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명나라 영락제(永樂帝)도 제주도를 탐냈다
    탐라의 재발견 2021. 9. 4. 05:20

     

    영락제(永樂帝) 주체(朱棣)는 명나라의 3대 임금으로 명태조 주원장의 넷째 아들이다. 주원장은 맏아들 주표를 황태자로 세웠으나 제위에 오르기 전 급사했다. 이에 주원장은 용맹하고 명석했던 넷째 아들 연왕(燕王) 주체를 후계자 물망에 올렸던 바, 주체는 당연히 자신이 황제의 자리를 이을 줄 알았다. 하지만 주원장은 장자 계승의 원칙을 내세운 신하들의 주장에 밀렸고 결국 죽은 주표의 아들인 주윤문이 건문제(建文帝)로 제위를 이었다. 1398년, 주윤문의 나이 16살 때였다.

     

    주체는 분노를 주체할 수 없었지만 절치부심하며 칼을 갈았다. 그러다 건문제가 번왕(藩王,주원장의 아들들이 다스리던 번주의 왕)의 세력을 꺾으려는 시도인 삭번책(削藩策)에 반발하여 난을 일으켰는데, 그는 자신의 반란군을 오히려 난리를 다스리는 군대라는 뜻의 정난군(靖難軍)이라 부르며 수도인 금릉(남경)을 향해 진격했다. 북평(북경)을 치소(治所)로 두었던 연왕 주체는 순식간에 거용관(居庸關)을 함락시키고 파죽지세로 남하했다. 

     

     

    거용관
    북경 북서쪽 50km 지점에 위치한 만리장성의 관문이자 요새이다. 거용관은 당시 중국의 최북단 관문인 관계로 팔달령 협곡에 몇 겹의 방어진을 둘러 축조되었으며 까닭에 천하제일웅관으로도 불렸다.   

     

    다급해진 건문제는 경병문(耿炳文)을 대장군에 임명하여 방어전에 나섰으나 패전했다. 명태조 주원장은 건국과정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던 역전의 명장들을 건국 후 차례로 제거하여 황권을 강화시켰던 바, 경병문은 몇 남지 않은 명장이었다. 그런 그가 패했다는 것은 싸움의 추가 정난군 쪽으로 기울었음을 의미했는데 설상가상으로 후임 지위관이 된 이경륭(李景隆)마저 패전을 거듭했다. 하지만 아직 황실의 운이 다하지 않았는지 참장(參將) 철현과 성용이 제남(濟南)과 동창(東昌)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싸움은 이제 1승1패가 된 셈이었으니 이 참에 몰아치면 황제군이 승리할 수도 있었다. 아니 오히려 전력은 황제군이 유리했으니 쪽수는 아직까지도 한참 위였다. 하지만 괜히 연왕 주체를 죽였다가 숙부 살해범의 오명을 쓸까 염려한 건문제는 진격을 늦췄고, 그런 건문제의 우유부단함이 주체에게 기사회생의 기회를 주었다. 전력을 정비한 주체는 다시 남진을 개시했고, 지레 겁을 먹은 건문제가 야반도주함으로써 남경은 함락되었다.  

     

    주체는 거병 4년 후인 1402년 황제의 자리에 오르니 곧 영락제였다. 1421년 수도를 자신의 본거지 북경으로 옮긴 그는 중국 황제 최초로 다섯 번에 걸친 진청(親征)의 북벌을 단행하여 부활하려는 몽골의 세력을 제압했고, 흑룡강까지 진출해 발흥하던 여진족의 싹을 잘랐다. 이로써 한족(漢族)으로서는 전례 없는 대업을 완성한 주체는 기고만장하였고, 그 주체할 수 없는 힘에 주변국들을 간섭하기 시작했다. 

     

     

    영락제(1360-1424)

     

    그는 즉위 초, 이미 환관 정화(鄭和)를 제독으로 하는 대함대를 파견하여 베트남, 자바, 보르네오, 수마트라 및 인도 남부를 돌며 자신의 즉위를 알렸고, 더 나아가 아라비아와 아프리카까지 진출해 자신과 중국의 존재를 과시했다. 즉 명나라가 세상의 중심국가이며 자신이 세상의 제왕임을 세계만방에 과시하고 싶었던 것이었는데, 실제로 정화의 7차례 원정(1405~1433년)이 끝난 후 중국은 30개 나라로부터 새로이 조공을 받았다.

