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스페르츠의 단상
-
을사오적 이근택의 99칸 별서 저택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2024. 9. 23. 19:22
경기도 남양주시 일패동 산34-3 양지바른 곳에 1912년 죽은 정헌대부 의정부찬성 이민승의 묘가 있다. 이 사람은 필시 구한말의 벼슬아치겠지만 일반인에게는 전혀 알려진 인물이 아니다. 하지만 그의 다섯 아들인 근호·근택·근홍·근상·근목은 친일파로서 모두 유명하니 세인들이 '5귀'(五鬼)라 부르며 경원했다. 그중에서도 둘째 아들이 가장 발군이었으니 그가 바로 을사오적 중의 한 명인 이근택이다. 그 형제 중에서 근호·근택·근상, 그리고 그 아들들인 동훈·창훈·장훈은 작위를 받아 모두 여섯 명이 조선귀족이 되었는데, 이근택의 아들 이창훈은 부친의 자작 지위를 승계받았으며 1928년 쇼와 일왕의 즉위식에 조선귀족 총대표로 참석하기도 했다. 이근택의 형 이근호는 한일합방시 조선총독부로부터 '한국병합기념장'..
-
영조의 원릉 ㅡ 본부인이 아닌 후처와 함께 묻힌 까닭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2024. 9. 21. 22:55
앞서도 말한 바 있지만, 영조는 본처인 정성왕후 서씨와는 사이가 안 좋았다. 영조가 일방적으로 싫어한 경우다. 그래서 두 사람 사이에서는 후사가 없었고 대신 후궁 정빈 이씨와의 사이에서 효장세자를 비롯한 1남 1녀를, 영빈 이씨 사이에서 사도세자를 비롯한 1남 3녀를 얻었다. 하지만 인자하고 따뜻한 성품의 정성왕후는 정빈 이씨 소생의 효장세자와 영빈 이씨 소생의 사도세자를 비롯한 후궁의 자식들을 제 친자식처럼 여기며 아꼈다. 이는 타고난 성품이 아니고는 행하기 어려운 일이다. 그녀를 싫어했던 영조도 정성왕후 사후 행장에 "궁궐 생활 43년 동안 항상 웃는 얼굴로 맞아주고 게으른 빛이 없었으며 숙빈 최씨(영조의 생모)의 육상궁 제사에 기울인 정성을 감사히 생각한다"며 고마움을 표했다. 그런데 영조는 이..
-
숨어 있는 친일파 집과 송병준의 별서 저택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2024. 9. 19. 20:54
독립운동가의 집은 보기 힘들어도 친일파가 살던 집들은 우리 곁에 가까이 있다. 유명 친일파의 경우는 대부분 대궐 같은 집에 살아 그것들이 문화재적 가치로서 보전됐기 때문이다. 다만 문패를 자랑할 수는 없는 까닭에 쉬쉬하거나 다른 사람의 집인양 위장되기도 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옛 필동 수도방위사령부 터 남산골 한옥마을에 이전·복원된 민영휘의 집이다. 현재 '관훈동 민씨 가옥이'라는 이름을 달고 있다. 1998년 4월 18일 남산골 한옥마을이 개관을 했을 때 민영휘의 집은 엉뚱하게도 박영효의 집으로 소개되었다. (박영효도 친일파이긴 하나 갑신정변의 주역으로써 각인된 탓에 이미지가 나쁘지 않다) 이후 고증이 잘못되었다는 지적이 있었음에도 그저 안내문의 '박영효의 집' 문구만을 제거하고 뭉개다가 결국..
-
최고 명당이라 하는 동구릉 헌종 능의 허망함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2024. 9. 16. 22:19
입추가 지난 지 한 달이 넘었건만 날씨가 연일 무더운 관계로 늘 여름에 머물러 있는 것 같다. 이제 일주일 후면 서리가 내린다는 상강(霜降)인데, 날씨가 여전히 푹푹 찌니 전래의 '24 절기'나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는 전래 속담 같은 것도 사라질 날이 멀지 않았다는 생각이 든다. 절기 대로라면 한여름에 서리가 내려야 할 판이니 말이다. 초목도 변화된 시절에 적응한 듯 예년 같으면 누리끼리해져야 할 풀이 마냥 푸르다. 이번 주 찾은 경릉(景陵) 역시 예외는 아니다. 동구릉 경릉은 제24대 헌종(1827~1849)과 그 비 효현왕후, 계비 효정왕후의 능으로 동구릉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조성된 무덤이다. 말하자면 동구릉 아홉 개 왕릉 중의 아홉 번째 능인 셈인데, 늦게 선택된 장소답..
