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
남소문도 있었다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2. 1. 22. 23:58
위 사진은 1904년 발간된 《한국건축조사보고》에 실린 혜화문의 모습이다. 남소문에 관한 타이틀을 달고 이 사진을 소개하는 이유는 과거 버티고개(장충동에서 한남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에 있던 남소문이 이러한 모습이었지 않겠나 생각되기 때문이다. 지금은 혜화문이 있던 혜화동 고개에서나 남소문이 있던 버티고개에서나 이와 같은 비탈은 찾을 수 없다. 앞서도 설명했거니와 혜화동 고개는 1928년 일제가 레벨을 낮추기 위해 7m 정도를 밀어내 혜화문과 함께 고개마루가 사라졌다. 버티고개는 이 보다 앞선 1913년 일제가 도로를 개설하며 5m 정도를 깎아내는 토목공사를 벌였다. 이때 일대의 성곽이 헐리며 남소문도 사라졌는데, 혜화문과 달리 남소문은 사진조차 없어 복원은 꿈도 꾸지 못한 듯하다. 17세기 말에 그..
-
혜화문과 혜화동 석굴암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2. 1. 20. 05:42
「한양 성문 이야기」라는 카테고리를 만들었으니 당연히 설명은 해야겠으되, 혜화문에 대해서는 앞서 '낭만의 거리 혜화동에 숨은 어두운 역사(II)-동소문'에서 웬만큼 언급이 됐다. 그래서 새삼 부연하기가 좀 멋쩍은데, 마침 벽초 홍명희의 에서 혜화문을 충분히 설명해놓은 대목을 발견해 옮겨 적으려 한다. 동소문(東小門)은 원 이름이 홍화문(弘化門)인데 동관대궐(창경궁) 동편에 홍화문이 있어 이름이 섞이는 까닭으로 중종대왕 당년에 동소문 이름을 혜화문(惠化門)이라고 고치었다. 홍화문이 혜화문으로 변한 지 육칠 년이 지난 때다. 혜화문 문턱 옆에 초가집 몇 집이 있고 그중에 갖바치의 집 한 집이 있었다. 홍명희는 혜화문 문턱 밑에 사는 갖바치(가죽신 만드는 사람)를 비록 천민이나 매우 똑똑한 사람으로 그리고..
-
서소문(소의문)을 찾아서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2. 1. 15. 02:27
소서문이란 명칭은 한양 도성의 다른 소문들(동소문, 남소문, 북소문)과 달리 귀에 짝 달라붙는다. 우리에게 익숙한 명칭이라는 뜻이니 지금도 서소문동, 서소문아파트, 서소문역사공원, 서울시청 소서문청사 등의 이름을 쉬 들을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서문은 다른 소문들과 달리 현재 남아 있지 않다. 앞서 말한 서대문(돈의문)과 마찬가지로 일제의 도시계획에 의해 주변 성곽과 함께 철거된 것인데, 그 위치를 알 수 있는 서대문과 달리 소서문은 정확한 위치마저 불분명하다. 소서문은 태조 이성계가 한양 도성을 축성할 때 다른 문들과 함께 완공되었는데,(태조 5년) 그때도 서소문이라는 명칭으로 많이 불린 듯 '소북(小北)은 소덕문(昭德門)이니, 속칭 서소문(西小門)이라'는 기록이 보인다.() 그리고 이에..
-
탕춘대성과 창의문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2. 1. 6. 04:12
지금은 창의문 쪽에서 내리 이어지던 성벽 구간이 사라졌지만 탕춘대성(蕩春臺城)은 본래 창의문에서 북한산의 비봉까지 이어지던 성벽이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수도 방위의 중요성을 절실하게 깨달은 조선왕조는 숙종조에 이르러 청나라 몰래 한양의 도성(都城)을 보강하고 북한산성을 새로 수축했다. 그러면서 도성과 산성을 연결하는 성벽인 서성(西城)을 쌓았는데, 그중 서쪽 구간 일부가 남아 있는 것이 탕춘대성이다. ~ 탕춘대성의 이름은 연산군이 놀던 탕춘대(蕩春臺)에서 비롯됐다. 연산군은 왕명으로 모집한 기녀(妓女)들인 흥청(興淸)을 끼고 흥청망청했는데 북한산 계곡의 홍제천이 내려다 보이는 이 근방도 주요 놀이터로서, 봄을 탕진한다는 의미의 '탕춘대'라는 이름을 스스로 지었다. 탕춘대성을 축조하는..