     

     

    정화와 함선 상상도. 정화는 총 7차에 걸친 항해를 했는데 <명사(明史>에 따르면 1405년 1차 원정에는 길이 137m,폭 56m에 이르는 대형선박 62척 외 200여 척의 배에 승무원 2만7,800명이 탑승했다.   
    정화의 원정로. 최근 중국 학계에서는 이때 정화가 호주 대륙 연안까지 항해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즉 정화가 호주 대륙의 발견자라는 것이다.
    정화가 가져온 아프리카 기린. 그외 사자, 얼룩말, 표범, 코뿔소 등의 동물들도 가져왔다.

     

    그밖에도 티벳, 네팔, 아프가니스탄, 투르키스탄, 일본 등지에도 사신을 보내 조공을 강요했고 또 실제로 조공을 이끌어냈는데, 단지 조선에게만은 그러지 않았다. 아니 그럴 필요가 없었던 바, 조선은 이미 건국 초부터 알아서 기었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당대의 조선 국왕 이방원은 주체가 황제에 오르기 전인 연왕 시절부터 납작 엎드려 마지않았던 바, 만리길을 마다하지 않고 찾아와 머리를 조아렸다. 주체가 그러한 조선을 싫어할 리 없을 터, 자신을 찾아온 이방원에게는 독대(獨對)의 술자리까지 마련하며 후대했다.

     

    까닭에 주체는 조선 땅은 털끝 하나 건드리지 않았다. 그런데 1406년(명나라 영락 4년, 조선 태종 6년) 문득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그해 음력 4월 찾아온 명나라 사신이 이르기를, 황제가 금릉에 돌아가신 부모를 위한 원찰 대보은사를 건립하고 그곳에 봉안할 불상을 구하던 중 제주도 법화사의 불상이 유명하다는 소리를 듣고 그걸 가져오라 했다는 것이었다. 태종은 흔쾌히 수락했다. (※ 이하 볼드체는 <태종실록>의 내용) 

     

    임금이 태평관에 이르러 연회를 베풀었다. 술이 취하자, 황엄은 취한 것을 핑계하고 먼저 방으로 들어가고, 한첩목아가 말하였다.

    "제주 법화사(法華寺)의 미타삼존(彌陀三尊)은 원나라 때 양공(良工)이 만든 것입니다. 저희들이 곧바로 가서 취(取)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임금이 희롱하기를,

    "정말 마땅하고 말고. 다만 부처 귀에 물이 들어갈까 두렵소."

    하니 첩목아 등이 모두 크게 웃었다.

     

    (上至館設宴. 酒酣, 儼辭以醉, 先入室. 帖木兒曰: “濟州法華寺彌陀三尊, 元朝時良工所鑄也. 某等當徑往取之.” 上戲曰: “固當, 但恐水入耳.” 帖木兒等皆大笑.)

     

     

    고려시대 양식의 법화사 구화루와 구품연지
    법화사의 고려시대 법당지/제주불교신문

     

    여기까지는 태종 임금도 별다른 의심이 없었다. 어치피 숭유억불을 지향하는 조선이었으니 쓸모없는 불상쯤이야 얼마든지 가져가도 좋다는 식이었다. 하지만 대신들 중에는 일부 생각 있는 자가 있었으니 추이를 살펴 다음과 같이 고했다. 

     

    "명나라 황제가 황엄 등을 보낸 것은 불상을 얻으려 함이 아니라 탐라의 형세를 살피려는 것입니다. 필시 숨은 뜻이 있습니다." 

     

    이방원도 머리가 나쁜 사람은 아니었던 바, 곧바로 정신을 차리고 대응에 나섰다. 

     

    임금이 걱정하여 여러 신하들과 의논하고, 급히 선차(宣差) 김도생(金道生)과 사직(司直) 박모(朴模)를 보내어 제주에 급히 가서, 법화사(法華寺)의 동불상(銅佛像)을 가져오게 하였으니, 대개 만약 불상이 먼저 나주(羅州)에 이르면, 황엄 등이 제주에 들어갈 필요가 없기 때문이었다.

