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
창경궁에 남은 사도세자의 흔적들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0. 3. 17. 21:12
임진왜란 때 깡그리 불탄 창경궁은 광해군 8년(1616년 11월) 우여곡절 끝에 재건된다. 하지만 그 7년 후인 인조반정 때 일부 전각이 불타고 인조 2년(1624년 2월) 이괄의 난이 일어나며 정문인 홍화문(弘化門)과 정전인 명정전(明政殿)만 남기고 다시 불타버린다. 이후 창경궁은 다시 재건되나 영조대왕 시절에 다시 대다수의 전각이 불타게 되는데, 이번에 방화범으로 몰린 사람은 공교롭게도 부왕(父王) 영조에게 늘 구박만 받던 세자 이선(李愃, 사도세자, 1735~1762)이었다. 영조 32년(1756) 5월 1일, 창덕궁에 살던 영조는 뭐 트집잡을 게 없나 하여 창경궁 낙선당에 살던 아들 이선을 방문한다. 공교롭게도 일찍 잠자리에 들었던 이선은 내시의 전갈에 놀라 일어나 다급히 아비를 맞으러 문을..
-
서울대병원 근방에 남은 사도세자의 흔적들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0. 3. 11. 22:30
사도세자의 비극에 관해서는 너무도 많은 글이 포스팅되어 있어 내가 따로 부언할 거리가 없을 정도이다. 다만 암 완치 기념으로(6개월 후의 검사가 남아 있긴 하지만) 그간 서울대병원 일원에서 눈에 익은 사도세자의 흔적들에 대해 사진과 함께 몇 자 글을 올리려 한다. 가장 먼저 말할 장소는 병원 입구의 함춘원지(含春苑址)이다. 함춘원은 본래 조선시대 한성부 동부 숭교방에 위치한 창경궁의 정원이었다. 하지만 그 자리는 인조대왕 재위시절 사복시(司僕寺)[각주:1]의 마장(馬場)으로 쓰여지며 잠식됐고, 구한말 때 대한의원(大韓醫院)이 세워지며 뒷마당으로 쓰였다.(지금 조금 남아 있는 함춘원지는 사적 237호로 지정됐다) 함춘원지 경모궁 중문(내삼문)과 영희전 기단이 남아 있다. ~ 대한의원은 1899년 설립된 ..
-
갑신정변의 뒤안길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0. 2. 27. 23:57
갑신정변(甲申政變)을 이야기하자면 먼저 임오군란(壬午軍亂)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는 바, 축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구한말 신식군대인 별기군에 차별당한 구식군대(훈련도감 등)의 군인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민왕후와 민씨척족정권(閔氏戚族政權)를 몰아내고 흥선대원군을 옹립한 사건이 1882년 임오년(고종 19) 6월 9일(음력)에 일어난 임오군란이다. 하지만 이들 구식군대들은 고종이 불러들인 청나라 군사들에 의해 척살되고 흥선대원군은 중국 천진(天津)으로 압송되니 쿠데타는 33일 천하로 막을 내리고, 고종은 비로소 두 다리를 뻗고 자게 되었다. 하지만 세상 일에, 그것도 국가 간의 일에 공짜가 어디 있으랴? 고종은 곧 청나라가 내민 가혹한 청구서를 받아들어야 했다. 청구서에는 조선의 국왕과 청군을 파견시킨 북양대..
-
대한제국 최후의 날(III) - 마지막 어전회의와 통감부 합병 비화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19. 12. 30. 00:07
1910년(융희 4년) 8월 22일, 대한제국의 마지막 어전회의가 창덕궁 흥복헌에서 열렸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은 일제에 의해서 미리 작성된 아래의 조칙에 어보(御寶)를 눌렀다. 국가의 주권을 일본제국의 황제에게 넘길 것이니 이에 대한 제반 문제를 총리대신 이완용과 통감 데라우치가 알아서 처리하라는 한일 합병조약에 대한 전권 위임장으로서, 그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짐은 동양의 평화를 공고히 하기 위하여 한일 양국의 친밀한 관계로서 서로 합하여 일가가 됨은 서로 만세의 행복을 도모하는 소위로 생각하고 이에 대한제국의 통치를 통틀어 짐이 매우 신뢰하는 대일본제국의 황제 폐하에게 양도할 것을 결정했다. 이에 우리 황실의 영구 안녕과 민생 복리를 보장하기 위해 내각총리대신 이완용을 전권위원에 임명하여..
