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역사 비운의 현장을 가다
-
조선의 마지막 충신 충정공 민영환과 러일전쟁 뒷얘기우리역사 비운의 현장을 가다 2021. 11. 2. 01:17
충정공(忠正公) 민영환(閔泳煥, 1861- 1905)은 충무공(忠武公) 이순신과 함께 시호가 가장 친숙한 사람일지 모른다. 대한제국 신하로서의 충정이 그 정도로 깊다는 얘기다. 그들의 죽음은 삶만큼 강렬했으니 전쟁 후 상황이 어찌 흐를지 경험으로 체득했던 이순신은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에서의 뱃전에서 스스로 몸을 노출해 왜적의 탄환을 맞았다. 이순신이 걱정한 예는 충의공(忠毅公) 정문부에게 나타났다. 함경도에 진군한 가토 기요마사의 왜군과 여섯 번을 싸워 모두 승리한 정문부였으나 전후 그는 역모죄의 누명을 쓰고 참살당했다.(☞ '불패(不敗)의 가등청정을 박살 낸 정문부 장군') 충정공 민영환은 1905년 11월 일본과의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칼로 제 목을 찔러 자결했다. 우리나라 5천 년 역사에서 그와 같..
-
철도방해죄로 처형된 조선인 스페셜리스트우리역사 비운의 현장을 가다 2021. 10. 13. 05:24
오래전부터 궁금했던 사진 1장이 있다. 일본군에 의해 처형되는 3명의 조선인 사진으로, 지금까지 찾은 이 처형 장면이 담긴 일련의 사진이 총 9장이나 된다. 그리고 그중에는 일제가 엽서로 만들어서 배포한 것도 있는데, (아래) 그것으로써 처형당한 사람들의 죄목과 연도를 알 수 있다. 그들의 지은 죄는 '철도선로 방해죄'이고 연도는 1904년이다. 그래서 더욱 의아한 그 사진들을 우선 살펴보자. 1904년이면 조선이 나라를 빼앗기기 6년 전의 일이니 대한제국의 주권이 엄연할 때이다. 아울러 대한제국의 실질적 자치권이 상실된 1905년의 을사늑약에도 1년 앞선다. 그런데도 총살형이라니....? 그들의 죄목인 '철도선로 방해죄'는 뭔가? 그것이 과연 사형에 이를만한 죄인가? 그들은 재판의 과정이라도 거쳤는가?..
-
공군 여중사의 자살 - 루크레티아의 죽음에 로마가 분노했듯 분노하자우리역사 비운의 현장을 가다 2021. 6. 5. 08:48
공군으로 복무하던 여군 중사가 혼인신고 당일, 죽음의 영상을 남기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그로 이해 지금 세상이 떠들썩하다. 사건을 정리하면 대강 이렇다. ◆ 지난 3월 어느 날, 위의 여중사는 직속상관인 장모 중사로부터 회식 참석의 명령을 받음. 여중사는 좀 께름칙했으나 직속상관인 관계로 어쩔 수 없이 참석함.(군대를 다녀온 사람은 다 안다. 직속상관이 얼마나 무서운 존재인지....) 게다가 그 새끼는 평소에도 성격이 지랄같은 놈이었던지라..... ◆ 그런데 막상 가보니 단체회식이 아닌 그 장모 중사가 개인적으로 아는 사람의 개업식이었음. 즉 장모 중사는 다른 흑심으로 그를 불러낸 것인데, 아니나 다를까, 돌아오는 길에 여중사는 차 뒷좌석에서 몹쓸 짓을 당함.(운전병도 있었는데 그는 아무 것도 못 보..
-
윤동주의 '참회록'과 영휘원우리역사 비운의 현장을 가다 2021. 2. 17. 02:07
참회록(懺悔錄) 윤동주 파란 녹이 낀 구리 거울 속에 내 얼굴이 남아 있는 것은 어느 왕조(王朝)의 유물(遺物)이기에 이다지도 욕될까. 나는 나의 참회(懺悔)의 글을 한 줄에 줄이자. ― 만 이십사 년 일 개월을 무슨 기쁨을 바라 살아 왔던가. 내일이나 모레나 그 어느 즐거운 날에 나는 또 한 줄의 참회록(懺悔錄)을 써야 한다. ― 그때 그 젊은 나이에 왜 그런 부끄런 고백을 했던가. 밤이면 밤마다 나의 거울을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 보자. 그러면 어느 운석(隕石) 밑으로 홀로 걸어가는 슬픈 사람의 뒷모양이 거울 속에 나타나 온다. 윤동주의 시는 굳이 해석이 필요 없다. 어렵던 쉽든 느낌 그대로 받아들이면 된다. 이것은 사실 시 감상의 본질이기도 할 텐데, 윤동주의 시는 어떤 것이든 나름..
