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이번에 간송미술관이 내놓은 불상과 불감
    미학(美學) 2022. 1. 15. 07:01

     

    어제 간송미술관이 소장한 국보 불상과 불감이 케이옥션에 출품됐다. 국보가 상업 경매에 나온 첫 사례인지라 세간의 관심이 매우 뜨겁다. 간송미술관이 자식과도 같은 미술품을 내놓은 이유는 전과 마찬가지로 재정난 때문인데,(☜ '경매에 나온 간송미술관의 불상 2점') 이번에는 그에 대한 논평 없이 작품만을 논해 보기로 하겠다.

     

    시장에 나온 미술품은 국보 제73호 금동삼존불감(1962년 지정)과 국보 제72호 계미명금동삼존불입상(1962년 지정)으로, 먼저 계미명금동삼존불입상부터 살펴보자. 

     

     

    계미명금동삼존불입상 / 전체 높이 17.5cm

     

    계미명금동삼존불입상(金銅癸未銘三尊佛立像)은 6세기 초 동아시아에서 호신불로 많이 제작된 일광삼존불(一光三尊佛立)의 형태로서 삼성재단이 소유하고 있는 금동보살삼존상 · 금동신묘명금동삼존불입상과 함께 북위(北魏)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 '북위 효문제의 한화정책')

     

    일광삼존불이란 한 광배 안에 주불상과 좌우 협시보살이 모두 조각된 형태를 말하는데, 많은 학자들이 계미명금동삼존불입상을 백제의 것으로 보고 있어 대부분의 백과사전에도 (불상 뒤의 명문에 의거) 백제 위덕왕 때 보화라는 사람이 계미년(563년)에 돌아가신 아버지 조귀인을 위해 만들었다는 식으로 설명되어 있다.  

     

    하지만 강우방 선생은 그것을 고구려의 것으로 보고 있고(<한국불교조각의 흐름>) 나 역시 고구려 불상임을 믿어 의심치 않고 있다. 이에 대한 강우방 선생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계미명금동삼존불은 고구려에서 불교가 문화적 기반을 확고히 다졌던 6세기 중엽(563년)에 만들어진 것이다. 광배 뒷면에 '계미년 11월 1일 보화위망부조△인조(癸未年十一月一日寶華爲亡父趙△人造)'라는 짤막한 글이 음각되어 있다. 

     

    많은 학자들이 이 불상을 백제 것으로  보고 있으나 둥그런 육계, 팽팽하며 길쭉한 얼굴, 수직으로 올리고 내린 시무외인과 여원인,(손가락 형태) 경직된 의습이지만 과장되게 좌우로 길게 뻗쳐 있으며 그 옷자락의 끝이 일정한 형태를 취하여 도식화된 점 등으로 미루어 동위(東魏) 초의 양식을 반영한 고구려불이라 생각된다. 양 협시불은 정교하고 치밀한 맛은 없으나 강한 운동감이 있는 천의의 흐름으로 감싸져 있다.

     

    광배의 형식으로 보면,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에 인동당초문, 밖의 여백에는 작은 원형의 문양(魚子文)이 가득 채워져 있다. 광배의 형태나 화염문 · 인동문 · 당초문 · 연화문 등의 문양은 평양 출토 영강7년명(永康七年銘) 광배와 같다. 대좌의 기본 구조는 연가7년명 불상과 같은 형식으로 세 겹의 연화가 중첩되었고 상단의 것만 양감이 강한 복판(覆辦)으로 되어 있다. 도금의 찬란한 금색이 전면에 잘 남아 있다."

     

     

    영강칠년명 광배
    고구려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 / 뒷면에 '연가7년에 고구려 평양 동사(東寺)'에서 만들었다는 명문이 있어 '고구려불로 꼼짝마'가 됐다.(국립중앙박물관)

     

    쇠와 나무 등의 재료로써 일반적 건축물보다 작은 규모로 만들어 부처님을 모신 조형물을 불감(佛龕)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국보인 순천송광사목조삼존불감(順天松廣寺木彫三尊佛龕) 등의 뛰어난 목조불감이 전하나 금동불감은 드문데, 이번 경매에 나온 국보 제73호 금동삼존불감은 그 대표적인 작품이다. 고려시대 초기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작품은 높이 18㎝의 작은 불감이나 표현될 것은 다 돼 있고 그 표현력 또한 뛰어나다. 덮개 형식으로 만들어진 법당은 지붕 치미와 잡상, 주심포 형식의 공포 양식까지 섬세히 묘사돼 있어 우리나라에 전혀 남아 있지 않은 신라~고려초 목조건축물의 형태와 결구 방식을 미루어 알 수 있게 해준다. 불상의 경우는 불상의 광배, 화관, 옷주름의 형태로써 11∼12세기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본존불의 긴 허리와 U자 옷주름, 협시불이 쓴 삼신관 등의 형태로 보면 7세기말까지 상향이 가능해 이번 기회에 재감정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금동삼존불감 / 전체 높이 18cm
    간송박물관 마당의 고려시대(추정) 비로자나불 / 위 내용과 무관한 불상임
    간송박물관 마당의 시대 미상 석불 / 위 내용과 무관한 불상임

    댓글

아하스페르츠의 단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