-
의병전쟁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19. 12. 29. 00:00
는 일제의 의병 탄압 기록물이다. 1913년 일본 조선주차군사령부에 의해 발행된 이 책에는 대한제국의 군대가 해산된 1907년 8월부터 1911년 6월까지 항일의병의 발생 원인, 교전 상황, 탄압 작전이 망라돼 담겨 있다. 이 책의 기록에 따르면 위 기간 동안 일본군과 의병과의 전투는 2,852회를 넘었고 의병의 숫자는 141,815명에 달했다. 우리는 흔히 이 의병들의 궐기를 '한말의 의병운동'이라 부르나 이쯤 되면 '의병전쟁'이라 부르는 게 맞을 듯하다. 아울러 이 책의 기록에 따르면 조선의 의병은 일제에게 충분히 공포스러웠고 위협적이었으며, 또한 결사적이었다. 에 의거한 아래의 표를 보면 의병의 본격적인 활동은 1907년 군대해산이 체결되며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마도 첫 총성은 앞서 말..
-
대한제국 최후의 날(II) - 남대문 전투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19. 12. 20. 00:16
앞서 '대한제국 최후의 날 I'에서 언급했듯 1905년 덕수궁 중명전에서 체결된 을사조약으로 조선은 외교권을 잃어버린다. 이후 통감부가 설치되어 실질적으로 통감부의 지배를 받았던 바, 조선의 국권은 1905년 망실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어 1907년(융희 원년) 7월에는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이 체결되어 통감부의 통치가 합법화되었고, 이어 8월 1일에는 대한제국의 군대가 해산되었다. 나는 1907년 8월 1일을 실제적으로 대한제국의 호흡기가 뽑힌 날이라고 보고 있다. 그 전날, 주한일본군 사령관 하세가와는 총리대신 이완용, 군부대신 이병무와 함께 창덕궁의 순종 황제를 겁박해 군대해산조칙서의 사인을 받아냈다. 1907년 8월 1일, 대한제국의 군인들은 그 조칙에 의거, 무기를 무기고에 반납한 후 훈..
-
오욕의 땅 이태원 - 임오군란과 경리단 길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19. 12. 8. 23:40
이태원 경리단 길이 거짓말처럼 떴다 거짓말처럼 사라진 느낌이다. 경리단 길이 유래된 경리단은 육군의 회계, 계약, 급여 등 재정업무를 총괄하던 기관인데, 지금은 국군재정관리단에 흡수되며 도로명으로서 그 이름만 남게 되었다. 경리(經理)란 말은 회사의 재정 회계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나 직책명으로 지금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나 엄격히 말하자면 게리(けいり)에서 비롯된 왜색 짙은 단어다. 경리단은 상무(尙武)라는 이름으로 바뀌기 전, 직업 운동선수들이 군복무를 대신하는 팀의 이름으도 쓰였으며, 까닭에 과거 경리단 야구팀은 언제나 실업리그를 휩쓸었다. 선수층이 두꺼우니 당연히 그럴 수밖에 없었다. 경리단이 있던 그 길은 언제부턴가 맛집과 멋집이 어우러진 명소로 다시 태어났다. 미군부대와 외국 대사관의 영향으로 이..
-
오욕의 땅 이태원 - 임진왜란과 잉태원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19. 12. 5. 23:59
임진왜란의 전범 가토 기요마사가 스쳐가기 전까지 이태원(梨泰院)은 그저 조용한 역원(驛院) 마을이었다. 배나무 꽃 아름다운 역참 동네 이태원은 오얏나무(자두나무) 이(李)의 이태원(李泰院)으로도 불렸던 바, 하얀 배꽃과 자두꽃이 어울려 흐드러진 풍치 있는 마을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 아름다운 풍경을 는 이렇게 묘사했다. 이태원은 목멱산 남쪽에 있는데, 그곳에는 맑은 물이 산으로부터 쏟아져 내려오고, 운종사 동쪽에는 아름드리 소나무가 크고 깊은 골짜기에 가득하니 성안의 아녀자들이 피륙의 빨래와 표백을 위해 모여들었다. 이러한즉 본래부터 자연발생적인 마을이 있었겠으되, 본격적으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한 건 계유정난으로 집권한 세조가 영남지방의 민심을 살피기 위해 만든 역원 이태원으로부터였다. 원(院)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