     

    임금은 박모를 호군(護軍)으로 삼고 김도생을 통례문 봉례랑(通禮門奉禮郞)으로 삼았다. 박모 등은 서울을 떠나 제주에 이르러 동불 3구를 싣고 해남현에 돌아와 배를 대었는데 무릇 17일이 걸렸다. 그러므로 그 빠른 것을 상 준 것이었다.


    황엄·한첩목아·양녕·기원이 나주에서 돌아왔다. 처음에 황엄 등이 돌아와 용구현에 이르렀다. 임금이 불편하여 출영하지 못하고 이조판서 이직(李稷)을 보내어 연고를 알렸다. ㅡ중략ㅡ 

     

    태종은 사신들이 제주도에 가지 못하도록 재빨리 사람을 보내 법화사 동불상 3구를 해남으로 가져왔다. 그리고는 자신은 몸이 아파 마중을 못 나가니 어여 당신네 나라로 싣고 가라고 알렸다. 그러자 계획이 어긋난 데 화가 명나라 사신들이 몽니를 부렸다. 

     

    "황엄 등은 전하께 동불을 맞이할 때 오배삼고두(五拜三叩頭)하게 하고자 합니다."

     

    황제께 가져갈 물건이니 개소리하지 말고 빨리 와서 이 불상 앞에 다섯 번 절하고 세 번 고개를 조아리라는 것이었다. 그 말을 들은 태종이 열이 뻗쳐 내뱉었다.

     

    "황엄이 나를 욕보임이 어찌 여기에 이르는가? 황엄은 탐람하고 간험하다. 또 불상을 수송하는 연고로써 사람을 때려 죽였으니 그 죄 또한 중하다. 내 이를 천자에게 상주하고자 한다."

     

    태종이 이렇듯 세게 나가자 황엄 등은 별 수 없이 한양으로 올라왔다. 그들이 태평관에 이르자 백관이 예를 행하고자 찾아왔다. 하지만 황엄은 다시 임금이 나오지 않았다고 화를 내며 일렀다.

     

    "지금 전하를 뵙지 못하였으니 예를 받을 수 없다."

     

    이에 의정부에서 대신 하마연을 베풀고자 하여도 또한 받지 않았다. 황엄 등이 동불상 3좌를 받들고 왔는데 감실(龕室) 15개에 불상·화광·연대·좌구를 나누어 담고 또 모란·작약·황규 등의 기아한 꽃을 감실에다 흙을 담아 실었다. 궤를 만들었는데 판자 1천장, 철 6백근, 마(노끈) 7백근을 사용하였다. 그 불상과 화광의 감실이 셋인데 높이와 폭이 각각 7척쯤이며, 안에는 칸막이 용으로 백지 2만8천 장과 면화 2백근을 사용하였고, 짐꾼은 수천 명이었다. ㅡ하략ㅡ 

     

    7월 22일 황엄 등이 동불 3좌를 받들고 경사(京師, 중국의 수도)로 돌아가니 임금이 반송정에서 전송하였다.

     

    이렇게 조선 정부는 중국 사신들을 불상과 함께 겨우 돌려보냈다. 여기서 명나라가 원했던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정말로 법화사 금동아미타삼존여래상이었는지, 아니면 제주도 땅 전체였는지..... 하지만 심사숙고해보면 그게 그 소리다. 주체가 법화사의 금동삼존불을 거리낌 없이 달라고 한 것은 그것이 원래 원나라의 장인에 의해 만들어진 불상이라는 이유에서였다. 아울러 제주도를 들여다보고자 했던 의도 역시 그곳이 원래 원나라 땅이라는 이유에서였을 터, 여차하면 돌려받겠다는 심산이었다. 

