의 암각문은 1960년대 초까지도 이화장 후원에 존재했으나 이승만 망명 후 일대가 주택가로 개발되는 과정에서 땅에 묻혔다고 한다.'미학(美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스타프 클림트의 '리저 양의 초상' (3) 2024.04.25 나혜석의 수원 그림 (2) 2023.06.26 망우리의 이중섭 (0) 2022.09.10 서귀포와 통영의 바다, 그리고 이중섭 (0) 2022.08.29 로버트 인디애나가 노래한 사랑과 희망 (0) 2022.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