-
유일하게 없어진 서대문(돈의문)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1. 12. 31. 00:37
한양 도성의 동서남북 사대문 중 서대문은 유일하게 사라진 도성 문이다. 서대문은 1915년 일제가 도로를 넓힌다며 철거한 것인데, 한때 서울시가 복원시켰다는 의지를 보인 적이 있었으나 결국 복원되지 못했다. (2019년 AR 앱을 다운로드하여 보는 디지털 복원인가 하는 애매한 무엇이 생겨나 자화자찬식으로 복작댔는데 정작 이용하는 사람은 못 본 것 같다) 인터넷 백과사전의 돈의문(서대문)에 관한 설명은 괜스레 복잡하다. 아래는 의 설명인데 일단 한번 읽어보자. 1413년 6월 19일, 풍수지리학자 최양선(崔揚善)은 지리로 보면 도성의 장의동문(藏義洞門)과 관광방(觀光坊) 동쪽 고갯길은 경복궁의 좌우 팔에 해당하니 사람들의 통행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태종이 그의 말을 받아들여 돈의문을 닫았다...
-
시구문(광희문)에 대한 기억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1. 12. 26. 06:44
어릴 적 퇴계로 입구에 있는 광희문(光熙門) 근방에서 살았다. 그때는 문은 있었지만 문루는 없었고, 까닭에 문의 명칭이 광희문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도 없었다. 적어도 내가 아는 한 그랬으니 당시는 너나없이 시구문이라 불렀다. 동네 어느 유식쟁이의 설명을 따르면 조선시대에는 4대문으로 시신이 드나들 수 없었고 오직 이 문을 통해 도성 안의 시신이 밖으로 나갈 수 있었으므로 시구문(屍口門?)이라 부른다는 것이었다. 시구문 부근 동네의 이름이 신당동(新堂洞)인 것도 그 때문이라고 했다. 죽은 자에 대해 염을 하거나 굿을 하는 신당(神堂=무당집)이 많아 신당리(神堂里)로 불렸다는 것인데, (※ 갑오개혁 때 新堂洞으로 바뀌었다) 도성을 나온 시신들은 성밖 황학리 공동묘지와 무수막(무쇠막=금호동) 산비탈에 묻혔다고..
-
임꺽정은 정말로 오간수문으로 탈출했을까?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1. 12. 19. 01:52
흥인지문(興仁之門)의 썰은 어느덧 그 옆에 위치한 오간수문(五間水門)으로 이어진다. 명종 시대(1545~1567년)의 명화적(明火賊) 임꺽정(林巨正)이 전옥서(典獄署) 옥문을 부수고 일당을 구출한 후 이 오간수문을 통해 탈출했다는 것이다. 이상은 오간수문을 말할 때 매양 붙어 다니는 스토리다. 그런데 그 얘기는 정말일까? 궁금해서 한번 찾아보았다. 우선 임꺽정의 스토리가 등장하는 을 보자. 포도대장 김순고가 아뢰기를, "풍문으로 들으니 황해도의 흉악한 도적 임꺽정의 일당인 서임이란 자가 이름을 엄가이로 바꾸고 숭례문 밖에 와서 산다고 하므로 가만히 엿보다가 잡아서 범한 짓에 대하여 추문하였습니다. 그가 말하기를, ‘지난 9월 5일에 우리가 장수원(長水院)에 모여서 궁시(弓矢)와 부근(斧斤)을 가지고..
-
동대문이 흥인지문이 된 때는?토박이가 부르는 서울야곡 2021. 12. 17. 05:30
흥인지문을 동대문이라 부르는 게 일제의 잔재라고들 하는데, 그렇지 않다. 남대문도 같은 이유로 숭례문으로 고쳐 부른 지가 꽤 됐지만,(1996년 역사 바로세우기 사업 때부터) 이 또한 사실과는 거리가 있다. ≪조선왕조실록≫ 에는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기도 하거니와 ≪조선왕조실록≫에서 흥인문과 동대문, 숭례문과 남대문은 혼용돼 쓰이며 비율도 거의 같다. 정북(正北)은 숙청문(肅淸門), 동북(東北)은 홍화문(弘化門)이니 속칭 동소문(東小門)이라 하고, 정동(正東)은 흥인문(興仁門)이니 속칭 동대문(東大門)이라 하고, 동남(東南)은 광희문(光熙門)이니 속칭 수구문(水口門)이라 하고, 정남(正南)은 숭례문(崇禮門)이니 속칭 남대문이라 하고, 소북(小北)은 소덕문(昭德門)이니, 속칭 서소문(西小門)이라 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