     

    일찍이 명태조 주원장이 요동 땅에 철령위를 설치한 일, 그리하여 과거 원나라가 직할령으로 삼았던 고려 영토의 북쪽을 꿀꺽한 일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다. 또 그러면서도 같은 직할령이던 탐라총관부는 포기한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하지만 원나라 원정 등을 이유로 무시로 방목장의 말들은 요구해댔으니 방목장을 관리하던 목호(牧胡)들이 이른바 목호의 난('목장 오랑캐'의 난)을 일으킨 것이나, 우왕이 요동정벌군을 일으킨 이유도 그 저변에는 모두 주원장의 과도한 마필 징발이 있었다.(☞ '탐라의 재발견ㅡ제주사람들에게는 삼별초 역시 침략자였다'/'명태조 주원장은 제주도를 명나라 땅으로 생각했다')

     

    명나라 입장에서 피력하자면, 주체는 제 아비 주원장이 체면상 요구하지 못했던 자신들의 땅을 이번 기회에 돌려받을 심산 같았다. 그리고 그것은 영토에 대한 욕심이나 현대에서 말하는 제주도의 지정학적 중요성 같은 점을 염두에 둔 것은 아니었고 단지 원정에 쓸 말들을 필요로 했기 때문일 터였다. 명나라가 탐라 방목장의 말을 요구한 것은 조선 건국 이전부터였으니 공민왕 때의 2000필을 필두로 고려 우왕 5년(1379년)부터 공양왕 4년(1392년)까지 무려 2만 필의 말이 진헌마의 이름으로 명나라에 보내졌다. 

     

    이성계는 자신이 왕위에 오른 1392년 7월 16일 주원장에게 바친 1000필을 필두로 매년 말을 보냈는데, 많을 때는 1만 마리가 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명나라는 불만이었으니 <태조실록>에 실린 주원장의 힐책은 이러했다.   

     

    "조선이 표문(表文)을 올려 입공(入貢)한답시며 매양 말을 가져오기는 하나, 말을 기르는 사람으로 하여금 징발해 보내다 보니, 말이 모두 둔하고 타서 지친 것들 뿐이다. 이번에 바친 말 중에는 다리가 병들고 이[齒]가 없는 것과 길들이지 않은 것이 반이나 되며, 그 나머지는 비록 관절병(關節病)은 없지만 모두 둔하여 지성으로 바친 물건이 아니었다. 이런 것들을 보내 업신여기고 화단(禍端)을 만드는 것보다는 수를 줄여서라도 좋고 실한 것을 보냄이 옳지 않겠는가?"

     

    (이에 이성계는 "알아보니 그런게 아니라 본래 이 나라 말이 작고 둔하며, 무릇 공헌(貢獻)할 때는 힘을 다하여 가려서 바치나 대개 길이 매우 멀은 까닭에 다리가 병들고 피곤하여 약한 말도 있을 것입니다. 사정이 이러할 뿐, 소방(小邦)이 어찌 감히 대국을 업신여기겠습니까?"라고 답한다. 참으로 눈물겹다.)

     

     

    제주도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말과 당나귀. 제주도의 방목은 삼별초가 여몽연합군에 진압당한 후 원나라가 몽골말 160필을 들여와 키운 데서 비롯됐다. 
    기병이 반수(2만 천명)였던 이성계의 요동원정군. 최영은 우수한 고려 기병으로 승부를 보고자 하였으나 이성계의 회군으로 파천황은 수포로 돌아갔고 더불어 철령 이북의 고려 영토 역시 명나라에 헌납됐다. 
    제차 강조하거니와 동녕부와 쌍성총관부는 요동에 있었다. 빨간 사선이 그 두 곳의 경계쯤이 된다.  
    <탐라순력도>의 산장구마(山場駈馬). 1702년(숙종28년) 산장의 말을 몰아 수를 세는 광경을 그렸다. 