-
명성황후 시해사건 전말(V)-최후의 진실우리역사 비운의 현장을 가다 2020. 6. 28. 06:35
명성황후 시해사건에 대한 기록이 꽤 많이 남아 있음에도 우리가 그날의 일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하는 까닭은 그 기록들의 내용이 전부 상이하기 때문이다. 그중 내가 믿을 만하다고 판단하여 사건의 재구성에 인용한 글은 영국 영사 힐리어와 일본 영사 우치다의 보고서이고, 여기에 러시아 공사 베베르의 보고서를 보완했다. 물론 이들 가운데 현장에서 사건을 지켜본 목격자는 없다. 하지만 각국의 외교관이 본국에 올린 사건 보고서인 만큼 허투루 작성되지 않았으리라는 것이 내 생각이다. 아니 이것은 각자의 공명심과 영웅심리에 의해 작성된 현장 낭인들의 과장된 구술보다 훨씬 정확할 수 있으니 이를테면 곤녕합에 난입했던 다카하시 겐지(高橋源次, 앞서 말한 데라자키 다이키치와 동일 인물임)라는 낭인*은 자신의 회고담에서 본인..
-
명성황후 시해사건 전말(IV)-미야모토와 우범선의 최후우리역사 비운의 현장을 가다 2020. 6. 26. 06:49
건청궁에 난입해 명성황후를 가장 먼저 찌른 놈이, 말하자면 명성황후를 죽인 놈이 미야모토 다케다로(宮本竹太郞)라는 사실을 밝힌 사람은 일본 중앙대학 겸임강사이던 이종각이다. 그는 2009년에 라는 책을 쓰다 과연 명성황후를 누가 죽였을까 하는 의문을 갖게 됐고 이에 를 비롯한 여러 관련자료를 뒤진 끝에 범인을 찾아내게 되었다. 뜻밖에도 놈은 사건 1년 9개월 뒤인 1897년(메이지 30년) 일본에 대한 저항운동이 격렬했던 타이완으로 파견되었고, 같은 해 12월 20일 타이완 의병들과 싸우다 전사했다. 그런데 그 놈은 왜 다른 놈과 달리 혼자 사지(死地)에 가게 되었을까? 혹시 죽음으로 내몰기 위해 일부러 보내졌던 것은 아닐까? 이종각은 저명한 일본근대사 연구자인 나카츠카 교수의 의견을 들어 그러할 충분한..
-
명성황후 시해사건 전말(III) - 살해범들은 어찌됐나?우리역사 비운의 현장을 가다 2020. 6. 21. 00:00
명성황후가 살해된 후에도 고종은 일본에 아무런 항의도 못하고 그저 벙어리 냉가슴만 앓아야 했으니 만고(萬古)의 비극도 이런 비극이 없을 듯했다. 게다가 명성황후는 일본공사 미우라의 강력한 요구에 의해 백성의 고혈을 짜냈다는 누명을 쓰고 폐서인돼야 했던 바, 고종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이 표출할 길 없는 분노는 친일 내각의 김홍집 총리대신을 향하였으니,(김홍집, 유길준, 서광범 등은 폐서인에 찬성함) 고종은 아관파천에 성공하자 김홍집 체포령을 내려 결국 광화문 육조거리에서 친러 군인과 보부상들에게 맞아 죽게 만든다) 못난 가장(家長)은 밖에서 당한 일에 대한 분풀이를 제 가정에 한다. 고종 역시 마찬가지였으니 아관파천으로 일본의 위협에서 자유로워지자 3번이나 위기의 내각을 이끌었던 총리대신 김홍집을 분풀..
-
안중근 의사 서거 110주년을 맞아 다시 본 북두칠성우리역사 비운의 현장을 가다 2020. 4. 4. 20:13
지난 3월 26일은 안중근 의사가 서거한지 110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이 무렵이면 안 의사의 유언을 받들지 못한 것이 국민의 한 사람으로 늘 가슴 아프다. 그 유언을 상기하자면 아래와 같다.(잠시 사정을 말하자면, 8.15 후 남북이 나뉘었고 그 남북 모두 해방 후의 복잡한 정국을 수습하느라 유해 송환에 차일피일하였다. 그러다 뒤늦게 남북합동의 대책팀이 꾸려져 안 의사의 유해 송환을 기도했지만 그때는 이미 늦어도 한참을 늦었으니 여순감옥 사형수 매장지였던 곳은 상전벽해되어 아파트 단지로 변해버렸다) - 안중근 의사 유언 - 내가 죽은 뒤에 나의 뼈를 하얼빈 공원 곁에 묻어 두었다가 우리 국권이 회복되거든 고국으로 반장해다오. 내가 천국에 가서도 또한 마땅히 우리나라의 회복을 위해 힘쓸 것이다. 너희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