-
이명준이 제3국행 배를 기다리며 술 마시던 인천 북성포구의 마지막 풍경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2024. 9. 15. 15:32
명준이 뉘기....? 하는 분이 상당히 있을 것이다. 이명준은 우리 시대의 문제작 최인훈(1934~2018)의 중편소설 '광장(廣場)'의 주인공이다. 우리 시대란 50~60대의 나이쯤이 되겠다. '광장'은 1960년 11월 이란 잡지를 통해 세상에 나왔다. 까닭에 그 소설을 가장 많이 읽은 세대는 적어도 1940년대 생으로, 그러니까 지금은 80살에 이른 할아버지들이었겠지만, 정작 반향이 가장 컸던 세대는 지금의 50~60대였다. 아마도 당시 강화되던 반공 이데올로기에 대한 반동(反動)이 아니었을까 한다. 여기서 반동은 "동무는 반동이요", 혹은 "반동분자"라고 하는 북한 단골 언어 속의 그 반동이다. 아무튼 '광장'은 대단한 문제작이었으니, 지금껏 대한민국에서 그만한 울림을 준 소설이 또 있을까 싶다..
-
삼전도비를 쓴 이경석 무덤가의 시(詩) II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2024. 9. 12. 19:30
백헌(白軒) 이경석(1595∼1671)의 묘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 산16-18번지에 있다. 가다 보면 묘소 주변에 신종군 이효백(1433~1487) 등의 무덤을 발견할 수 있어 일대가 전주이씨의 묘역임을 짐작케 한다. 이효백은 조선 2대 왕 정종의 열 번째 아들 덕천군 이후생의 아들이다. 활의 명인으로 불린 인물로서, 이시애의 난 때는 선봉장으로 나서 진압에 공을 세웠다. 일화를 소개하자면, 1459년 세조가 참석한 모화관 시사(試射)에서 30개의 화살 중 29개 중 명중시켜 크게 감탄한 세조에 의해 당상관에 특채되었다고 한다. 이효숙·이효생·이효창 4형제가 모두 활을 잘 쏘았는데, 그중에서도 효백이 가장 뛰어나 세조·예종·성종의 3대에 걸쳐 이름을 떨쳤다고 하는 바, 국궁이나 양궁대회에 이..
-
삼전도비를 쓴 이경석 무덤가의 시(詩) I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2024. 9. 11. 18:14
이경석(1595~1671)은 1639년 대청황제공덕비(大淸皇帝功德碑), 흔히 말하는 삼전도비의 비문을 쓴 사람이다. 청나라 황제의 공덕비가 삼전도에 세워진 것은 조선 왕 인조가 송파 삼전나루에서 청황제 홍타이지에게 항복을 했기 때문이다. 이 상황에 대해서는 이미 누차에 걸쳐 설명했기에 그 날짜만을 상기하려 한다. 때는 1637년정축년 음력 1월 30일. 혹한의 겨울철에 강바람마저 매서웠을 터, 거기에 얼어붙은 땅바닥에 엎드려 아홉 번이나 머리를 조아려야 했던 왕을 생각하면 이 무더위가 조금은 상쇄될까? 인조의 항복을 받은 청태종은 다행히도 군사를 물려 제 나라로 돌아갔고, 조선은 그 은혜에 감사하는 대청황제공덕비를 세워야 했다. 문제는 만대(萬代)의 역사에 길이 남을 그 치욕적인 비문을 누가 쓸..
-
마누라 명성왕후에 눌려 후궁을 두지 못했던 유일한 왕 현종잘 알려지지 않은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 2024. 9. 9. 06:46
동구릉 왕릉 가운데 하나인 숭릉은 조선 제18대 현종과 왕비 명성왕후의 무덤이다. 특이하게도 이 무덤의 정자각은 조선왕릉 가운데 유일한 팔작지붕 건물로서, 그로 인해 보물(제1742호)로 지정됐다. 그 외 다른 정자각은 모두 맞배지붕이다. 전통가옥에서 일반적으로 팔작지붕은 맞배지붕보다 격이 높은 건물에 적용된다. 까닭에 숭릉의 주인공인 헌종과 왕비 명성왕후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갖고 들여다보게 되었는데, 과연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다. 조선 제18대 현종(1641~1674)의 어릴 때 이름은 이원(李遠)이다. 원이 출생한 곳은 청나라 심양으로 조선의 역대 국왕 중 유일하게 외국에서 태어난 왕이다. 부친인 봉림대군(효종)이 병자호란 후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갔을 때 태어났기 때문이다. 아울러 역대 ..