     

    위에서 언급한 바대로 당시 아프리카까지 대선단을 보내며 세상을 주름잡던 명나라 영락제였다. 그가 마음먹고 불상을 조성하려 했다면 북위(北魏) 효문제가 만든 용문석굴 부처 이상의 대불도 만들어낼 수 있었을 것이니,(☞ '북위 효문제의 한화정책') 실제로 그가 건립했다는 남경 대보은사 탑은 오색 유리 탑신에 코발드 기와를 얹어 완성한 높이 80m의 거탑으로 훗날 호사가들에 의해 중세 7대 불가사의로도 불릴 만큼 크고 아름다운 유리탑이었다.(☞ '난세의 영웅 이수성'그런 그가 그 절에 봉안할 불상을 구하지 못해 조선 땅에 사신을 보냈다고 생각하는 건 보편적인 난센스를 초월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영락제 주체가 진짜로 탐냈던 보물은 제주도 법화사의 불상이 아니라 제주도 자체였다는 사실을 이제는 더 이상 설명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그런데 그는 왜 제주도를 명나라 영토로 편입시키려는 시도를 포기했을까? 제 아버지 주원장과 같은 대국의 황제로서의 체면 때문이었을까? 그가 잔대가리를 동원하면서까지 신경을 쓴 것을 보면 그렇지는 않을 것 같은즉, 그는 여러 가지 작전으로써 굳이 손에 피를 묻히지 않고 점잖게 제주도를 빼앗았을 것이다.(그렇다고 조선이 제 땅을 순순히 내주었을 리는 없었겠지만.....)

     

    답은 멀리 베트남에서 찾을 수 있다. 그곳에는 우리 한민족과 비슷한 운명을 겪어온(지리적으로 그러할 수밖에 없는) 민족이 살고 있었는데, 우연찮게도 그곳에서도 비슷한 시기에 역성혁명이 일어났으니 전대(前代)의 안남 진씨(陳氏) 왕조가 망하고 새로이 찬(Chan) 왕조가 성립되었다. 그리고 역시 우리와 같은 해인 1406년, 새로운 왕조에 간섭하려는 명나라 칙사가 베트남에 파견되었는데, 우리와는 다르게 그 사신은 피살당했다. 영락제가 이를 좌시할 리 없을 터, 유승을 지휘관으로 하는 10만 대군이 장정에 나섰다.(☞ '베트남의 동해와 한국의 서해')

     

     

     중국과 베트남의 전통적 관문인 우의관(남관). 1407년 명나라의 대군이 이 관문을 넘었다.

     

    그해 1406년은 정화의 선단이 수마트라에 원정하여 교지 포정사사(文趾布政使司)를 설치하고 그곳을 직할령으로 삼은 때였다. 이 같은 욱일승천의 영락제였으니 베트남쯤이야 껌으로 생각했을 것이다. 실제로도 명나라 10만 대군은 베트남을 쉽게 점령하였고 나아가 (왕으로 삼을 만한 자격 있는 인물이 없다는 구실로) 베트남을 아예 자국의 영토로 편입시켜버렸다. 하지만 그것은 오판이었다. 

     

    명나라의 직접 통치와 성급한 한화(漢化)정책은 베트남 민족의 저항을 불러왔고 그 가운데 민족영웅 레러이(黎利, 1385-1433)가 출현했다. 레러이는 대군인 명나라군을 상대로 끈질긴 게릴라 전술을 전개하며 영락제를 괴롭혔다. 이에 영락제도 141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크게 지쳐 남방지역에 대한 관심을 잃게 되었는데, 그에 앞서서는 중앙아시아와 페르시아 땅을 평정한 티무르 제국의 티무르 대제가 명나라를 향해 진격하였고, 그가 죽은 후에는 그간 미처 보지 못했던 서쪽도 바라보아야 했다. 이처럼 남·서에 신경 써야 했던 주체에게 해동의 작은 섬 하나가 뇌리에 남아 있을 리 없었다. 

     

    * 아들 홍희제의 치세로 이르러서도 마찬가지로 지지부진했던 명나라의 남방경략은 1427년 명나라 대군이 레러이에게 대패하며 결국 종막에 이르렀던 바, 1428년 손자 선덕제는 베트남에 대한 식민통치를 포기하고 완전 철수하게 된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앞서 말한대로 명나라 정벌에 나섰던 티무르가 1405년 돌연 병사했다는 사실인데, 그로 인해 동·서 대국의 전공절후(空前絶後)한 한판 승부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이 두고두고 아쉬운 역사의 if라는 것도 앞서 말한 바 있다.(☞ '스탈린은 왜 티무르의 무덤을 열었나? I'

    댓글

아하스페르츠의 단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